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라왕경 출토 청동유물에서 확인되는 청동기 제작기술의 변천 = Transitions in Bronze Technology Observed in Bronz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Shilla Wang-Gy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565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n initial step to understand the transitions in Korean bronze technology the present study has examined metallurgical microstructures of 8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Silla Wang-Gyong site in Kyongju. Important trends have been found in alloy com...

      As an initial step to understand the transitions in Korean bronze technology the present study has examined metallurgical microstructures of 8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Silla Wang-Gyong site in Kyongju. Important trends have been found in alloy compositions and also in manufacturing processes. In the design of alloys, the Sn content was apparently changing toward the peritectic point, 22 mass %, of the Cu-Sn phase diagram while the Pb addition was intentionally avoided. This trend in composition was found accompanied by the introduction, subsequent to casting, of such special thermo-mechanical treatments as quenching and forging in artifact manufacture. In addition, the Sn content in alloys containing a significant amount of As was relatively low and no evidence of forging was observed in them. The use of quenching and forging and the rejection of Pb and As from alloys are all necessary requirements if the brittle nature of high Sn alloys is to be overcome in bronze working. This paper will show that the Wang-Gyong era corresponds to that of innovations leading to the technical climax in Korean bronze tradition, which has been maintained up to the pres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경주의 신라왕경 유적지에서 출토된 청동유물 8점의 금속학적 미세조 직을 분석하여 이들의 제작에 적용된 청동기 기술의 변천과정을 추적하는 작업이 수행 되었다. 그 결과 ...

      본 연구에서는 경주의 신라왕경 유적지에서 출토된 청동유물 8점의 금속학적 미세조 직을 분석하여 이들의 제작에 적용된 청동기 기술의 변천과정을 추적하는 작업이 수행 되었다. 그 결과 합금의 조성 면에서는 주석함량이 22%를 지향하여 변화되고 있다는 사실과 의도적으로 납을 제외시킨 흔적이 명백하게 드러났다. 제작기법 면에서는 주조 를 근간으로 하되 단순히 주조로만 이루어진 경우와, 주조와 단조 또는 주조와 담금질 을 병행한 경우, 그리고 주조와 단조와 담금질을 모두 병행한 경우가 관찰되었다. 한편 비소를 함유하는 유물에서는 주석함량이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두드림 작업이 생략되 고 있었다. 담금질처리가 수행된 점이나 합금원소에서 납을 제외시킨 점 그리고 비소가 함유된 유물에 두드림이 생략된 점은 모두 당대의 장인들이 합금의 조성과 제작기법 간 의 상관관계를 이미 완벽하게 파악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처리는 모두 주석함 량이 높은 청동기에서 소재의 취성을 낮추기 위하여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이를 인식하 여 실천할 때에 비로소 청동기 기술체계는 완숙한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왕경 출토 청동기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수준의 제작기술을 제시함으로써 이 시기가 우리나라의 청동기 기술수준이 정점에 이르게 되는 변화의 시기였음을 보이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미세조직 분석
      • 1. 청동용기편
      • 2. 청동용기편
      • 3. 청동다리편
      • Ⅰ. 서 론
      • Ⅱ. 미세조직 분석
      • 1. 청동용기편
      • 2. 청동용기편
      • 3. 청동다리편
      • 4. 청동숟가락편
      • 5. 청동향로대각부 및 청동용기편
      • 6. 청동숟가락 2점
      • Ⅲ. 고 찰
      • Ⅳ. 요약 및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