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s Emotional touch’s elements analysis in 4th grade students’ experiences Art centered STEAM class. The purpose is a phenomenological analysis in Emotional touch’s elements in Art centered STEAM class. For this study, students studied...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Emotional touch’s elements analysis in 4th grade students’ experiences Art centered STEAM class. The purpose is a phenomenological analysis in Emotional touch’s elements in Art centered STEAM class. For this study, students studied...
This study is Emotional touch’s elements analysis in 4th grade students’ experiences Art centered STEAM class. The purpose is a phenomenological analysis in Emotional touch’s elements in Art centered STEAM class. For this study, students studied 6 periods in moving toys lesson. After lessons students wrote and drew their experiences, told their memories about Art centered STEAM lessons and had different types of interviews. Students’ image in Art centered STEAM class categorized into 7 types sub Emotional touch’s elements. This study will help teachers how to design Art centered STEAM class. They have to consider 7 types Emotional touch’s elements for Art centered STEAM class.
국문 초록 (Abstract)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은 창의 융합형 인재를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미래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과 핵심 개념을 제시한 것이 특징이다. 이에 융합 교육은 각교과에도 적용이 필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은 창의 융합형 인재를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미래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과 핵심 개념을 제시한 것이 특징이다. 이에 융합 교육은 각교과에도 적용이 필요하며 미술 교과에서는 교과 역량의 하나로 ‘창의․융합 능력’을제시하였고 핵심 개념으로 체험 영역 하위에 ‘연결’을 신설하였다. 본 연구는 2015 STEAM 미술 중심 STEAM 수업을 경험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학생들의 감성적 체험의 요소를 밝혀 감성적 체험의 하위 요소6가지 중 어느 부분이 미술과 중심 STEAM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인상적이었는지 6가지 하위 요소는 모두 드러나고 있는지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험을 연구 참여자의 관점에서 인 비버(In vivo) 코딩을 통해 분석하고 수업의 어느 맥락이 학생들의 경험에 영향을 주었는지 밝힘으로써 STEAM 교육이 STEM 교육과의 차별성인A(Arts)의 역할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Crotty, "현상학적 연구" 현문사 2001
2 안금희, "초등학교 미술 3∼4" 천재교과서 120-123, 2015
3 이정묘, "초등 미술과 중심의 STEAM 프로그램 개발" 한국조형교육학회 (53) : 153-175, 2015
4 Efland, A. D., "인지중심미술교육론 탐구: 교육과정 개발의 새 접근" 교육과학사 2006
5 현은령, "예술융합 중심 초등학교 STEAM 교육의 효과성 -미술교과의 학습 성과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9) : 333-342, 2014
6 류지영, "시대가 원하고 내가 되어야 할 미래의 융합형 인재, 당신은 브리꼴레르입니까?의 토론문: 융합형 인재상의 너머, 전문성에 대한 성찰" 31-32, 2015
7 교육부, "미술과 교육과정"
8 이정묘, "미술 중심 STEAM 수업에서 드러난 감성적 체험 요소 분석" 61-67, 2015
9 Moustaka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Sage 1994
10 강도현, "A-STEAM 프로그램의 감성적 체험 내용 분석" 한국조형교육학회 (52) : 1-32, 2014
1 Crotty, "현상학적 연구" 현문사 2001
2 안금희, "초등학교 미술 3∼4" 천재교과서 120-123, 2015
3 이정묘, "초등 미술과 중심의 STEAM 프로그램 개발" 한국조형교육학회 (53) : 153-175, 2015
4 Efland, A. D., "인지중심미술교육론 탐구: 교육과정 개발의 새 접근" 교육과학사 2006
5 현은령, "예술융합 중심 초등학교 STEAM 교육의 효과성 -미술교과의 학습 성과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9) : 333-342, 2014
6 류지영, "시대가 원하고 내가 되어야 할 미래의 융합형 인재, 당신은 브리꼴레르입니까?의 토론문: 융합형 인재상의 너머, 전문성에 대한 성찰" 31-32, 2015
7 교육부, "미술과 교육과정"
8 이정묘, "미술 중심 STEAM 수업에서 드러난 감성적 체험 요소 분석" 61-67, 2015
9 Moustaka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Sage 1994
10 강도현, "A-STEAM 프로그램의 감성적 체험 내용 분석" 한국조형교육학회 (52) : 1-32, 2014
11 박현주, "2012 융합인재교육(STEAM) 파이오니어 양성과정 연수교재Ⅰ" 한국과학창의재단 37-50, 2012
A-STEAM 기반 미술표현활동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 신장 방안
공감각(共感覺)적 체험을 활용한 색채교육 프로그램개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5-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영문명 : Art Education Society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 Korea Elementary Art Education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10-1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 ![]() |
2005-10-1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1 | 0.61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6 | 0.84 | 0.933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