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독립국가연합의 무국적 고려인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무국적 고려인의 문제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남부 로스토프지역을 사례로 고찰하는 것이다. 최근의 언론 보도에 의하면 무국적 고려인들의 수는 전체 고려인 약 55만명의 10%에 해당하는 5만여명에 이른다. 불법체류 또는 무국적 때문에 자녀의 교육 및 취업, 그리고 의료보장 등 사회보장혜택에서 큰 제한과 차별을 받고 있다. 이들은 원거주지로 귀환할 수 없어 가족과의 생이별을 겪고 있는 경우도 많다.
      무국적 고려인의 발생은 다양한 요인에 기인한다. 1991년 12월 구소련의 붕괴를 전후로 하여 중앙아시아 지역에 거주하던 고려인들은 현지의 언어, 종교 및 민족 문제로 인해 조상들이 거주하였던 연해주나 구소련 시절 소비에트 연방에서 소비되는 농산물의 50%를 생산해낸 세계적 곡창지대인 우크라이나 또는 러시아 각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발생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는 거시적 측면에서는 연구대상지역인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이 기존문헌을 이용하여 구소련 거주 무국적 고려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게 될 것이다. 그 다음으로 현지조사에서는 인터뷰, 참여관찰 및 현지기록의 분석 등이 이용될 것이다.
      현지조사의 대상지역은 무국적 고려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우크라이나의 크림자치주와 러시아의 로스토프주에서 실시될 것이다. 크림 자치주와 로스토프주는 인접지역에 위치하면서 각각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라는 각기 상이한 국가에 속하고 있기 때문에 무국적 고려인 문제를 비교적으로 고찰하는 데 상당히 유리하다. 우크라이나의 크림 자치주와 러시아의 로스토프주는 모두 1980년대 이후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이 대거 이주한 지역으로 무국적 고려인이 여타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많아 본 연구를 위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연구결과로서 첫째, 승계대상지역의 선행국 국민의 주권은 승계국의 국적으로 취득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고려인들의 무국적의 경우 이러한 원칙이 이행되지 않는 실정이다. 이 경우 이들은 바로 법률상의 무국적 상태에 해당한다. 또한 고려인의 경우 금전(비용)문제, 처한 현재의 상황 또는 처벌의 두려움 또는 차별의 이유 등과 같은 실제적인 이유 때문에 자신의 국적을 주장할 수 없기 때문에 무국적 상태가 된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사실상의 무국적자’자에 해당할 수도 있다.
      둘째, 고려인과 상당히 유사한 크림 따따르인들의 무국적 문제의 해결과정을 검토할 때 한국정부의 대책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크림 따따르인들의 무국적 해결에는 국제난민기구(UNHCR)의 노력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무국적 고려인 문제와 관련하여 한국과 현지 당사국의 양자간의 노력 이외에도 이러한 문제를 주로 다루는 국제기구와의 공동노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는 자칫 당사국간의 관계 경색으로 인하여 문제해결이 어려울 경우 당사국 대신 제3자인 국제기구가 개입하도록 함으로써 특히 문제해결에 유효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법률적인 노력이외에도 경제적인 노력이 필수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특히 우크라이나의 경우 무국적 고려인들이 합법적인 체류를 하기 위해서는 노동허가를 취득해야 하고, 이러한 노동허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달 약 60불 정도를 지불해야 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근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무국적 고려인의 문제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남부 로스토프지역을 사례로 고찰하는 것이다. 최근의 언론 보도에 의하면 무국적 고려인들의 수는 전체 고려인 약 55만명의...

