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원추각막 및 각막확장증에서 각막링 삽입술의 임상성적 비교분석 = Clinical Results of Intacs?? Ring Implantation in Keratoconus or Keratectas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379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원추각막 및 각막확장증에서 인택스링을 이용한 각막링삽입술의 임상성적을 각막이식의 임상성적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원추각막 및 각막확장증에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인택스링을 삽입받고 3개월 이상 추적 관찰된 16명의 의무기록을 후향 분석하였다. 같은 질환으로 각막이식을 받고 1년 이상 추적 관찰된 30명과 비교하여 치료 후 시력(logMAR), 각막지형도의 변화,합병증을 비교 분석하였다. 링 삽입군에서 술 후 전안부 빛 간섭 단층촬영으로 측정한 삽입 깊이에 따른 교정 효과의 차이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1년 뒤 링 군에서 logMAR 교정시력은 0.32로 0.20인 이식군에 비하여 낮게 나왔고, 시력 개선 정도 역시 링 군이 -0.23,이식군이 -1.51로 링 군이 교정효과가 작았다. 링 군의 술 후 각막곡률은 평균 45.20 ± 4.17D로 이식군에 비해 더 작은 곡률을 보였다. 3 mm 영역 부정난시는 6.93D로 이식군보다 컸다. 흔한 합병증은 링 주변 각막침착이 70%이었으나 시력에 영향은 없었다. 링삽입 깊이가 얕게 삽입된 군에서 각막곡률이 -8.49D 감소하여 깊게 삽입된 군보다 효과가 컸다.
      결론: 원추각막 및 각막확장증에서 링 삽입술은 각막이식을 대치할 수는 없으나 교정효과가 있었다.
      번역하기

      목적: 원추각막 및 각막확장증에서 인택스링을 이용한 각막링삽입술의 임상성적을 각막이식의 임상성적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원추각막 및 각막확장증에서 2011년부터 20...

      목적: 원추각막 및 각막확장증에서 인택스링을 이용한 각막링삽입술의 임상성적을 각막이식의 임상성적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원추각막 및 각막확장증에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인택스링을 삽입받고 3개월 이상 추적 관찰된 16명의 의무기록을 후향 분석하였다. 같은 질환으로 각막이식을 받고 1년 이상 추적 관찰된 30명과 비교하여 치료 후 시력(logMAR), 각막지형도의 변화,합병증을 비교 분석하였다. 링 삽입군에서 술 후 전안부 빛 간섭 단층촬영으로 측정한 삽입 깊이에 따른 교정 효과의 차이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1년 뒤 링 군에서 logMAR 교정시력은 0.32로 0.20인 이식군에 비하여 낮게 나왔고, 시력 개선 정도 역시 링 군이 -0.23,이식군이 -1.51로 링 군이 교정효과가 작았다. 링 군의 술 후 각막곡률은 평균 45.20 ± 4.17D로 이식군에 비해 더 작은 곡률을 보였다. 3 mm 영역 부정난시는 6.93D로 이식군보다 컸다. 흔한 합병증은 링 주변 각막침착이 70%이었으나 시력에 영향은 없었다. 링삽입 깊이가 얕게 삽입된 군에서 각막곡률이 -8.49D 감소하여 깊게 삽입된 군보다 효과가 컸다.
      결론: 원추각막 및 각막확장증에서 링 삽입술은 각막이식을 대치할 수는 없으나 교정효과가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report the clinical results after the implantation of intrastromal corneal ring segments (Intacs??) for the correction of keratoconus or keratectasia.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mprised of 16 eyes treated by insertion of intrastromal corneal ring and 30 eyes treated by penetrating keratoplasty (PKP) who were diagnosed with keratoconus or keratectasia. Visual acuity, refractive outcome, keratometric values were evaluated before and at 3 months, 6 months, and 12 months postoperatively. In addition, the implanted ring segment depth was measured by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based on the depth of the ring.
      Results: Twelve months after treatment,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was log MAR 0.32 at the ring group and log MAR 0.20 at the PKP group. BCVA change was larger at the PKP group than the ring group. Postoperative keratometric value was smaller at the ring group than at the PKP group. 3 mm irregular astigmatism was larger at the ring group than at the PKP group.
      The shallowly implanted ring group had a larger effect than the deeply implanted ring group.
      Conclusions: Intrastromal corneal ring segment implantation appears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outcome, although it cannot substitute for PKP.
      번역하기

      Purpose: To report the clinical results after the implantation of intrastromal corneal ring segments (Intacs??) for the correction of keratoconus or keratectasia.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mprised of 16 eyes treated by insertion of ...

