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관광 위기관리의 이론적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Building of Crisis Management Model for Tour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203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of crisis like a national disaster has been emphasized due to the increase of grand scale disaster, accident and diseases of recent 2~3 years which is predicted to be fastened as a big issues in bo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 This research has performed to build a response system to manage the risk and minimize the negative effect to the tourism industry from crisis which include large scale disaster, disease and accident. As a research outcomes, theoretical model of crisis management for tourism industry has been suggested. The model of crisis management for tourism industry has six steps; pre-crisis, prodromal, crisis, short-term recovery, long-term recovery and termination of crisis. The content of elements in this model has also six steps; detection, prevention, react, probation, rebuild, and evaluation & feed back. Final stage includes the management strategy and action plans for each step. Lastly, the policy agendas have been presented. Crisis management is needed to retain the confidence of travelers and the tourism industry and also to minimize the impact of a disaster on a destination and also provides some guidelines to help the tourism industry to handle disasters, diseases and accidents.
      번역하기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of crisis like a national disaster has been emphasized due to the increase of grand scale disaster, accident and diseases of recent 2~3 years which is predicted to be fastened as a big issues in both national and interna...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of crisis like a national disaster has been emphasized due to the increase of grand scale disaster, accident and diseases of recent 2~3 years which is predicted to be fastened as a big issues in bo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 This research has performed to build a response system to manage the risk and minimize the negative effect to the tourism industry from crisis which include large scale disaster, disease and accident. As a research outcomes, theoretical model of crisis management for tourism industry has been suggested. The model of crisis management for tourism industry has six steps; pre-crisis, prodromal, crisis, short-term recovery, long-term recovery and termination of crisis. The content of elements in this model has also six steps; detection, prevention, react, probation, rebuild, and evaluation & feed back. Final stage includes the management strategy and action plans for each step. Lastly, the policy agendas have been presented. Crisis management is needed to retain the confidence of travelers and the tourism industry and also to minimize the impact of a disaster on a destination and also provides some guidelines to help the tourism industry to handle disasters, diseases and acci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규모 재난 및 사고 등은 국제관광시장과 국민의 여행계획 취소, 목적지 대체, 여행심리 위축 등을 유발하여 관광수요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궁극적으로 관광산업 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관광산업의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나 위기 관리 시스템이 준비되어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연구 측면에서도 관광위기와 관련한 연구실적은 매우 미흡하며 이 분야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초기 단계에 있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위기관리의 기본 요소들을 관광부문에 적용 가능한 형태로 재구성 하였으며 기존 연구 모델의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의 여건과 관광부문의 현실에 맞는 통합적 모델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위기관리 및 관광 위기 관리의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고 둘째, 위기관리의 구성요소, 과정 및 전략 등에 관한 고찰을 통해 셋째, 관광부문의 특성을 반영하고 관광 위기관리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관광 위기관리의 이론적 모델을 만들고자 하였다. 관광위기관리 모델은 기존 위기관리의 구성요소들과 관리과정에 대한 분석 및 선행 위기관리 모델의 분석을 바탕으로 도출되었으며 위기분야 및 관광분야 전문가들의 검토를 받고 보완하였다. 구체적인 위기과정의 단계로는‘위기발생 전-위기징후-위기발생-단기회복-장기 회복-위기종결’의 6단계로 구성되며, 위기관리의 구성요소로는 ‘탐지-예방 및 대비-대응-수습-재건 및 복구-평가 및 피드백’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다음으로 위기관리의 주요 구성 요소 및 단계별 대응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모델은 Faulkner(2001)의 관광재난관리구조모델을 기반으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통합적 접근 방식을 접목한 것으로 선제적 대응 요소로서 탐지, 예방 및 대비 단계가 추가되었으며, 기존 연구의 재검토 단계를 세분화 시켜 평가와 피드백으로 구분했다는데 특징이 있다. 본 연구는 관광산업의 위기관리를 위한 통합적 모델의 구축을 시도한 최초의 이론적 연구라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대규모 재난 및 사고 등은 국제관광시장과 국민의 여행계획 취소, 목적지 대체, 여행심리 위축 등을 유발하여 관광수요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궁극적으로 관광산업 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

