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과 같은 諸調査 分析으로서 우리들은 大體로 다음과 같은 事實들을 要約 해 볼 수 가 있을 것 같다. ① 都市 日傭勞動者들은 大體的으로 리어카, 자전차, 손수레(구루마), 지게 말구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상과 같은 諸調査 分析으로서 우리들은 大體로 다음과 같은 事實들을 要約 해 볼 수 가 있을 것 같다. ① 都市 日傭勞動者들은 大體的으로 리어카, 자전차, 손수레(구루마), 지게 말구루...
이상과 같은 諸調査 分析으로서 우리들은 大體로 다음과 같은 事實들을 要約 해 볼 수 가 있을 것 같다.
① 都市 日傭勞動者들은 大體的으로 리어카, 자전차, 손수레(구루마), 지게 말구루마(牛馬車)등의 運搬手段이 되는 勞動用具를 使用하여서 짐을 運送運搬하는 作業에 從事하는 階層과 구두를 닦는 일 수집통을 使用하여 오물을 處理 하거나(경우에 따라서는 수집된 폐물을 판매하는 역할도 한다.) 풍로 수선용 도구등을 使用하여 서비스를 提供하는 作業등에 從事하거나 또는 삽과 괭이등의 勞動用具를 使用하여서 하수도 공사, 도로포장공사, 기타 여러 가지 흙일 등의 土役에 從事하는 階層 등등으로 크게 분류 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交通手段의 發達에 위협을 당하면서도 現在로서는 主로 짐을 運搬하는 作業에 從事하는 階層이 아직도 支配的인 것 같다.
② 년령적으로는 大體로 30代를 前後로 하여서 土役 其他 서비스 提供의 단순노동자군과 운송을 주로하는 자로 區分 되는 傾向이 있다.
③ 都市 日傭勞動者群의 年齡構造는 他産業에 比하여 極히 높은 特徵을 보이고 있는데 그 一部는 무식하거나 기술, 자격 등이 없어서 일찍부터 日傭勞動者로서 生活 해 온 者도 많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高齡者로서 生計를 爲해서 極히 最近에 日傭勞動市場에 배출 된 者도 적지 않아서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都市 日傭勞動者群의 發生은 敎育이나 技術 資格 등이 不備함으로서 보다 組織化 되고 專門化 되어가는 産業社會의 機構 內에 적응하지 못한 것이 主原因이 되면서도 老令, 不具, 폐?疾, 失職 등도 상당한 原因으로 되고 있는 것 같다.
따라서 各 産業經營體 內部에서의 所謂 世代交替와 더불어 將來를 豫見한 老後對策이 지금부터 講究 되어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③ 日傭勞動者의 學力 水準은 一般的으로 極히 낮아서 大體로 한글해독이나 한문해독 정도의 수준에 있으나 中等敎育 以上을 받은 者도 상당한 수가 있으므로 앞으로의 社會的 浪費를 막기 爲해서는 기술교육의 普及이 더욱 절실히 要請되며, 特히 低年齡層에 있어서의 技術敎育 普及은 더 한층 重要한 것으로 생각된다. 30代 以下의 年少 年齡層에 있어서는 거의 모두가 장래를 위한 技術習得을 願하며 그것도 主로 工場이나 技術系統의 職場을 願함으로서 極히 健全한 勞動意識과 職業意識을 뚜렷이 가지고 있는 것 같다.
④ 大邱市內 日傭勞動者의 約 20%는 典型的인 産業經營體에 就業 하였던 前職을 가진 것으로 判斷되며 約 14%는 産業化의 물결에 따라 最近의 10여년 동안에 農村에서 都市로 꾸준히 移動해 온 것으로 생각된다.
⑤ 大邱市內에 있는 日傭勞動者들은 거의가 직장이나 事業및 生活改善을 爲해서 또는 고향에서의 生活苦 農地喪失 농사실패 등과 같은 經濟的 動機에 依해서 主로 大邱를 인접한 慶尙南北道의 各市郡에서 移動 해 온 것 같다.
⑥ 日傭勞動者들은 장래를 위한 技術 習得을 願하면서도 技術習得 期間 中의 家族의 生活維持를 걱정하여 自然히 消極的으로 되어 버리지 않을 수 없는 立場이므로 職業紹介나 職業安定事業活動 등은 반드시 勞動金庫制度를 수반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⑦ 日傭勞動者들은 大體로 새벽 5時나 6時頃부터 그들의 勞動市場으로 나가기 始作해서 하루 約12時間 정도의 總勞動時間 중에서 約5時間 정도의 純勞動을 하고 午後 9時 乃至 10時 頃이면 歸家 한다. 總勞動時間은 各年齡階層에 따라 큰 差異가 없으나 純勞動時間은 年齡이 많아짐에 따라 約1時間式 적어지는 傾向을 보이고 있다.
⑧ 日傭勞動者의 所得水準은 한번 作業에서 받는 報酬, 하루 중에 벌 수 있는 最高收入과 最低收入및 平均收入 그리고 한달에 대략 벌어드리는 推定實際所得 등의 여러각도에서 分析될 수 있고 또한 그것드 使用하는 勞動 用具나 勞動場所, 學力水準 또는 年齡水準, 勞動經歷 등등의 여러가지 側面에서 比較 分析 될 수 있는데 이번의 調査 硏究에서 判明된 大邱市內 日傭勞動者 全體 平均 推定實際所得水準은 約 7,600원 이었으며 使用勞動用具別로는 말구루마 使用者가 가장 높아서 17,500원, 다음이 삽·괭이 使用者로서 9,600원이었다. 삽·괭이를 使用하면서 土役을 하는 者의 所得水準이 이들 중에서 가장 安定된 狀態에 있었는데 이것은 最近에 實施되고 있는 都市의 諸般 土木事業이나 건축사업 도로포장공사 등등의 擴張에 영향을 받아서 인 것 같다.
