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으)ㄹ 것이-와 -(으)ㄹ 터이-에 대한 일고찰 = A Study on -(u)l kesi- and -(u)l the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348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grammatical collocations ``-(u)l kesi-`` and ``-(u)l thei-`` in terms of modal meaning. Chapter 2 and 3 discuss the terminologies ``modality`` and ``degrees of modality``. Chapter 4 investigate the features of ``-(u)l kesi-`` and ``-(u)l thei-``. Both of them are polysemic grammatical collocations which mean epistemic and dynamic modal meanings. Considering ``-(u)l kesi-`` and ``-(u)l thei-`` in terms of syntactic and semantic views and adopting a prototype approach regarding their degrees of modality, we have come to a conclusion that they are not real-modal markers but pseudo-modal mark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grammatical collocations ``-(u)l kesi-`` and ``-(u)l thei-`` in terms of modal meaning. Chapter 2 and 3 discuss the terminologies ``modality`` and ``degrees of modality``. Chapter 4 investigate the featu...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grammatical collocations ``-(u)l kesi-`` and ``-(u)l thei-`` in terms of modal meaning. Chapter 2 and 3 discuss the terminologies ``modality`` and ``degrees of modality``. Chapter 4 investigate the features of ``-(u)l kesi-`` and ``-(u)l thei-``. Both of them are polysemic grammatical collocations which mean epistemic and dynamic modal meanings. Considering ``-(u)l kesi-`` and ``-(u)l thei-`` in terms of syntactic and semantic views and adopting a prototype approach regarding their degrees of modality, we have come to a conclusion that they are not real-modal markers but pseudo-modal mark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명주, "형식명사 구성의 ‘추측’ 표현 연구" 한성어문학회 27 : 149-174, 2008

      2 윤석민, "현대한국어 문장종결법 연구" 집문당 2000

      3 다카치 토모나리, "현대 한국어 문법적 연어의 양태체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4 다카치 토모나리, "현대 한국어 관형절 어미 기능에 대한 시론" 한국언어학회 33 (33): 629-664, 2008

      5 한승원, "한승원의 소설 쓰는 법" 램덤하우스코리아 2009

      6 임동훈, "한국어의 서법과 양태 체계" 한국어의미학회 26 : 211-248, 2008

      7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8 고영근, "한국어 시제 서법 동작상" 태학사 2007

      9 구인모, "한국 근대시의 이상과 허상" 소명출판 2008

      10 김원일, "잃어버린 시간" 문이당 1997

      1 한명주, "형식명사 구성의 ‘추측’ 표현 연구" 한성어문학회 27 : 149-174, 2008

      2 윤석민, "현대한국어 문장종결법 연구" 집문당 2000

      3 다카치 토모나리, "현대 한국어 문법적 연어의 양태체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4 다카치 토모나리, "현대 한국어 관형절 어미 기능에 대한 시론" 한국언어학회 33 (33): 629-664, 2008

      5 한승원, "한승원의 소설 쓰는 법" 램덤하우스코리아 2009

      6 임동훈, "한국어의 서법과 양태 체계" 한국어의미학회 26 : 211-248, 2008

      7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8 고영근, "한국어 시제 서법 동작상" 태학사 2007

      9 구인모, "한국 근대시의 이상과 허상" 소명출판 2008

      10 김원일, "잃어버린 시간" 문이당 1997

      11 김윤식, "일제말기 한국인 학병세대의 체험적 글쓰기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12 박범신, "은교" 문학동네 2010

      13 공지영,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푸른숲 2005

      14 강소영, "양태 표지 ‘–ㄹ 터이–’의 의미" 한국어의미학회 9 : 179-197, 2001

      15 은희경, "아내의 상자 : 1998년 제22회 이상문학상 수상작품집" 문학사상사 1998

      16 박상우,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세계사 1991

      17 김윤식, "북한문학사론" 새미 1996

      18 임근석, "문법적 연어와 문법화의 관계" 국어학회 (51) : 115-147, 2008

      19 장경희, "국어의 양태 범주의 설정과 그 체계" 한국언어학회 20 (20): 191-205, 1995

      20 서정수, "국어의 서법" 국립국어원 7 : 116-130, 1986

      21 趙一英, "국어 양태소의 의미 기능 연구 : 시간관련 선어말어미을 중심으로"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5

      22 안정아, "‘것’, ‘터’, ‘모양’의 양태 의미 연구" 민족어문학회 47 : 4-128, 2003

      23 다카치토모나리, "‘-(으)ㄹ 수 {있/없}-’의 의미구조와 양태성" 언어교육원 49 (49): 527-554, 2013

      24 염재일, "`-겠'과 `-을 것'의 양태 비교 연구" 한국언어정보학회 9 (9): 1-22, 2005

      25 Wymann, A. R., "The Expression of Modality in Korean" Universität Bern 1996

      26 de Haan, F., "The Expression of Modality" Walter de Gruyter 27-69, 2004

      27 Palmer, F. R., "Mood and Mod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8 문화체육관광부, "21세기 세종계획 최종 성과물(2011.12. 수정판)"

      29 윤대녕, "1998년도 현대문학상 수상작품집" 현대문학사 1998

      30 한정한, "-는 바람에' 유형의 사전기술과 전산처리: [원인]의 문법적 연어를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35 : 391-418,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5 1.103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