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제5장 한국민족사상의 개념과 성격 = A Study on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Korean Nationa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89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Korean nationalism, and to investigate the modern meaning provided by Korean nationalism. Korean nationalism is significant in the fact that it is the nation's psychological foundation and psychological basis to lead the future. I have approached the conceptual frame of the study from three approaches: 1) uniqueness of the Korean people, history of our nation, and the unique nationalism of the Korean nation. From such perspective, the character of Korean nationalism was categorized into four main groups. The first reflected the ethical spirit of humanitarianism, the second displayed a Korean democratic character reflecting the unique features of the Korean race, the third showed that for foreign ideas, the spirit of harmony based on recreation was developed into a national idea, and fourthly, it displays a Daedong (great virtue) ideal based on the people. This kind of Korean nationalism was the psychological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history, and plays a pivotal role for resolving the issues of the past, of which our nation confronts. In addition, it is the psychological center point of the incompleteness of Korean nationalism and for the current issue of national unification, in which modern significance is given.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Korean nationalism, and to investigate the modern meaning provided by Korean nationalism. Korean nationalism is significant in the fact that it is the nation's psychological foundation and psyc...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Korean nationalism, and to investigate the modern meaning provided by Korean nationalism. Korean nationalism is significant in the fact that it is the nation's psychological foundation and psychological basis to lead the future. I have approached the conceptual frame of the study from three approaches: 1) uniqueness of the Korean people, history of our nation, and the unique nationalism of the Korean nation. From such perspective, the character of Korean nationalism was categorized into four main groups. The first reflected the ethical spirit of humanitarianism, the second displayed a Korean democratic character reflecting the unique features of the Korean race, the third showed that for foreign ideas, the spirit of harmony based on recreation was developed into a national idea, and fourthly, it displays a Daedong (great virtue) ideal based on the people. This kind of Korean nationalism was the psychological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history, and plays a pivotal role for resolving the issues of the past, of which our nation confronts. In addition, it is the psychological center point of the incompleteness of Korean nationalism and for the current issue of national unification, in which modern significance is giv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민족사상에 대한 개념과 성격에 대해서 살펴보고 한국민족사상이 주는 현대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민족사상은 우리 민족의 정신적 토대이자 미래를 이끌어주는 정신적 기반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며 연구자는 연구의 개념적 틀을 한민족이라는 특수성과 우리 민족이 지닌 역사성, 한국 민족의 특수한 민족성의 세 가지 틀에 근거하여 접근하고 있다. 이런 시각 하에 한국민족사상의 성격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였는데, 첫째, 홍익인간의 윤리정신을 반영하고 있고 둘째, 한국민족만의 특성을 반영한 한(韓)의 민본주의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셋째, 외래사상에 대해 재창조의 조화정신으로 민족적 사상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으며 넷째, 민중에 기반한 대동주의적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한국민족사상은 민족사 발전의 정신적 원동력이자 현재 우리 민족이 당면하고 있는 과거청산문제해결의 중심적 역할로서, 그리고 한국민족주의의 미완성이자 당면과제인 민족통일지향의 정신적 구심점으로 그 현대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민족사상에 대한 개념과 성격에 대해서 살펴보고 한국민족사상이 주는 현대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민족사상은 우리 민족의 정신적 토대이자 미래를 이끌어주는 ...

      본 연구는 한국민족사상에 대한 개념과 성격에 대해서 살펴보고 한국민족사상이 주는 현대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민족사상은 우리 민족의 정신적 토대이자 미래를 이끌어주는 정신적 기반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며 연구자는 연구의 개념적 틀을 한민족이라는 특수성과 우리 민족이 지닌 역사성, 한국 민족의 특수한 민족성의 세 가지 틀에 근거하여 접근하고 있다. 이런 시각 하에 한국민족사상의 성격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였는데, 첫째, 홍익인간의 윤리정신을 반영하고 있고 둘째, 한국민족만의 특성을 반영한 한(韓)의 민본주의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셋째, 외래사상에 대해 재창조의 조화정신으로 민족적 사상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으며 넷째, 민중에 기반한 대동주의적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한국민족사상은 민족사 발전의 정신적 원동력이자 현재 우리 민족이 당면하고 있는 과거청산문제해결의 중심적 역할로서, 그리고 한국민족주의의 미완성이자 당면과제인 민족통일지향의 정신적 구심점으로 그 현대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영훈, "홍익인간사상과 한국인의 정체성"

      2 김광린, "홍익인간사상과 민족통일" 단군학회 (5) : 2001

      3 지교헌, "한민족의 정신사적 기초"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4 오문환, "한말의 정치사상. in: 근현대한국정치사상사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5 유명종, "한국인의 자연풍토와 한국인" 영남철학회 4 : 1988

      6 金大煥, "한국인의 민족의식"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5

      7 유승국, "한국의 유교"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6

      8 박종홍, "한국사상연구의 구상: 하나의 서론으로서. in: 『한국사상』강좌 1,2 합본" 고구려문화사 1958

      9 양근석, "한국사상과 민본정치이념. in: 한국사상의 원형과 전개" 도서출판 이경 2008

      10 조남국, "한국사상과 그 주체성의 의미" 민주문화아카데미 2 (2): 1991

      1 정영훈, "홍익인간사상과 한국인의 정체성"

      2 김광린, "홍익인간사상과 민족통일" 단군학회 (5) : 2001

      3 지교헌, "한민족의 정신사적 기초"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4 오문환, "한말의 정치사상. in: 근현대한국정치사상사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5 유명종, "한국인의 자연풍토와 한국인" 영남철학회 4 : 1988

      6 金大煥, "한국인의 민족의식"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5

      7 유승국, "한국의 유교"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6

      8 박종홍, "한국사상연구의 구상: 하나의 서론으로서. in: 『한국사상』강좌 1,2 합본" 고구려문화사 1958

      9 양근석, "한국사상과 민본정치이념. in: 한국사상의 원형과 전개" 도서출판 이경 2008

      10 조남국, "한국사상과 그 주체성의 의미" 민주문화아카데미 2 (2): 1991

      11 金廷鶴, "한국민족과 그 문화의 기원" 釜山大學敎 民族問題硏究所 (2) : 1991

      12 이현희, "역사를 알면 미래가 보인다" 도서출판 이경 2006

      13 "세종실록, 12년 윤12월 乙巳 기록"

      14 이광률, "민족정신의 원류와 전개" 경산대학교출판부 2000

      15 안호상, "민족사상의 정통과 역사" 한뿌리 1992

      16 李用熙, "韓國의 民族主義" 한국일보사 1975

      17 金炯孝, "韓國精神史의 現在的 認識" 고려원 1986

      18 徐相權, "韓國思想과 價値" 보문출판사 1996

      19 釜山大國民倫理敎材編纂委員會, "民族과 理念" 大旺社 1983

      20 李碩在, "人間과 疎外" 信興出版社 1989

      21 "『書經』「夏書」‘五子之歌’; 具一曰 皇祖有訓 民可近不可下 民惟邦本 本固邦寧"

      22 Snyder, L.L., "Varietis of Nationalismus, A comperative Study" Holt Rinehart and Winston 1976

      23 Mead, M., "National Character" Anthropology Today 195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