日傭勞動者의 대종을 이루는 리어카, 손수레, 지게, 자전차등을 사용하여 運搬勞動에 從事하는 者의 月間 所得水準은 最低 6,100원에서 最高 9,500원의 水準으로서 그 平均은 約 7,800원이다.
日傭勞動者로서 가장 所得水準이 낮은 계층은 수집통 사용으로서 서비스 乃至 雜役에 從事하는 계층인데 이들의 月間所得水準은 3,300원으로서 1日 平均 100원 정도의 收入 밖에는 벌지 못하고 있다.
⑨ 日傭勞動에 있어서도 學力水準은 所得決定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判明되며 全般的으로 學力水準이 높아짐에 따라서 所得水準도 上昇하는 傾向을 보이고 있다. 單純한 肉體勞動이나 雜役을 함에 있어서도 自己의 所得改善을 위하여 보다 合理的인 두뇌를 사용하는데서 오는 영향일 것으로 추측된다.
⑩ 年齡別로는 20代 乃至 30代의 日傭勞動者들이 가장 높은 所得水準에 있으며 나이가 많아 짐에 따라서 所得은 減退되는 傾向에 있는데 이것은 勞動活動, 體力, 민첩성 등에서 오는 영향과 더불어 低年齡層은 一般的으로 學力水準이 높고 學力水準은 역시 所得水準에 영향을 미치는 위 ⑨의 결과가 복합 되어 作用하는데서 오는 結果라고 생각된다.
⑪ 日傭勞動者들의 所得水準은 經濟社會 總體의 경기 상태에는 勿論 그날 그날의 日氣나 계절에 따라서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大體로 가을과 봄이 가장 좋고 겨울과 여름이 나쁘다.
⑫ 豫想平均所得에 對한 推定實際所得의 差는 勞動損失(作業量의 過少 日氣不順등에 의한 純勞動時間의 過少)에 起因 한다고 假定하면 日傭勞動者 1人當 1個月 平均 9日 정도의 勞動損失을 보고 있는 셈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cent years Korean economists, politicians, sociologists and all of the nation have been devoting much more attention to Industrialization or Modernization of our nation. In the course of Industrialization, however, there arise serveral labor prob...
In recent years Korean economists, politicians, sociologists and all of the nation have been devoting much more attention to Industrialization or Modernization of our nation. In the course of Industrialization, however, there arise serveral labor problems typical to the industrial society such as maintainging adquete total demand for labor, developing effective labor markets; training, organizing, and motivation the labor force; determining wage rates and labor income, balancing producer and consumer satisfaction, protecting against predictable risks, and assuring a minimum level of income etc.
In an Industrial Society most of the labor force is employed in workshops, department stores, mining, manufacturing, construction, public utilities, and government; namely public and private enterprises or business concerns. The pattern of employment in them is characterized by somewhat regular and continuating employment within a certain definite period.
But another part of the labor force is, only a declining minority as the society is getting industrialized, engaged in agriculture, odd jobs, or daily labor and so on.
The Daily labourers, a sort of blue-collar segment of the labor force and the lowest labor group of the society in a sense, also involve significant social problems; for the most case their jobs are immensely irregular and intermittent in general; and their wages are, on the whole, particularly much more unstable and lower than those of the typically employed labourers in a business concerns. Then I believe it would be a good guidance for the development of our national economy to make clear about the practical labor customs and working conditions of the daily laborers nowdays.
By the way the Survey results which has been held in June, 1968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① The Daily laborers in Taegu city could be divided in three groups on the whole.
One is the porters' group who transport miscellaneous luggages mainly on the market places, on the streets, or near the suburb bus stations and station with A-frame (Gigae), hand-rearcar, bicycle, hand-cart, and horse-wagon etc. This group occupates about 60% of the daily laborers in Taegu city. Another is the trifling service producers' group. For example those who are disposing of rubbish, shoe-shine, or in a some case providing services to another with portable cooking stove or use mending apparatus belong to this group. The other is the simple physical laborers' group using shovels or pickaxes for a drain works, road and public works, or various earthen works.
All of them are being threatened in their lives day by day in general, because mechanization is advancing in every part of the national economy. So it will be necessary for the future to pervade training or technical education so widely that every one who wants job can adjust themselves to a certain vocation in a dynamic and fluctuating industrialized society.
② The age level of the city Daily Laborers group is as a whole peculiarly higher than that of the most other typical employees in bussiness concerns. Their knowledge level is very low that they can't pace with the industrializing of society but their labor conscionsness or job opinion is very clear and reliable one.
③ They go to their customary working places from around 5 or 6 o'clock in the morning and take total work about 12 hours in a day. But net working hour in fact, is 5 hours in general because of lack of their employers, and as their ages are going up net work hours is apt to decline about one hour per each ten years of age.
④ The Income level of the daily labourers could be calculated by the wage size of their a day's earnings, or each time compensation or a month's income. Their wage differentials in ages, in kinds of labor, or in educational levels, are very wide and deep, while as a general rule it decreases as ages up and increases as higher education. Horse-wagon user group earns the most as much as 17,500 won in a month and the next is the shovel or pick-axe users group so much as 9,600 won. The least group is the collection bag users group to dispose of rubbish as much as 3,300 won in a month.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