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아랍어 표준성과 그 변화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아랍 세계는 헤지라력(A.H) 4세기까지 고전아랍어가 정립된 이후 아랍 세계가 확장되고 이주민이 유입되어 아랍어는 계속 그 표준성에 도전을 받아왔다. 현대에서는 쓰기 쉬운 아랍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문법 탈피하기, 지역별 방언과 섞임 현상 때문에 아랍어 본래의 표준성이 훼손되고, 외국어의 영향을 받은 정체성 없는 아랍어가 표준어의 위상을 위협할 수준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는 단어 당 형태소를 나타내는 비율인 통합성지수를 측정하여 아랍어의 표준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1차 년도에는 아랍어 총 40,000어절을 분석하였다. 먼저 아랍어의 표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최고표준아랍어인 코란, 하디스의 아랍어 20,000 어절, 아랍어의 표준성이 정확하게 지켜지던 전기 압바스 시대(A.H. 132-334, A.D. 750~946)의 고전문학작품 중 알자히즈(al-jāḥiẓ)의 책『수전노(al-buḳalā’)』의 아랍어 10,000 어절을 분석하여 통합성지수를 측정하여 아랍어의 표준성을 확인하였다. 그 후 현대표준아랍어 10,000어절 분석을 통해 통합성지수를 측정하였고 아랍어 표준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근간으로 2차 년도에 아랍어 총 60,000 어절을 분석하였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집트의 대표 일간지에서 아랍어 15,000어절, 마그립지역과 마슈리끄지역의 사회교과서에서 각각 아랍어 15,000어절, 비아랍권 사회교과서에서 아랍어 15,000어절을 분석하였고 통합성지수를 측정하였다. 그 후 이 분석 결과를 1차년도에 확인한 아랍어 표준성과 비교하여 텍스트 유형별, 지역별 아랍어의 표준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3차 년도에 아랍어 총 60,000 어절을 분석하였다. 비아랍어권의 아랍어 미디어 사이트에서 아랍어 30,000어절, 한국의 공공기관 홍보사이트에서 아랍어 15,000어절, 한국에서 발행된 아랍어 전문 서적에서 아랍어 15,000어절을 분석하여 지역별, 텍스트 유형별 통합성지수를 측정하였다. 그 후 그 결과물을 1차년도에 확인한 아랍어 표준성과 비교하여 아랍어의 표준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1차년도의 현대아랍어의 통합성지수가 4.30로 측정되어 고전아랍어의 통합성지수 4.90 보다 낮아져 아랍어 표준성에서 멀어졌다. 2차년도의 분석결과로는 리야드지와 알아흐람지의 아랍어 통합성지수가 4.44와 4.33로 큰 차이가 없었고, 아랍권과 비아랍권의 사회교과서 아랍어 통합성지수가 4.38과 4.49로 나타나 0.11만큼 비아랍권 사회교과서의 아랍어가 표준성에서 벗어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차 년도의 분석 결과로는 비아랍어권의 아랍어 미디어 사이트, 한
      번역하기

      아랍 세계는 헤지라력(A.H) 4세기까지 고전아랍어가 정립된 이후 아랍 세계가 확장되고 이주민이 유입되어 아랍어는 계속 그 표준성에 도전을 받아왔다. 현대에서는 쓰기 쉬운 아랍어로 표현...

