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성’측면에서 본 현행 도시재생정책 및 제도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220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제도적 도시재생사업으로 대표되는 국내의 도시정비사업은 시대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내세우면서도 기존의 사업구조와 차별화되지 못하고 도시재생사업이 추구하는 목표와 가치를 제대로...

      제도적 도시재생사업으로 대표되는 국내의 도시정비사업은 시대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내세우면서도 기존의 사업구조와 차별화되지 못하고 도시재생사업이 추구하는 목표와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 관련 정책과 제도의 공공성 문제를 공공성의 유형적 특성에 따라 고찰하며 실천적 개념으로써 도시재생사업의 정책과 제도의 공공성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공성의 일반적 의미와 절차, 내용, 그리고 주체에 대한 유형적 개념을 살펴보고 이를 도시재생사업의 정책 및 제도의 주요 관련 부분에 대입하여 도시재생사업이 추구하는 목표와 가치를 공공성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도시재생사업의 과정과 결과는 지역주민의 삶과 도시의 미래상을 결정하는 주요한 사업으로써 공공사업의 성격과 공익사업의 특성을 동시에 포함한다. 따라서 공공성에 기초한 도시재생사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기존의 결과 중심, 사익 중심, 공공의 수동적 역할에서 절차 중심, 공익 중심, 행위주체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역할 변화를 통해 기존의 도시정비사업과 차별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the domestic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insist epochal changes, the institutional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no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roject structure, and also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goals and values of the urban regene...

      Although the domestic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insist epochal changes, the institutional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no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roject structure, and also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goals and values of the urban regener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 of procedure, contents of public interest, and active change of government ro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s of the publicness. Futhermore, this study aims to build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policy and legal system, with the following objectives. First, the common meaning of the publicness, the procedure, the contents, and the principal agent were examined. Second, the goals and value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ere examined as those results were plugged in the related part of the policy and legal system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Procedure and resul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oth characteristics as the public works and public interests, which can redefine the life of residents and the future of communities. Consequently, the refined paradigm of the urban regeneration based upon the concept of publicness should be changed from the existing priorities of the results, private interest, and passive roles of government to focus more on the priorities of procedure, public interest, and active roles of govern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공공성과 도시재생사업
      • 3. 도시재생사업의 정책 및 제도에서의 공공성 문제
      • 국문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공공성과 도시재생사업
      • 3. 도시재생사업의 정책 및 제도에서의 공공성 문제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변창흠, "지속가능성과 주거안정을 위한 서울시 도시재정비사업의 현황" (325) : 7-, 2009

      2 장경석, "주택 재개발,재건축사업 공공관리제도의 문제점과 정책과제" (95) : 3-, 2010

      3 이창호, "주거환경개선사업의 문제점과 정책ㆍ입법과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8 (28): 189-198, 2012

      4 이명훈, "정비사업에서 공공성 증진을 위한 과제" (325) : 3-, 2009

      5 김현주, "재개발,재건축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1-, 2001

      6 사이토 준이치, "민주적 공공성" 이음 18-19, 2009

      7 박진수, "도시재생의 역사적 배경과 원인에 따른 인식 및 정책변화에 관한 고찰"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4 (14): 63-73, 2012

      8 송기백,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정비사업의 문제점 분석 및 제도개선 방향 연구" 대한건축학회 26 (26): 307-314, 2010

      9 이승훈, "근대와 공공성 딜레마 - 개념과 사상을 중심으로" 민주사회정책연구원 (13) : 13-45, 2008

      10 Jurgen Habamas, "공론장의 구조변동" 나남신서 1961

      1 변창흠, "지속가능성과 주거안정을 위한 서울시 도시재정비사업의 현황" (325) : 7-, 2009

      2 장경석, "주택 재개발,재건축사업 공공관리제도의 문제점과 정책과제" (95) : 3-, 2010

      3 이창호, "주거환경개선사업의 문제점과 정책ㆍ입법과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8 (28): 189-198, 2012

      4 이명훈, "정비사업에서 공공성 증진을 위한 과제" (325) : 3-, 2009

      5 김현주, "재개발,재건축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1-, 2001

      6 사이토 준이치, "민주적 공공성" 이음 18-19, 2009

      7 박진수, "도시재생의 역사적 배경과 원인에 따른 인식 및 정책변화에 관한 고찰"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4 (14): 63-73, 2012

      8 송기백,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정비사업의 문제점 분석 및 제도개선 방향 연구" 대한건축학회 26 (26): 307-314, 2010

      9 이승훈, "근대와 공공성 딜레마 - 개념과 사상을 중심으로" 민주사회정책연구원 (13) : 13-45, 2008

      10 Jurgen Habamas, "공론장의 구조변동" 나남신서 1961

      11 조한상, "공공성이란 무엇인가" 책세상 2009

      12 김세훈, "공공성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공공성-공공성에 대한 다양한 접근" 미메시스 2009

      13 이주형, "공공성 확보를 위한 도시재생사업에서 공공의 역할" 교육개혁심의회 61 : 141-159, 2009

      14 장성수, "‘분배적 정의’ 개념에서 본 재건축사업의 문제" 39 (39): 30-37, 1995

      15 한나 아렌트, "[단행본] 인간의 조건" 한길사 112-, 1996

      16 Richard Sennett, "The Fall of Public Man, Penguin Books), In 현대의 침몰" 일월서각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1 1.33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