      대규모 재난 및 사고 등은 국제관광시장과 국민의 여행계획 취소, 목적지 대체, 여행심리 위축 등을 유발하여 관광수요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궁극적으로 관광산업 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관광산업의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나 위기 관리 시스템이 준비되어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연구 측면에서도 관광위기와 관련한 연구실적은 매우 미흡하며 이 분야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초기 단계에 있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위기관리의 기본 요소들을 관광부문에 적용 가능한 형태로 재구성 하였으며 기존 연구 모델의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의 여건과 관광부문의 현실에 맞는 통합적 모델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위기관리 및 관광 위기 관리의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고 둘째, 위기관리의 구성요소, 과정 및 전략 등에 관한 고찰을 통해 셋째, 관광부문의 특성을 반영하고 관광 위기관리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관광 위기관리의 이론적 모델을 만들고자 하였다. 관광위기관리 모델은 기존 위기관리의 구성요소들과 관리과정에 대한 분석 및 선행 위기관리 모델의 분석을 바탕으로 도출되었으며 위기분야 및 관광분야 전문가들의 검토를 받고 보완하였다. 구체적인 위기과정의 단계로는‘위기발생 전-위기징후-위기발생-단기회복-장기 회복-위기종결’의 6단계로 구성되며, 위기관리의 구성요소로는 ‘탐지-예방 및 대비-대응-수습-재건 및 복구-평가 및 피드백’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다음으로 위기관리의 주요 구성 요소 및 단계별 대응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모델은 Faulkner(2001)의 관광재난관리구조모델을 기반으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통합적 접근 방식을 접목한 것으로 선제적 대응 요소로서 탐지, 예방 및 대비 단계가 추가되었으며, 기존 연구의 재검토 단계를 세분화 시켜 평가와 피드백으로 구분했다는데 특징이 있다. 본 연구는 관광산업의 위기관리를 위한 통합적 모델의 구축을 시도한 최초의 이론적 연구라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진철,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초기대응과 재난관리의 한계" 한국환경사회학회 12 (12): 43-82, 2008

      2 박상곤, "테러가 관광에 미치는 영향분석" 28 (28): 77-94, 2004

      3 이중엽, "콘텐츠를 통한 재난예방교육-일본의 사례 in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웹진"

      4 정찬권, "지방정부의 위기관리 체계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64 : 149-173, 2010

      5 김경희, "지방정부의 관광위기 커뮤니케이션 체계분석:강원도 수해대책을 사례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6 고계성, "전염병 위협에 따른 관광산업 위기관리 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관광경영학회 14 (14): 1-17, 2010

      7 김영욱, "위험,위기,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8 김영욱, "위기관리의 이해" 책과길 2002

      9 이인배, "서해안 유류유출 관광위기 대응실태와 극복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72-95, 2009

      10 오상훈,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제주지역 관광위기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3 (23): 363-381, 2008

      1 노진철,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초기대응과 재난관리의 한계" 한국환경사회학회 12 (12): 43-82, 2008

      2 박상곤, "테러가 관광에 미치는 영향분석" 28 (28): 77-94, 2004

      3 이중엽, "콘텐츠를 통한 재난예방교육-일본의 사례 in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웹진"

      4 정찬권, "지방정부의 위기관리 체계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64 : 149-173, 2010

      5 김경희, "지방정부의 관광위기 커뮤니케이션 체계분석:강원도 수해대책을 사례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6 고계성, "전염병 위협에 따른 관광산업 위기관리 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관광경영학회 14 (14): 1-17, 2010

      7 김영욱, "위험,위기,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8 김영욱, "위기관리의 이해" 책과길 2002

      9 이인배, "서해안 유류유출 관광위기 대응실태와 극복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72-95, 2009

      10 오상훈,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제주지역 관광위기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3 (23): 363-381, 2008

      11 정주철, "긴급재난 대피시간에 대한 도시확산 현상의 효과에 관한 연구: 미국 텍사스 해변 지역 사례연구" 한국방재학회 8 (8): 43-49, 2008

