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요양병원 여성 암 환자의 정신건강, 가족문제해결 의사소통이 암 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and Family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on Cancer Adjustment of Women with Cancer in Nursing Hospit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22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adjustment of cancer, mental health, and family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of women with canc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to improve the adjustment of cancer of women an...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adjustment of cancer, mental health, and family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of women with canc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to improve the adjustment of cancer of women and improve women’s mental health to form family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Methods : This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among 101 women with cancer living in the Seoul region. Data collection occurred from August 1,2018, to August 23. The data are reported a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were analyzed with t tests,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regression using SPSS version 21.0.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djustment to cancer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education level of the participants (F=3.27,p<.05) and self-help group participation (F=3.156,p<.05). In this study, the mental health of female cancer patients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adjustment to cancer (F=13.13,p<.001). These results explained 19.7% of the variance (F=13.13,p<.001) in mental health and adjustment to cancer in female cancer patients.
      Conclusion : In this study, mental health was significantly affected adjustment to cancer. The results suggest that adjustment to cancer can be promoted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considering the mental health of female cancer patients.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identify the factors in consideration of various variables in addition to the sociodemographic and disease-related variables that may affect the adjustment to cancer of female cancer patients in nursing hospita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경, "항암 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의 적응 구조모형" 대한종양간호학회 11 (11): 101-107, 2011

      2 문하늬, "지역사회 물리적 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연구원 19 (19): 87-103, 2018

      3 허제은, "중년여성의 영적안녕,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성인간호학회 26 (26): 181-190, 2014

      4 김정애, "중년 여성들의 삶에 대한 조명" 국제문화기술진흥원 1 (1): 47-68, 2015

      5 채선영, "종합병원과 요양병원에 입원한 암 환자의 신체적 증상과 희망 및 가족지지 비교 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 25 (25): 298-311, 2013

      6 김현정, "정신건강과 일반적 신체건강 간 관계" 한국건강심리학회 21 (21): 815-828, 2016

      7 김윤정, "정서표현 양가성, 건강통제 소재가 암 환자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22 (22): 81-101, 2017

      8 김혜영, "젊은 유방암 생존자와 나이든 유방암 생존자의 심리사회적 적응" 대한종양간호학회 12 (12): 280-288, 2012

      9 이보영, "일 지역에 거주하는 암환자의 삶의 질, 정신건강 및 주관적 건강상태 조사" 한국보건간호학회 24 (24): 49-60, 2010

      10 변혜선, "유방암 환자의 피로, 통증, 불안,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종양간호학회 12 (12): 27-34, 2012

      1 이은경, "항암 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의 적응 구조모형" 대한종양간호학회 11 (11): 101-107, 2011

      2 문하늬, "지역사회 물리적 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연구원 19 (19): 87-103, 2018

      3 허제은, "중년여성의 영적안녕,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성인간호학회 26 (26): 181-190, 2014

      4 김정애, "중년 여성들의 삶에 대한 조명" 국제문화기술진흥원 1 (1): 47-68, 2015

      5 채선영, "종합병원과 요양병원에 입원한 암 환자의 신체적 증상과 희망 및 가족지지 비교 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 25 (25): 298-311, 2013

      6 김현정, "정신건강과 일반적 신체건강 간 관계" 한국건강심리학회 21 (21): 815-828, 2016

      7 김윤정, "정서표현 양가성, 건강통제 소재가 암 환자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22 (22): 81-101, 2017

      8 김혜영, "젊은 유방암 생존자와 나이든 유방암 생존자의 심리사회적 적응" 대한종양간호학회 12 (12): 280-288, 2012

      9 이보영, "일 지역에 거주하는 암환자의 삶의 질, 정신건강 및 주관적 건강상태 조사" 한국보건간호학회 24 (24): 49-60, 2010

      10 변혜선, "유방암 환자의 피로, 통증, 불안,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종양간호학회 12 (12): 27-34, 2012

      11 박진희, "유방암 환자의 치료과정에 따른 지지적 관리 요구도의 변화와 삶의 질" 대한종양간호학회 16 (16): 217-225, 2016

      12 박병우, "유방암 환자의 우울과 대처" 한국유방암학회 12 (12): 199-209, 2009

      13 이명선, "유방암 여성들의 자조집단 활동 경험" 한국성인간호학회 26 (26): 466-478, 2014

      14 최배정, "유방암 수술 환자의 불안,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7 (17): 87-95, 2011

      15 정경숙, "유방암 생존자의 디스트레스, 가족지지 및 건강증진행위" 대한종양간호학회 14 (14): 146-154, 2014

      16 김현숙, "유방 양성종양 절제술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의 영향요인"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24 (24): 163-173, 2018

      17 위은숙, "위암 환자의 고통, 불안, 우울 및 영적 요구" 대한종양간호학회 12 (12): 314-322, 2012

      18 장아영, "요양병원 입원 암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한국노인간호학회 20 (20): 35-44, 2018

      19 이은희,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1619-1624, 2012

      20 강지인, "암 환자의 정신사회적 특성과 정신 건강"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6 (46): 421-429, 2007

      21 김경혜, "암 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와 삶의 질" 대한종양간호학회 9 (9): 52-59, 2009

      22 박영애, "반려동물 양육여부에 따른 노인의 정신건강 차이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3

      23 Head BA, "Use of the distress thermometer to discern clinically relevant quality of life differences in women with breast cancer" 21 (21): 215-223, 2012

      24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Trend analysis of cancer incidence"

      25 Shin SI,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KGHQ)KGHQ-20 and KGHQ-30" 46 (46): 210-235, 2001

      26 Howell DD, "Supported self-management for cancer survivors to address long-term biopsychosocial consequences of cancer and treatment to optimize living well" 12 (12): 92-99, 2018

      27 Kang JI,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adjustment to cancer(K-Mini-MAC)scale : factor structure, reliability and validity" 17 (17): 592-597, 2008

      28 Brandao T, "Psychological adjustment after breast cancer : a systematic review of longitudinal studies" 26 (26): 917-926, 2017

      29 Hashemi, S, "Prevalence of anxiety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7 (27): 166-178, 2020

      30 Ahn HS, "Patient care and management in long term care hospitals" 12 (12): 90-94, 2015

      31 Edib Z, "Most prevalent unmet supportive care needs and quality of life of breast cancer patients in a tertiary hospital in Malaysia" 14 (14): 2016

      32 Kornblith AB, "Long-term psychosocial adjustment of older vs younger survivors of breast and endometrial cancer" 16 (16): 895-903, 2007

      33 Rohani C,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the predictive role of sense of coherence, spirituality and religious coping in a sample of Iranian women with breast cancer: a prospective study with comparative design" 13 : 2015

      34 McCubbin MA, "Family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FPSC). Family assessment: resiliency, coping and adaption: 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University of Wisconsin 639-688, 1996

      35 Holland J, "Distress management" 8 (8): 448-485, 2010

      36 Watson M,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measure of adjustment to cancer : the MAC scale" 18 (18): 203-209, 1988

      37 Coreil J, "Cultural models of illness and recovery in breast cancer support groups" 14 (14): 905-923, 2004

      38 Seo J, "Construction of a model for psychosocial adjustment of breast cancer survivors based on family resilienc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8

      39 Lauriola M, "Biopsychosocial correlates of adjustment to cancer during chemotherapy: The key rol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2019 : 2019

      40 Arambasic J, "Attachment styles,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in long-term breast cancer survivors" 28 (28): 1134-1141, 2019

      41 Goldberg DP, "A user's guide to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Nfer-Nelson 19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