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놀이중심의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우울성향 중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a play-based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on depressive middle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390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whether a play-based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reduces depress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improves their self effic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 students who displayed depression symptoms described in DSM-Ⅳ, whose depression/anxiety scale scores measured by using 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were above 70T and whose depression scale scores belonged to the top 33% and self-efficacy scale scores belonged to the bottom 33% among the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selected by a teacher.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3 and a control group of 2 children. In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lay-based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on depression (helplessness, loneliness, and worthlessness)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score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sides, the changes in the students' depressive behaviors were explored by an index of depression behavior during program sessions. Second, for the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students' self efficacy, self-efficacy scale score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were measured and compared. The play-based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put an emphasis on intervention strategies using success experience, vicarious experience, verbal persuasion, and physical and emotional state. In addition, it also emphasized motivation, the facilitation of volunteering, active participation among the therapeutic elements of play. With regar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a total of 12 sessions(60minutes each session) were conducted twice a week.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lay-based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reduced symptoms of depression, namely helplessness, loneliness, and worthlessness,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decreased their depressive behaviors detected during the program sessions. Second, the play-based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improved the depressive students' self-efficacy. Therefore,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play-based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reduces depress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improves their self efficacy.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whether a play-based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reduces depress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improves their self effic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 students who displayed depression symptoms described i...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whether a play-based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reduces depress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improves their self effic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 students who displayed depression symptoms described in DSM-Ⅳ, whose depression/anxiety scale scores measured by using 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were above 70T and whose depression scale scores belonged to the top 33% and self-efficacy scale scores belonged to the bottom 33% among the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selected by a teacher.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3 and a control group of 2 children. In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lay-based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on depression (helplessness, loneliness, and worthlessness)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score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sides, the changes in the students' depressive behaviors were explored by an index of depression behavior during program sessions. Second, for the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students' self efficacy, self-efficacy scale score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were measured and compared. The play-based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put an emphasis on intervention strategies using success experience, vicarious experience, verbal persuasion, and physical and emotional state. In addition, it also emphasized motivation, the facilitation of volunteering, active participation among the therapeutic elements of play. With regar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a total of 12 sessions(60minutes each session) were conducted twice a week.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lay-based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reduced symptoms of depression, namely helplessness, loneliness, and worthlessness,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decreased their depressive behaviors detected during the program sessions. Second, the play-based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improved the depressive students' self-efficacy. Therefore,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play-based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reduces depress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improves their self effica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울성향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놀이 중심의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우울성향이 감소되고, 자기효능감이 향상되는지를 밝히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교사로부터 의뢰된 중학교 2학년 학생 중 DSM-Ⅳ에 나타난 우울 특성을 보이고, 한국 아동․청소년 행동 평가척도(K-CBCL)의 우울/불안 척도에서 70T 이상, 우울성향 척도에서 상위 33% 및 자기효능감 척도에서 하위 33%에 해당되며,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으로 연구 대상 3명, 비교 대상 2명이다. 연구 방법은 첫째, 놀이 중심의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우울성향(무력감, 외로움, 무가치함)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보고식 우울성향 척도를 사전·사후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우울 행동의 변화는 회기 내 우울 행동 지표에 따른 중학생의 행동특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둘째, 놀이 중심의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보고식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전·사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프로그램은 성공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정서적 상태의 중재전략을 활용한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에 놀이의 치료적 요인 중 동기유발, 자발성 촉진, 적극적인 참여에 중점을 두어, 1회기 60분, 주 2회, 총 12회기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 중심의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우울성향인 무력감, 외로움, 무가치함을 감소시키고, 중학생이 회기 내 보이는 우울 행동을 감소시켰다. 둘째, 놀이 중심의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우울성향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놀이 중심의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우울성향을 감소시키고, 자기효능감은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우울성향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놀이 중심의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우울성향이 감소되고, 자기효능감이 향상되는지를 밝히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우울성향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놀이 중심의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우울성향이 감소되고, 자기효능감이 향상되는지를 밝히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교사로부터 의뢰된 중학교 2학년 학생 중 DSM-Ⅳ에 나타난 우울 특성을 보이고, 한국 아동․청소년 행동 평가척도(K-CBCL)의 우울/불안 척도에서 70T 이상, 우울성향 척도에서 상위 33% 및 자기효능감 척도에서 하위 33%에 해당되며,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으로 연구 대상 3명, 비교 대상 2명이다. 연구 방법은 첫째, 놀이 중심의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우울성향(무력감, 외로움, 무가치함)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보고식 우울성향 척도를 사전·사후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우울 행동의 변화는 회기 내 우울 행동 지표에 따른 중학생의 행동특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둘째, 놀이 중심의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보고식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전·사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프로그램은 성공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정서적 상태의 중재전략을 활용한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에 놀이의 치료적 요인 중 동기유발, 자발성 촉진, 적극적인 참여에 중점을 두어, 1회기 60분, 주 2회, 총 12회기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 중심의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우울성향인 무력감, 외로움, 무가치함을 감소시키고, 중학생이 회기 내 보이는 우울 행동을 감소시켰다. 둘째, 놀이 중심의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우울성향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놀이 중심의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우울성향을 감소시키고, 자기효능감은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성례, "흡연 청소년을 위한 자기조절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2 정영남,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사춘기 여성의 신체상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아동간호학회 7 (7): 342-358, 2001