      본 연구의 목적은 무국적 고려인의 문제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남부 로스토프지역을 사례로 고찰하는 것이다. 최근의 언론 보도에 의하면 무국적 고려인들의 수는 전체 고려인 약 55만명의 10%에 해당하는 5만여명에 이른다. 불법체류 또는 무국적 때문에 자녀의 교육 및 취업, 그리고 의료보장 등 사회보장혜택에서 큰 제한과 차별을 받고 있다. 이들은 원거주지로 귀환할 수 없어 가족과의 생이별을 겪고 있는 경우도 많다.
      무국적 고려인의 발생은 다양한 요인에 기인한다. 1991년 12월 구소련의 붕괴를 전후로 하여 중앙아시아 지역에 거주하던 고려인들은 현지의 언어, 종교 및 민족 문제로 인해 조상들이 거주하였던 연해주나 구소련 시절 소비에트 연방에서 소비되는 농산물의 50%를 생산해낸 세계적 곡창지대인 우크라이나 또는 러시아 각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발생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는 거시적 측면에서는 연구대상지역인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이 기존문헌을 이용하여 구소련 거주 무국적 고려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게 될 것이다. 그 다음으로 현지조사에서는 인터뷰, 참여관찰 및 현지기록의 분석 등이 이용될 것이다.
      현지조사의 대상지역은 무국적 고려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우크라이나의 크림자치주와 러시아의 로스토프주에서 실시될 것이다. 크림 자치주와 로스토프주는 인접지역에 위치하면서 각각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라는 각기 상이한 국가에 속하고 있기 때문에 무국적 고려인 문제를 비교적으로 고찰하는 데 상당히 유리하다. 우크라이나의 크림 자치주와 러시아의 로스토프주는 모두 1980년대 이후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이 대거 이주한 지역으로 무국적 고려인이 여타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많아 본 연구를 위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연구결과로서 첫째, 승계대상지역의 선행국 국민의 주권은 승계국의 국적으로 취득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고려인들의 무국적의 경우 이러한 원칙이 이행되지 않는 실정이다. 이 경우 이들은 바로 법률상의 무국적 상태에 해당한다. 또한 고려인의 경우 금전(비용)문제, 처한 현재의 상황 또는 처벌의 두려움 또는 차별의 이유 등과 같은 실제적인 이유 때문에 자신의 국적을 주장할 수 없기 때문에 무국적 상태가 된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사실상의 무국적자’자에 해당할 수도 있다.
      둘째, 고려인과 상당히 유사한 크림 따따르인들의 무국적 문제의 해결과정을 검토할 때 한국정부의 대책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크림 따따르인들의 무국적 해결에는 국제난민기구(UNHCR)의 노력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무국적 고려인 문제와 관련하여 한국과 현지 당사국의 양자간의 노력 이외에도 이러한 문제를 주로 다루는 국제기구와의 공동노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는 자칫 당사국간의 관계 경색으로 인하여 문제해결이 어려울 경우 당사국 대신 제3자인 국제기구가 개입하도록 함으로써 특히 문제해결에 유효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법률적인 노력이외에도 경제적인 노력이 필수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특히 우크라이나의 경우 무국적 고려인들이 합법적인 체류를 하기 위해서는 노동허가를 취득해야 하고, 이러한 노동허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달 약 60불 정도를 지불해야 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근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e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problem of the stateless Koreans in the CIS, especially in Ukraine and the Rostov Oblast in the southern Russian region. According to a recent report, the number of the stateless Koreans is 50,000 persons, about 10 percent of the Soviet Koreans living in the CIS. These stateless Koreans have been subject to harsh discrimination in education of their children, their employment, and benefits of medical care.
      Statelessness of the Soviet Koreans results from various factors, but the phenomenon is mainly due to fact that the Soviet Koreans, who struggled with ethnic and linguistic difficulties in Central Asia following the breakdown of the USSR in December, 1991, migrated to Ukraine or to the southern Russian region.
      Research method of the study consists not only of a literature review of existing documents, related articles or relevant studies, but of field survey, interviews with related people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mong research sites of the study are the Crimean peninsula in Ukraine and the Rostov oblast, where the stateless Koreans are concentrated. The regions mentioned above are advantageous for a comparative study in that they belong to different countries, but are located not far away from each other.
      This research, first of all, shows that the stateless Soviet Koreans are involved not only in de jure stateless, but in de facto stateless. It means that the Soviet Koreans became stateless because they could not claim or declare their nationality due to their fear for prosecution or for banishment from their current resident nation, in addition to the fact they are legally stateless.
      Second,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diversify its policies for the stateless Soviet Koreans. That is,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make enormous efforts to cooperate with such international organization as UNHCR as in the case of the stateless Crimean Tatars. UNHCR played a crucial role in seeking the cooperation of the Uzbek government in granting necessary permission to the stateless Crimean Tatars from Uzbekistan, the former resident nation of the Crimean Tatars.
      Finally, this study shows that the solution of statelessness of the Soviet Koreans requires governmental economic efforts in addition to legal ones, since the stateless Koreans in Ukraine, for example, need to pay about $60 for the labor permission, which is a preliminary step for the Soviet Koreans to obtain the right to stay in Ukraine, before acquisition of Ukrainian nationality. The fee for the labor permission is not a small amount for the stateless Koreans, who could barely support their families or themselves.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formulate various policies for self-reliance of the stateless Soviet Koreans as an important step to solve the problematic statelessness of its former Soviet brethren.
      번역하기

      The goal of the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problem of the stateless Koreans in the CIS, especially in Ukraine and the Rostov Oblast in the southern Russian region. According to a recent report, the number of the stateless Koreans is 50,000 persons, ...

      The goal of the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problem of the stateless Koreans in the CIS, especially in Ukraine and the Rostov Oblast in the southern Russian region. According to a recent report, the number of the stateless Koreans is 50,000 persons, about 10 percent of the Soviet Koreans living in the CIS. These stateless Koreans have been subject to harsh discrimination in education of their children, their employment, and benefits of medical care.
      Statelessness of the Soviet Koreans results from various factors, but the phenomenon is mainly due to fact that the Soviet Koreans, who struggled with ethnic and linguistic difficulties in Central Asia following the breakdown of the USSR in December, 1991, migrated to Ukraine or to the southern Russian region.
      Research method of the study consists not only of a literature review of existing documents, related articles or relevant studies, but of field survey, interviews with related people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mong research sites of the study are the Crimean peninsula in Ukraine and the Rostov oblast, where the stateless Koreans are concentrated. The regions mentioned above are advantageous for a comparative study in that they belong to different countries, but are located not far away from each other.
      This research, first of all, shows that the stateless Soviet Koreans are involved not only in de jure stateless, but in de facto stateless. It means that the Soviet Koreans became stateless because they could not claim or declare their nationality due to their fear for prosecution or for banishment from their current resident nation, in addition to the fact they are legally stateless.
      Second,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diversify its policies for the stateless Soviet Koreans. That is,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make enormous efforts to cooperate with such international organization as UNHCR as in the case of the stateless Crimean Tatars. UNHCR played a crucial role in seeking the cooperation of the Uzbek government in granting necessary permission to the stateless Crimean Tatars from Uzbekistan, the former resident nation of the Crimean Tatars.
      Finally, this study shows that the solution of statelessness of the Soviet Koreans requires governmental economic efforts in addition to legal ones, since the stateless Koreans in Ukraine, for example, need to pay about $60 for the labor permission, which is a preliminary step for the Soviet Koreans to obtain the right to stay in Ukraine, before acquisition of Ukrainian nationality. The fee for the labor permission is not a small amount for the stateless Koreans, who could barely support their families or themselves.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formulate various policies for self-reliance of the stateless Soviet Koreans as an important step to solve the problematic statelessness of its former Soviet brethre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