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명주, "형식명사 구성의 ‘추측’ 표현 연구" 한성어문학회 27 : 149-174, 2008
2 윤석민, "현대한국어 문장종결법 연구" 집문당 2000
3 다카치 토모나리, "현대 한국어 문법적 연어의 양태체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4 다카치 토모나리, "현대 한국어 관형절 어미 기능에 대한 시론" 한국언어학회 33 (33): 629-664, 2008
5 한승원, "한승원의 소설 쓰는 법" 램덤하우스코리아 2009
6 임동훈, "한국어의 서법과 양태 체계" 한국어의미학회 26 : 211-248, 2008
7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8 고영근, "한국어 시제 서법 동작상" 태학사 2007
9 구인모, "한국 근대시의 이상과 허상" 소명출판 2008
10 김원일, "잃어버린 시간" 문이당 1997
1 한명주, "형식명사 구성의 ‘추측’ 표현 연구" 한성어문학회 27 : 149-174, 2008
2 윤석민, "현대한국어 문장종결법 연구" 집문당 2000
3 다카치 토모나리, "현대 한국어 문법적 연어의 양태체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4 다카치 토모나리, "현대 한국어 관형절 어미 기능에 대한 시론" 한국언어학회 33 (33): 629-664, 2008
5 한승원, "한승원의 소설 쓰는 법" 램덤하우스코리아 2009
6 임동훈, "한국어의 서법과 양태 체계" 한국어의미학회 26 : 211-248, 2008
7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8 고영근, "한국어 시제 서법 동작상" 태학사 2007
9 구인모, "한국 근대시의 이상과 허상" 소명출판 2008
10 김원일, "잃어버린 시간" 문이당 1997
11 김윤식, "일제말기 한국인 학병세대의 체험적 글쓰기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12 박범신, "은교" 문학동네 2010
13 공지영,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푸른숲 2005
14 강소영, "양태 표지 ‘–ㄹ 터이–’의 의미" 한국어의미학회 9 : 179-197, 2001
15 은희경, "아내의 상자 : 1998년 제22회 이상문학상 수상작품집" 문학사상사 1998
16 박상우,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세계사 1991
17 김윤식, "북한문학사론" 새미 1996
18 임근석, "문법적 연어와 문법화의 관계" 국어학회 (51) : 115-147, 2008
19 장경희, "국어의 양태 범주의 설정과 그 체계" 한국언어학회 20 (20): 191-205, 1995
20 서정수, "국어의 서법" 국립국어원 7 : 116-130, 1986
21 趙一英, "국어 양태소의 의미 기능 연구 : 시간관련 선어말어미을 중심으로"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5
22 안정아, "‘것’, ‘터’, ‘모양’의 양태 의미 연구" 민족어문학회 47 : 4-128, 2003
23 다카치토모나리, "‘-(으)ㄹ 수 {있/없}-’의 의미구조와 양태성" 언어교육원 49 (49): 527-554, 2013
24 염재일, "`-겠'과 `-을 것'의 양태 비교 연구" 한국언어정보학회 9 (9): 1-22, 2005
25 Wymann, A. R., "The Expression of Modality in Korean" Universität Bern 1996
26 de Haan, F., "The Expression of Modality" Walter de Gruyter 27-69, 2004
27 Palmer, F. R., "Mood and Mod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8 문화체육관광부, "21세기 세종계획 최종 성과물(2011.12. 수정판)"
29 윤대녕, "1998년도 현대문학상 수상작품집" 현대문학사 1998
30 한정한, "-는 바람에' 유형의 사전기술과 전산처리: [원인]의 문법적 연어를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35 : 391-418,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