      3 정유리, "판 게임 경험이 유아의 사회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김아영, "초등학교 중학생의 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27 : 71-88, 1998

      5 전귀연,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응집성,가족적응성 및 가족체계유형이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1993

      6 이혜선, "청소년의 환경적 요인 및 우울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7 안인영,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가족건강성,학교생활적응과 우울과의 상관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5

      8 양돈규, "청소년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원의 영향" 4 (4): 55-73, 1998

      9 이정선, "청소년의 개인 및 가족 요인과 우울 간 관련성"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0 오경자, "청소년 우울과 비행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5

      11 박영아,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4

      12 손명희, "집단놀이치료가 정신지체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변화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1

      13 김남진,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3

      14 박은조, "중학생의 우울성향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5 한유진, "중학생과 청소년의 우울성향 및 귀인양식과 학업성취" 32 (32): 147-157, 1994

      16 이은경, "자기효능감이 진로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17 오경석, "자기효능감 프로그램이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8 김금식,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학습된 무력감과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9 허숙희,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학습된 무력감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된 무력감이 높은 여중생을 대상으로" 경성대학교 교육대학교 2004

      20 박혜진, "자기애,자기효능감,자의식 및 우울간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3

      21 차정은,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1 (1): 19-31, 1996

      22 현명선, "인지행동요법이 문제행동 중학생의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13 (13): 458-466, 2004

      23 오인옥, "인지행동 집단치료가 여대생들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간호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8

      24 곽영희, "인지-행동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실업계 여고생의 우울,역기능적 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5 문금명, "인지-행동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비만아의 신체상,자아존중감,우울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05

      26 류은수, "인지 행동적 집단치료가 가출청소년의 자아존중감,우울,불안,분노에 미치는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27 심은영, "이야기치료를 통한 우울 성향 아동의 자아개념, 우울수준, 문제행동 변화 사례연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8 (8): 49-64, 2004

      28 김자경, "의미치료가 비행청소년의 우울,삶의 목적 및 비행충동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29 이재상, "우울증과 자아정체감이 청소년의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4

      30 하은혜, "우울장애와 불안장애 청소년을 위한 집단 인지행동치료 효과의 예비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3 (23): 263-279, 2004

      31 김윤정, "우울성향이 청소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32 이명하, "약물남용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8

      33 이복희, "신체활동중심의 치료 레크리에이션 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적응행동 및 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체육학회 9 (9): 73-87, 2001

      34 두금주,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자기효능감과 완벽주의의 매개 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2

      35 양돈규, "부모갈등과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우울과 비행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7

      36 김근화, "만다라 미술치료가 학대중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6

      37 유미숙, "놀이치료 이론과 실제" 서울: 상조사 1997

      38 송영혜, "놀이치료" 서울: 특수교육 1992

      39 김현주, "놀이중심의 인지행동치료를 통한 중학생의 게임중독 행동 및 자기효능감 개선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6

      40 송영혜, "놀이 활동 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 (20): 367-387, 2004

      41 김선아, "남자 중학생들의 문제행동,자아존중감,사회기술,우울" 7 (7): 273-282, 1998

      42 김선미, "가출청소년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3 한상철, "가출청소년의 우울 및 자살행동에 대한 상담학적 개입전략에 관현 연구" 11 (11): 152-165, 2003

      44 Corey,G.,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counseling" Pacific Grove, Calif: Brooks/Cole Pub. Co. 1995

      45 Schaefer,C.E., "The therapeutic powers of play" Northvale, New Jersey: Jason Aronson 1993

      46 O'Connor,K.J., "The play therapy primer" New York.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1991

      47 Sweeney, D., "The handbook of group play therapy: How to do it. How it works. Whom it works best for" SanFrancisco: Jossey-Bass 1999

      48 Lamb, J., "School based intervention to promote coping in rural teens" 23 (23): 187-194, 1998

      49 서영석, "REBT를 적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실업계 남자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진로결정 자기효능감,진로태도 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50 김문식, "REBT 집단상담이 중학교 여학생의 비합리적 신념과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51 하준호, "REBT 집단상담이 고등학생의 우울성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1

      52 Kottman,T., "Parter in play: An adlerian approach to play therapy" Alexandria: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1995

      53 Cervone, D., "Mood, self- efficacy, and performance standards: Lower moods induce higher standards for performance" 67 (67): 499-499, 1994

      54 Kovacs, M., "Maladaptive cognitive structures in depression" 135 : 525-533, 1978

      55 Reid,S.E., "It's all in the game: Game play therapy. In T. Kottman & C. E. Schaefer (Eds.), Play therapy in action: A casebook of practicers" London: Jason Aronson Inc. 1993

      56 Lewinsohn, P. M., "In E. D. Hibbs & P. S. Jensen (Eds.), Psychosocial treatments for child and adolescent disorders: Empirically based strategies for clinical practice" Washington, D. C.: APA. 1996

      57 Kandel, D. B., "Epidemiology of depressive mood in adolescents" 39 : 1205-1212, 1982

      58 Beck,A.T., "Depression: Care and treatment"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67

      59 Petersen, A. C., "Depression in adolescence" 48 (48): 155-168, 1993

      60 Knell, S. M., "Cognitive-behavioral play therapy=인지행동놀이치료" 서울: 나눔의 집 2001

      61 Birmaher, B., "Childhood and adolescent depression: A review of the past 10 years. Part Ⅰ" 35 (35): 1427-1439,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1.04 1.316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