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Longitudinal Analysis of Stuttering Like Disfluencies as a Treatment Outcome in Early Childhood Stutter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240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말더듬아동의 3가지 진성비유창성(stuttering like disfluencies, SLD) 유형분석을 통해 18개월 동안 치료시점별 SLD 유형변화를 조사하였다. 후향적(retrospective) 연구로 말더듬 발생 1년 이내의 2-5세 말더듬아동을 대상으로 3가지 SLD 빈도와 유형변화를 종단적으로 살펴보았다. 방법: 말더듬아동 18명을 치료종료 시점인 18개월 시점의 말더듬 정도와 SLD 빈도에 따라 12명 회복집단과 6명 지속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부모-아동 상호작용놀이 상황에서 5차례 발화를 수집하여 3가지 SLD 유형(일음절단어반복, 단어부분반복, 비운율적발성)과 비율변화, 빈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SLD 변화를 분석한 결과, 첫째, 회복집단은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SLD의 총 빈도가 감소하였으나 지속집단은 SLD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둘째, 일음절단어반복은 집단과 시점의 주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이차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비운율적발성에서는 집단과 시점에 따른 이차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SLD 유형의 비율변화는 비운율적발성의 경우 6개월 시점 이후, 일음절단어반복은 12개월 시점부터 두 집단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말더듬 시작 후 18개월간 SLD 빈도와 비운율적발성의 감소추세가 초기 말더듬아동의 회복을 예측하기 위한 근거로 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임상 측면에서는 치료 과정에 나타난 SLD 빈도 및 비운율적발성 유형의 종단적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초기 말더듬아동의 비유창성 유형을 통한 치료결과를 예측할 수 있으며, 언어치료사는 말더듬 치료 후 12개월 및 18개월 시점의 SLD 빈도 및 비운율적발성 유형의 변화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성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말더듬아동의 3가지 진성비유창성(stuttering like disfluencies, SLD) 유형분석을 통해 18개월 동안 치료시점별 SLD 유형변화를 조사하였다. 후향적(retrospective) 연구로 말더듬 ...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말더듬아동의 3가지 진성비유창성(stuttering like disfluencies, SLD) 유형분석을 통해 18개월 동안 치료시점별 SLD 유형변화를 조사하였다. 후향적(retrospective) 연구로 말더듬 발생 1년 이내의 2-5세 말더듬아동을 대상으로 3가지 SLD 빈도와 유형변화를 종단적으로 살펴보았다. 방법: 말더듬아동 18명을 치료종료 시점인 18개월 시점의 말더듬 정도와 SLD 빈도에 따라 12명 회복집단과 6명 지속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부모-아동 상호작용놀이 상황에서 5차례 발화를 수집하여 3가지 SLD 유형(일음절단어반복, 단어부분반복, 비운율적발성)과 비율변화, 빈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SLD 변화를 분석한 결과, 첫째, 회복집단은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SLD의 총 빈도가 감소하였으나 지속집단은 SLD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둘째, 일음절단어반복은 집단과 시점의 주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이차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비운율적발성에서는 집단과 시점에 따른 이차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SLD 유형의 비율변화는 비운율적발성의 경우 6개월 시점 이후, 일음절단어반복은 12개월 시점부터 두 집단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말더듬 시작 후 18개월간 SLD 빈도와 비운율적발성의 감소추세가 초기 말더듬아동의 회복을 예측하기 위한 근거로 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임상 측면에서는 치료 과정에 나타난 SLD 빈도 및 비운율적발성 유형의 종단적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초기 말더듬아동의 비유창성 유형을 통한 치료결과를 예측할 수 있으며, 언어치료사는 말더듬 치료 후 12개월 및 18개월 시점의 SLD 빈도 및 비운율적발성 유형의 변화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성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longitudinally investigated the treatment outcome of children (age 2 to 5) who stutter (CWS) within 1 year of the onset of stuttering in order to examine whether frequency and types of stuttering like disfluencies (SLD) play a role as a predictor of treatment outcome. Methods: Direct therapy was given to 18 CWS for 18 months and indirect therapy for their parents to change parents’ attitudes. Speech samples were collected five times (initial visit and four times every 3 months for 18 months) in order to identify changes in SLD frequency over treatment.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otal frequency of SL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recovered group and the persistence group. That is, SLD decreased in the recovered group while increasing in the persistence group. At 12 and 18 months after treatm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greater than at the other assessment sessions. Second,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he group and time of therapy were found in the disrhythmic phonation type. Third, the ratio of SLD in disrhythmic phonation type decreased in the recovery group after 6 month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SLD frequency and disrhythmic phonation type are predictive factors for discriminating between recovered and persistence groups in the treatment for young children who stutter. We also suggest that speech-language pathologists be aware of SLD frequency and disrhythmic phonation’s changes at 12 and 18 months after treatment to predict treatment effects in early childhood stuttering.
      번역하기

      Objectives: This study longitudinally investigated the treatment outcome of children (age 2 to 5) who stutter (CWS) within 1 year of the onset of stuttering in order to examine whether frequency and types of stuttering like disfluencies (SLD) play a r...