      12 최진혁, "기업 위기관리(Crisis Management) 전략에 관한 연구 -해외 Pandemic Planning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업경영학회 17 (17): 149-169, 2010

      13 이대성, "국제관광지의 대테러 위기관리 인식에 관한 연구: 민간경비 종사자들 중심으로" 155-175, 2009

      14 장병권, "국내‧외 관광위기관리의 동향과 정책과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5 (5): 24-39, 2009

      15 이종열, "국가위기관리 통합적 체계구축에 관한 연구.한국사회와" 15 (15): 347-367, 2003

      16 임재문, "관광학적인 측면에서 재난지역 위기관리기능에 관한 연구 - 특별재난지역 태안을 방문한 관광객들의 동기를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34 (34): 229-248, 2010

      17 류광훈, "관광위기와 재난에 따른 영향과 대책 사례 in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웹진"

      18 김대관, "관광분야의 위기관리 대응전략 in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웹진"

      19 김대관, "관광부문 위기관리 매뉴얼 개발 연구용역"

      20 Ronald, W. Perry, "Volcano hazard management strategies: fitting policy to patterned human responses" 14 (14): 183-195,

      21 Reisinger, "Travel Anxiety and Intentions to travel internationally: implications of travel risk perception" 43 (43): 212-225, 2005

      22 Faulkner,B, "Towards a framework for tourism disaster management" 22 : 135-147, 2001

      23 APEC, "Tourism risk management for the asia pacific region: An authoritative guide for managing crises and disaster" APEC 2004

      24 S. F. Sönmez, "Tourism in crisis: managing the effects of terrorism" 38 (38): 13-18, 1999

      25 Paul,Slovic, "The Perception of Risk" Earthscan. Y 2000

      26 Gui,Santana, "Sports tourism and crisis management" 4 (4): 12-29, 1998

      27 Nigel, Evans, "Models of crisis management: an evaluation of their value for strategic planning in the international travel industry" 7 (7): 135-150, 2005

      28 Mitroff, I. I, "Managing crisis before they happen: What every executive and manager needs to know about crisis management" AMACOM 2001

      29 Joan,Henderson, "Managing a tourism crisis in southeast asia" 3 (3): 85-105, 2002

      30 Tsaur, S. H., "Evaluating tourist risks from fuzzy perspectives" 24 (24): 796-812, 1997

      31 Drabek, T. E, "Emergent phenomena and the sociology of disaster" 12 (12): 97-112, 2003

      32 PATA, "Crisis, It Won't Happen to Us!" PATA 2003

      33 Christine, M. Pearson, "Crisis prone to crisis prepared: A framework for crisis management" 7 (7): 48-59, 1993

      34 Fink,Steven, "Crisis management: Planning for the inevitable" American Management Association 1986

      35 Laws, E, "Crisis management: A suggested typology" 19 (19): 1-8, 2005

      36 Mitroff, I. I., "Crisis management: A diagnostic guide for improving your organization's crisis-preparedness" Jossey-Bass Publishers 1993

      37 Coombs,T, "Crisis management: A communicative approach. In Public Relations Theory, II" 171-197, 2006

      38 Huang, Yu-Chin, "Crisis management planning to restore tourism after disasters" 23 (23): 203-221, 2008

      39 Cassedy,K, "Crisis management planning in the travel and tourism industry: a study of three destinations cases and a crisis management planning manual" Pacific Asia Travel Association 1991

      40 Luhman,D, "Crisis guidelines for the tourism industry"

      41 Reynolds, B, "Crisis and emergency risk communication as an integrative model" 10 (10): 43-55, 2005

      42 Gui,Santana, "Crisis Management and Tourism" 15 (15): 299-321, 2004

      43 United, Nations, "Commission for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UN ECLAC). Handbook for estimating the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effects of disasters"

      44 Moe, T. L, "An integrated approach to natural disaster management: Public project management and its critical success factors" 15 (15): 396-413,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5 1.95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82 2.049 0.9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