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국 지리사진 콘테스트를 통한 고등학생들의 지리적 인식 연구 = 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Geographic Cognition through the Geographical Photographs Contes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3084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리사진은 촬영자의 지리적 관점이 투영되어 있으므로 지리적 인식을 해석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지리적 인식을 그들이 직접 촬영한 ...

      지리사진은 촬영자의 지리적 관점이 투영되어 있으므로 지리적 인식을 해석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지리적 인식을 그들이 직접 촬영한 사진을 통해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2009년 제 1회 전국 고등학생 지리사진 콘테스트``를 통해 모집된 총 94개의 사진을 분석한 것이다. 사진의 주제별 비율은 자연지리(50%), 인문지리(40%), 지역지리(6%), 환경지리(4%) 순으로 나타났고, 자연지리작품 중에서는 지형 사진이 91%로 가장 많았다. 이는 지리교과서의 자연지리 단원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사진을 사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또한 지역별로 사진 주제를 분석한 결과, 자연지리 사진의 비율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많았으나, 경기도와 서울 지역은 예외적으로 인문지리 사진의 비중이 높았다. 지형 주제의 사진은 그 지역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지형들을 주제로 한 사진이 많아 지역에 따라 지리적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eographical photographs are used as an engine for analyzing geographic cognition because it reflects geographic viewpoint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figure out the geographic cogni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through their photographs ...

      Geographical photographs are used as an engine for analyzing geographic cognition because it reflects geographic viewpoint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figure out the geographic cogni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through their photographs that was taken themselves. 94 Photos had been collected through the 1st Highschool Geographical Photographs Contest in 2009. Percentages of photographs in geographical themes are as follows; physical geography(50%), human geography(40%), regional geography(6%), and environment geography(4%). There was 91% of landform theme in physical geography. This result are concerned with the structure of school books that are mainly comprised of geographical photographs in physical geography. On the analysis on photographs themes by region, there were many photographs in physical geography at the national level. Exceptionally, a large portion of photos was related to human geography, which were mainly focused upon Gyeonggi Province and Seoul. As a result, geographical photos by high school students are influenced by their residential areas and loca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은성, "해남지역 관광객의 지리적 인식이 관광행태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4

      2 조성욱, "지리지식의 범주화와 지역인식 -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1 (11): 1-16, 2003

      3 김지영, "지리적 지식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 특성 연구" 50 : 81-101, 2006

      4 김창환, "지리사진 콘테스트를 통한 고등학생들의 지리적 인식 연구 - 강원도를 사례로 -" 한국사진지리학회 19 (19): 1-12, 2009

      5 임덕순, "지리교육원리" 법문사 2000

      6 정인철, "지리교육에 있어서 위성사진의 활용방안" 7 (7): 67-8, 1999

      7 전임경, "제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2001

      8 김연옥, "사회과 지리교육연구" 교육과학사 2003

      9 심광택, "사회과 지리 교실수업과 지역학습" 교육과학사 2007

      10 김주환, "사진지리학의 연구범위와 과제" 3-15, 1993

      1 정은성, "해남지역 관광객의 지리적 인식이 관광행태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4

      2 조성욱, "지리지식의 범주화와 지역인식 -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1 (11): 1-16, 2003

      3 김지영, "지리적 지식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 특성 연구" 50 : 81-101, 2006

      4 김창환, "지리사진 콘테스트를 통한 고등학생들의 지리적 인식 연구 - 강원도를 사례로 -" 한국사진지리학회 19 (19): 1-12, 2009

      5 임덕순, "지리교육원리" 법문사 2000

      6 정인철, "지리교육에 있어서 위성사진의 활용방안" 7 (7): 67-8, 1999

      7 전임경, "제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2001

      8 김연옥, "사회과 지리교육연구" 교육과학사 2003

      9 심광택, "사회과 지리 교실수업과 지역학습" 교육과학사 2007

      10 김주환, "사진지리학의 연구범위와 과제" 3-15, 1993

      11 이기복, "구성주의적 사회과 교육을 위한 사진자료 활용방안" 6 (6): 117-138, 2000

      12 권동희, "고등학교 지리교육에서의 지리사진의 활용 실태와 효율적인 이용방안" 2 (2): 39-54, 1994

      13 伊奈信男, "アシヒカメラ敎室" 風景写真 1966

      14 김창환, "Mental Map을 통한 공간인지도 분석" 10 (10): 21-41, 1999

      15 Li, Y., "Geographycal Consciousness and Tourism Esperience" 27 (27):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43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