      아랍 세계는 헤지라력(A.H) 4세기까지 고전아랍어가 정립된 이후 아랍 세계가 확장되고 이주민이 유입되어 아랍어는 계속 그 표준성에 도전을 받아왔다. 현대에서는 쓰기 쉬운 아랍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문법 탈피하기, 지역별 방언과 섞임 현상 때문에 아랍어 본래의 표준성이 훼손되고, 외국어의 영향을 받은 정체성 없는 아랍어가 표준어의 위상을 위협할 수준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는 단어 당 형태소를 나타내는 비율인 통합성지수를 측정하여 아랍어의 표준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1차 년도에는 아랍어 총 40,000어절을 분석하였다. 먼저 아랍어의 표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최고표준아랍어인 코란, 하디스의 아랍어 20,000 어절, 아랍어의 표준성이 정확하게 지켜지던 전기 압바스 시대(A.H. 132-334, A.D. 750~946)의 고전문학작품 중 알자히즈(al-jāḥiẓ)의 책『수전노(al-buḳalā’)』의 아랍어 10,000 어절을 분석하여 통합성지수를 측정하여 아랍어의 표준성을 확인하였다. 그 후 현대표준아랍어 10,000어절 분석을 통해 통합성지수를 측정하였고 아랍어 표준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근간으로 2차 년도에 아랍어 총 60,000 어절을 분석하였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집트의 대표 일간지에서 아랍어 15,000어절, 마그립지역과 마슈리끄지역의 사회교과서에서 각각 아랍어 15,000어절, 비아랍권 사회교과서에서 아랍어 15,000어절을 분석하였고 통합성지수를 측정하였다. 그 후 이 분석 결과를 1차년도에 확인한 아랍어 표준성과 비교하여 텍스트 유형별, 지역별 아랍어의 표준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3차 년도에 아랍어 총 60,000 어절을 분석하였다. 비아랍어권의 아랍어 미디어 사이트에서 아랍어 30,000어절, 한국의 공공기관 홍보사이트에서 아랍어 15,000어절, 한국에서 발행된 아랍어 전문 서적에서 아랍어 15,000어절을 분석하여 지역별, 텍스트 유형별 통합성지수를 측정하였다. 그 후 그 결과물을 1차년도에 확인한 아랍어 표준성과 비교하여 아랍어의 표준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1차년도의 현대아랍어의 통합성지수가 4.30로 측정되어 고전아랍어의 통합성지수 4.90 보다 낮아져 아랍어 표준성에서 멀어졌다. 2차년도의 분석결과로는 리야드지와 알아흐람지의 아랍어 통합성지수가 4.44와 4.33로 큰 차이가 없었고, 아랍권과 비아랍권의 사회교과서 아랍어 통합성지수가 4.38과 4.49로 나타나 0.11만큼 비아랍권 사회교과서의 아랍어가 표준성에서 벗어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차 년도의 분석 결과로는 비아랍어권의 아랍어 미디어 사이트, 한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ecutive Summary
      A Study on Arabic Standardization and Non-standard Uses

      Classical Arabic emerged in the fourth century A.H. as the standardized form of the Arabic language, but its status was continuously challenged in subsequent years, particularly as the Arab world expanded and became more populated with foreigners. Today, the status of standardized Arabic is being undermined by trends toward easier expressions, simpler grammar, and mixture with regional dialects, and a foreign-influenced, non-standard form of Arabic is emerging in its stead.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d how standardized Arabic has evolved by determining an index of synthesis, which measures the ratio of morphemes to word in a given language, for different standardized forms. In the first year of the study, a total of 40,000 Arabic synthetic units were analyzed. First, in order to establish a baseline for comparison of standardization, an index of synthesis was calculated for Quranic Arabic through an analysis of 20,000 synthetic units from the Quran and Hadith, and an index of synthesis was calculated for Classical Arabic using 10,000 synthetic units from Kitab al-Bukhalā’ by al-Jāḥiẓ, a work of classical Arabic literature from the Abbasid Era (A.H. 132¬–334, A.D. 750–956). Afterward, an index of s
      번역하기

      Executive Summary A Study on Arabic Standardization and Non-standard Uses Classical Arabic emerged in the fourth century A.H. as the standardized form of the Arabic language, but its status was continuously challenged in subsequent years, particular...

      Executive Summary
      A Study on Arabic Standardization and Non-standard Uses

      Classical Arabic emerged in the fourth century A.H. as the standardized form of the Arabic language, but its status was continuously challenged in subsequent years, particularly as the Arab world expanded and became more populated with foreigners. Today, the status of standardized Arabic is being undermined by trends toward easier expressions, simpler grammar, and mixture with regional dialects, and a foreign-influenced, non-standard form of Arabic is emerging in its stead.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d how standardized Arabic has evolved by determining an index of synthesis, which measures the ratio of morphemes to word in a given language, for different standardized forms. In the first year of the study, a total of 40,000 Arabic synthetic units were analyzed. First, in order to establish a baseline for comparison of standardization, an index of synthesis was calculated for Quranic Arabic through an analysis of 20,000 synthetic units from the Quran and Hadith, and an index of synthesis was calculated for Classical Arabic using 10,000 synthetic units from Kitab al-Bukhalā’ by al-Jāḥiẓ, a work of classical Arabic literature from the Abbasid Era (A.H. 132¬–334, A.D. 750–956). Afterward, an index of 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