      Purpose: To report the clinical results after the implantation of intrastromal corneal ring segments (Intacs??) for the correction of keratoconus or keratectasia.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mprised of 16 eyes treated by insertion of intrastromal corneal ring and 30 eyes treated by penetrating keratoplasty (PKP) who were diagnosed with keratoconus or keratectasia. Visual acuity, refractive outcome, keratometric values were evaluated before and at 3 months, 6 months, and 12 months postoperatively. In addition, the implanted ring segment depth was measured by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based on the depth of the ring.
      Results: Twelve months after treatment,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was log MAR 0.32 at the ring group and log MAR 0.20 at the PKP group. BCVA change was larger at the PKP group than the ring group. Postoperative keratometric value was smaller at the ring group than at the PKP group. 3 mm irregular astigmatism was larger at the ring group than at the PKP group.
      The shallowly implanted ring group had a larger effect than the deeply implanted ring group.
      Conclusions: Intrastromal corneal ring segment implantation appears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outcome, although it cannot substitute for PKP.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주, "원추각막에서 수기 각막링 터널 생성을 이용한 인택스(IntacsⓇ)링 삽입술의 임상 결과" 대한안과학회 53 (53): 1756-1765, 2012

      2 김호숭, "원추각막에서 각막링 삽입술 후 단기간 임상효과" 대한안과학회 50 (50): 1505-1509, 2009

      3 Fleming JF., "The theory of corneal curvature change with the Intrastromal Corneal Ring" 15 : 146-150, 1989

      4 Troutman RC., "Surgical advances and results of keratoconus" 90 : 131-136, 1980

      5 Piñero DP., "Refractive and aberrometric outcomes of intracorneal ring segments for keratoconus : mechanical versus femtosecond-assisted procedures" 116 : 1675-1687, 2009

      6 Thibos LN., "Power vector analysis of the optical outcome of refractive surgery" 27 : 80-85, 2001

      7 Wagoner M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fter primary adult optical penetrating keratoplasty : prevalence and impact on graft survival" 28 : 385-394, 2009

      8 Coskunseven E., "One-year results of intrastromal corneal ring segment implantation(KeraRing)using femtosecond laser in patients with keratoconus" 145 : 775-779, 2008

      9 Twa MD., "One-year results from the phase III investigation of the KeraVision Intacs" 70 : 515-524, 1999

      10 MacIntyre R., "Long-term outcomes of deep anterior lamellar keratoplasty versus penetrating keratoplasty in Australian keratoconus patients" 33 : 6-9, 2014

      1 김은주, "원추각막에서 수기 각막링 터널 생성을 이용한 인택스(IntacsⓇ)링 삽입술의 임상 결과" 대한안과학회 53 (53): 1756-1765, 2012

      2 김호숭, "원추각막에서 각막링 삽입술 후 단기간 임상효과" 대한안과학회 50 (50): 1505-1509, 2009

      3 Fleming JF., "The theory of corneal curvature change with the Intrastromal Corneal Ring" 15 : 146-150, 1989

      4 Troutman RC., "Surgical advances and results of keratoconus" 90 : 131-136, 1980

      5 Piñero DP., "Refractive and aberrometric outcomes of intracorneal ring segments for keratoconus : mechanical versus femtosecond-assisted procedures" 116 : 1675-1687, 2009

      6 Thibos LN., "Power vector analysis of the optical outcome of refractive surgery" 27 : 80-85, 2001

      7 Wagoner M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fter primary adult optical penetrating keratoplasty : prevalence and impact on graft survival" 28 : 385-394, 2009

      8 Coskunseven E., "One-year results of intrastromal corneal ring segment implantation(KeraRing)using femtosecond laser in patients with keratoconus" 145 : 775-779, 2008

      9 Twa MD., "One-year results from the phase III investigation of the KeraVision Intacs" 70 : 515-524, 1999

      10 MacIntyre R., "Long-term outcomes of deep anterior lamellar keratoplasty versus penetrating keratoplasty in Australian keratoconus patients" 33 : 6-9, 2014

      11 Torquetti L., "Long-term follow-up of intrastromal corneal ring segments in keratoconus" 35 : 1768-1773, 2009

      12 Wollensak G., "Keratocyte cytotoxicity of riboflavin/UVA-treatment in vitro" 18 : 718-722, 2004

      13 Torquetti L., "Intrastromal corneal ring segments implantation in patients with keratoconus : 10-year follow-up" 30 : 22-26, 2014

      14 Siganos D., "Ferrara intrastromal corneal rings for the correction of keratoconus" 28 : 1947-1951, 2002

      15 Kenney MC., "Everett Kinsey lecture. The elusive causes of keratoconus : a working hypothesis" 26 : 10-13, 2000

      16 Coskunseven E., "Effect of treatment sequence in combined intrastromal corneal rings and corneal collagen crosslinking for keratoconus" 35 : 2084-2091, 2009

      17 Colin J., "Correcting keratoconus with intracorneal rings" 26 : 1117-1122, 2000

      18 Godoy CS., "Analysis of corneal curvature alteration following intrastromal corneal ring implantation: experimental study in rabbits" 70 : 303-311, 2007

      19 McMahon TT., "A new method for grading the severity of keratoconus : the Keratoconus Severity Score(KSS)" 25 : 794-800,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366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