      Objectives: This study longitudinally investigated the treatment outcome of children (age 2 to 5) who stutter (CWS) within 1 year of the onset of stuttering in order to examine whether frequency and types of stuttering like disfluencies (SLD) play a role as a predictor of treatment outcome. Methods: Direct therapy was given to 18 CWS for 18 months and indirect therapy for their parents to change parents’ attitudes. Speech samples were collected five times (initial visit and four times every 3 months for 18 months) in order to identify changes in SLD frequency over treatment.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otal frequency of SL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recovered group and the persistence group. That is, SLD decreased in the recovered group while increasing in the persistence group. At 12 and 18 months after treatm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greater than at the other assessment sessions. Second,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he group and time of therapy were found in the disrhythmic phonation type. Third, the ratio of SLD in disrhythmic phonation type decreased in the recovery group after 6 month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SLD frequency and disrhythmic phonation type are predictive factors for discriminating between recovered and persistence groups in the treatment for young children who stutter. We also suggest that speech-language pathologists be aware of SLD frequency and disrhythmic phonation’s changes at 12 and 18 months after treatment to predict treatment effects in early childhood stutter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연구방법
      • 연구결과
      • 논의 및 결론
      • References
      • Abstract
      • 연구방법
      • 연구결과
      • 논의 및 결론
      • References
      • 국문초록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복, "초기 말더듬아동의 치료후 말더듬회복 예측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발화길이를 중심으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 (20): 189-201, 2015

      2 이수복, "초기 말더듬아동의 치료효과 예측변인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1 (21): 382-396, 2016

      3 전희정, "유창성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비유창성과 말 속도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9 (9): 102-115, 2004

      4 Yaruss, J. S., "Utterance length, syntactic complexity, and childhood stuttering" 42 : 329-344, 1999

      5 Johnson, W., "The onset of stuttering : research findings and implications.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1959

      6 Van Riper, C., "The nature of stuttering" Prentice-Hall 1982

      7 Yairi, E., "The early months of stuttering : a developmental study" 36 : 521-529, 1993

      8 Campbell, J., "Systematic disfluency analysis: accountability for differential evaluation and treatment" 1987

      9 Kim, Y. T.,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REVT)"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2009

      10 Sim, H. S., "Paradise-Fluency Assessment II" Paradise Welfare Foundation 2010

      1 이수복, "초기 말더듬아동의 치료후 말더듬회복 예측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발화길이를 중심으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 (20): 189-201, 2015

      2 이수복, "초기 말더듬아동의 치료효과 예측변인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1 (21): 382-396, 2016

      3 전희정, "유창성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비유창성과 말 속도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9 (9): 102-115, 2004

      4 Yaruss, J. S., "Utterance length, syntactic complexity, and childhood stuttering" 42 : 329-344, 1999

      5 Johnson, W., "The onset of stuttering : research findings and implications.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1959

      6 Van Riper, C., "The nature of stuttering" Prentice-Hall 1982

      7 Yairi, E., "The early months of stuttering : a developmental study" 36 : 521-529, 1993

      8 Campbell, J., "Systematic disfluency analysis: accountability for differential evaluation and treatment" 1987

      9 Kim, Y. T.,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REVT)"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2009

      10 Sim, H. S., "Paradise-Fluency Assessment II" Paradise Welfare Foundation 2010

      11 Ambrose, N., "Normative disfluency data for early childhood stuttering" 42 : 895-909, 1999

      12 Yairi, E., "Nature and treatment of stuttering: new directions" Allyn & Bacon 49-78, 1997

      13 Yairi, E., "Longitudinal studies of disfluencies in two-year-old children" 25 : 155-160, 1982

      14 Yairi, E., "Early childhood stuttering I: Persistence and recovery" 42 : 1097-1112, 1999

      15 Yairi, E., "Early childhood stuttering : for clinicians by clinicians" Pro-Ed 2005

      16 Yairi, E., "Disfluencies at the onset of stuttering" 27 : 155-159, 1984

      17 Zebrowski, P. M., "Diagnosis in speech-language pathology" Delmar/Cengage Learning 199-232, 2002

      18 Manning, W. H., "Clinical decision making in fluency disorders" Delmar/Cengage Learning 2010

      19 Yairi, E., "A longitudinal study of stuttering in children : a preliminary report" 35 : 775-760,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등재유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13-03-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br>외국어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KCI등재
      2012-1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7-06-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6-09-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8 1.62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