국어의 문장은 용언의 논항구조가 문장의 틀을 결정짓는다. 이에 따라 용언중심의 문법에서는 용언의 논항구조 연구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용언의 논항구조로 설명할 수 없는 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565638
2015
Korean
시키다 ; 사동성 ; 추상화 ; 기능동사 ; 논항구조 ; 복합서술어 ; 유형 ; causativity ; abstraction ; function verb ; argument structure ; complex predicates ; type
KCI등재
학술저널
31-59(29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어의 문장은 용언의 논항구조가 문장의 틀을 결정짓는다. 이에 따라 용언중심의 문법에서는 용언의 논항구조 연구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용언의 논항구조로 설명할 수 없는 문...
국어의 문장은 용언의 논항구조가 문장의 틀을 결정짓는다. 이에 따라 용언중심의 문법에서는 용언의 논항구조 연구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용언의 논항구조로 설명할 수 없는 문장들이 다수 존재한다.
본고는 ‘시키다’의 논항구조로 설명할 수 없는 구문을 ‘시키다’ 복합서술어로 설정하고, 논항구조에 따라 그 유형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시키다’가 사동성 여부에 따라 세부적으로 유형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일반동사 ‘시키다’는 사동의 의미를 갖는 경우도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다. 하지만 세 개의 논항을 갖는 세 자리 서술어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사동의 의미를 갖든 그렇지 못하든 ‘시키다’의 논항구조로 설명할 수 없는 구성이 존재한다. 이에 복합서술어를 설정하고, 그 개념과 식별 기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들을 바탕으로 ‘시키다’의 사동성을 가지는 복합서술어의 유형을 여섯 가지로, 사동성을 갖지 않는 복합서술어의 유형을 여덟 가지로 분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rgument structure of the verb determines the frame of the sentence in Korean. Thus, verb argument structure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within verb-oriented grammar. However, there remain many sentences whose structure cannot be explained on the...
The argument structure of the verb determines the frame of the sentence in Korean. Thus, verb argument structure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within verb-oriented grammar. However, there remain many sentences whose structure cannot be explained on the basis of verb argument structure.
In this thesis, I labeled sentences that cannot be explained with "시키다" argument structure as "시키다" complex predicates, and classified the types according to their argument structure. Furthermore, I classified the types in terms of whether or not the "시키다" argument structure reflected causativity.
The general verb "시키다" may or may not entail causativity in its meaning.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it is a three-place predicate with three arguments. However, there are certain structures that cannot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시키다" argument structure. Accordingly, I regarded these as complex predicates, and determined criteria for their classification. On this basis, I classified complex predicates with causativity of ‘시키다’ into six types, and complex predicates without causativity of ‘시키다’ into eight typ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열, "현대국어 복합서술어의 특성과 논항구조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4
2 홍재성,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두산동아 1997
3 金智弘, "현곡 양중해 박사 화갑기념 논문집" 제주문화 449-471, 1987
4 박진호, "한국어의 동사와 문법요소의 결합 양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5 김영희, "한국어 통사론의 모색" 탑출판사 1988
6 남승호,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와 논항구조"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7 양정석, "한국어 동사의 어휘구조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2
8 임홍빈, "한국어 구문 분석 방법론" 한국문화사 2003
9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2004
10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1 김경열, "현대국어 복합서술어의 특성과 논항구조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4
2 홍재성,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두산동아 1997
3 金智弘, "현곡 양중해 박사 화갑기념 논문집" 제주문화 449-471, 1987
4 박진호, "한국어의 동사와 문법요소의 결합 양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5 김영희, "한국어 통사론의 모색" 탑출판사 1988
6 남승호,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와 논항구조"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7 양정석, "한국어 동사의 어휘구조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2
8 임홍빈, "한국어 구문 분석 방법론" 한국문화사 2003
9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2004
10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11 양정석, "재구조화를 특징으로 하는 문장들" 연세대 국학연구원 71 (71): 283-320, 1991
12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8
13 유현경, "어미 '-다고'의 의미와 용법" 배달말학회 (31) : 99-122, 2002
14 이호승, "분리성 통사원자에 대하여" 한국어문학회 (122) : 181-208, 2013
15 김영희, "복합명사구, 복합동사구 그리고 겹목적어" 한글학회 193 : 47-78, 1986
16 이호승, "목적성 이동동사 구문과 복합서술어" 어문연구학회 70 : 53-77, 2011
17 이정택, "두 가지 유형의 {시키}" 한말연구학회 (16) : 175-195, 2005
18 이호승, "국어 복합서술어 연구: [명사+조사+동사] 구성의 경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19 이홍식, "국어 문장의 주성분 연구" 월인 2000
20 강창석, "국어 문법과 主語" 개신어문학회 (33) : 47-77, 2011
21 이선웅, "국어 명사의 논항구조 연구" 도서출판 월인 2005
22 任洪彬, "用言의 語根分離 現象에 대하여" 한국언어학회 4 (4): 55-76, 1979
23 서종학, "‘시키-’의 통사와 의미에 대하여" 한민족어문학회 (58) : 209-237, 2011
24 유혜원, "‘명사-시키다’ 동사에 대한 연구" 민족어문학회 (65) : 191-218, 2012
25 유경민, "‘X하-’와 ‘X되-’ 및 ‘X시키-’의 대응쌍 연구" 국어학회 (46) : 147-182, 2005
26 김형배, "‘-시키다’의 선행요소와 접미사적 기능에 관한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15 : 47-75, 2004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4 | 0.74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2 | 0.6 | 1.173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