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동해 표층수 중 영양염과 Chlorophyll α의 분포 특성 = Distribution of Nutrients and Chlorophyll α in the Surface Water of the East S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036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9년 7월 3일부터 7월 27일까지 러시아 조사선 R/V Lavrentyev를 이용하여 러시아 연안으로부터 4개의 Line(D, R, E, A)을 따라 표층 30 m 수심의 시료를 26개의 정점(울릉분지와 일본분지를 포함한 동해의 전 수역)에서 채수하여 영양염 및 엽록소-${\alpha}$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냉수역보다 난수역에서 1.4배 높은 질산염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은 모두 난수역보다 냉수역에서 높게 나타났다($NH_4$, $PO_4$ 각 1.8배, $Si(OH)_4$ 1.2배, 엽록소-${\alpha}$ 1.9배). 암모니아와 인산염, 엽록소-${\alpha}$의 수평분포는 매우 유사한 분포를 보이며, 한류와 저층수의 용승 영향권에 있는 러시아 근해에서 최대치를 보이고, 울릉분지에서 비교적 낮은 분포를 보인다. 반면, 질산염은 대마난류수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는 울릉분지에서 최대치를 보이며, 점차 북상할수록 감소한다. N/P 비는 한류수계보다 대마난류 중층수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이며, 대마난류수는 동해로 유입되는 질산염의 주요 공급원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난수역에서 인산염의 평균 농도는 $0.2{\mu}M$ 이하로 식물플랑크톤 성장의 제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반면, 냉수역에서의 높은 농도는 엽록소-${\alpha}$와 직접적인 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해양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주성분 분석결과 주성분 I은 수온에 의해 동해의 해양환경이 주로 영향을 받으며, 주성분 II는 영양염과 엽록소-${\alpha}$ 가 주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연구해역의 해양환경은 수온에 지배되며, 그에 따라 냉수역과 온수역으로 구분되는 특성을 보였다.
      번역하기

      2009년 7월 3일부터 7월 27일까지 러시아 조사선 R/V Lavrentyev를 이용하여 러시아 연안으로부터 4개의 Line(D, R, E, A)을 따라 표층 30 m 수심의 시료를 26개의 정점(울릉분지와 일본분지를 포함한 동...

      2009년 7월 3일부터 7월 27일까지 러시아 조사선 R/V Lavrentyev를 이용하여 러시아 연안으로부터 4개의 Line(D, R, E, A)을 따라 표층 30 m 수심의 시료를 26개의 정점(울릉분지와 일본분지를 포함한 동해의 전 수역)에서 채수하여 영양염 및 엽록소-${\alpha}$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냉수역보다 난수역에서 1.4배 높은 질산염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은 모두 난수역보다 냉수역에서 높게 나타났다($NH_4$, $PO_4$ 각 1.8배, $Si(OH)_4$ 1.2배, 엽록소-${\alpha}$ 1.9배). 암모니아와 인산염, 엽록소-${\alpha}$의 수평분포는 매우 유사한 분포를 보이며, 한류와 저층수의 용승 영향권에 있는 러시아 근해에서 최대치를 보이고, 울릉분지에서 비교적 낮은 분포를 보인다. 반면, 질산염은 대마난류수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는 울릉분지에서 최대치를 보이며, 점차 북상할수록 감소한다. N/P 비는 한류수계보다 대마난류 중층수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이며, 대마난류수는 동해로 유입되는 질산염의 주요 공급원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난수역에서 인산염의 평균 농도는 $0.2{\mu}M$ 이하로 식물플랑크톤 성장의 제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반면, 냉수역에서의 높은 농도는 엽록소-${\alpha}$와 직접적인 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해양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주성분 분석결과 주성분 I은 수온에 의해 동해의 해양환경이 주로 영향을 받으며, 주성분 II는 영양염과 엽록소-${\alpha}$ 가 주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연구해역의 해양환경은 수온에 지배되며, 그에 따라 냉수역과 온수역으로 구분되는 특성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period between July 3 and 27 of 2009,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Russian coast at a depth of 30m from 26 stations (including Ulleung and Japan basins) onboard the Russian survey vessel R/V Lavrentyev following 4 lines (D, R, E, and A).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nutrients and chlorophyll a contents. All parameters exhibited higher values in warm waters than in cold waters ($NH_4:1.8-fold$, $PO_4:1.8-fold$, $SiO_2:1.2-fold$, and chlorophyll-${\alpha}$:1.9-fold), except nitrates, which was 1.4-fold higher in cold waters than in warm waters. The horizontal distribution of ammonia, phosphate, and chlorophyll-${\alpha}$ was very similar to each other and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the waters near Russia, where a upwelling influence of cold current and bottom water prevails, while relatively low distribution was observed at the Ulleung Basin. On the other hand, nitrates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at the Ulleung Basin, which is under the direct influence of the Tsushima warm water, and showed a gradual decrease northward. The N/P ratio showed the highest value in the Tsushima middle water, rather than in the North Korean Cold Water, the Tsushima Warm Water was the primary source of nitrate flow into the East Sea. However,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phosphate in the warm waters was < $0.2{\mu}M$, thereby limiting phytoplankton growth, while a high concentration of phosphate in cold waters showed a direct correlation with chlorophyll-${\alpha}$. The result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the identification of primary factors that influence the marine environment showed that principal component I was water temperature and principal component II was influenced chlorophyll-${\alpha}$ and nutrients. Therefore, Study area has greatest influenced by water temperature, and clearly distinct cold and warm water regions were observed in the East Sea.
      번역하기

      During the period between July 3 and 27 of 2009,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Russian coast at a depth of 30m from 26 stations (including Ulleung and Japan basins) onboard the Russian survey vessel R/V Lavrentyev following 4 lines (D, R, E, a...

      During the period between July 3 and 27 of 2009,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Russian coast at a depth of 30m from 26 stations (including Ulleung and Japan basins) onboard the Russian survey vessel R/V Lavrentyev following 4 lines (D, R, E, and A).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nutrients and chlorophyll a contents. All parameters exhibited higher values in warm waters than in cold waters ($NH_4:1.8-fold$, $PO_4:1.8-fold$, $SiO_2:1.2-fold$, and chlorophyll-${\alpha}$:1.9-fold), except nitrates, which was 1.4-fold higher in cold waters than in warm waters. The horizontal distribution of ammonia, phosphate, and chlorophyll-${\alpha}$ was very similar to each other and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the waters near Russia, where a upwelling influence of cold current and bottom water prevails, while relatively low distribution was observed at the Ulleung Basin. On the other hand, nitrates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at the Ulleung Basin, which is under the direct influence of the Tsushima warm water, and showed a gradual decrease northward. The N/P ratio showed the highest value in the Tsushima middle water, rather than in the North Korean Cold Water, the Tsushima Warm Water was the primary source of nitrate flow into the East Sea. However,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phosphate in the warm waters was < $0.2{\mu}M$, thereby limiting phytoplankton growth, while a high concentration of phosphate in cold waters showed a direct correlation with chlorophyll-${\alpha}$. The result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the identification of primary factors that influence the marine environment showed that principal component I was water temperature and principal component II was influenced chlorophyll-${\alpha}$ and nutrients. Therefore, Study area has greatest influenced by water temperature, and clearly distinct cold and warm water regions were observed in the East Se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