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 한국어의 하오체와 하게체 사용 양상 고찰과 교재 분석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성 향상을 위하여- = Studies on the Usage of Hao and Hage Style in Modern Korean Language -To Enhance Cultural Literac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348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presents and analyzes a variety of the usage of Hao and Hage styles in modern Korean language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need to strategically apply Hao and Hage styles. Even though it is known that the usage of Hao or Hage style in colloquial expression is decreasing in modern Korean language, most native Korean speakers acquire the use of formal styles in relative honorifics as a basic language knowledge through media exposure and public education. This article suggests that it is worthwhile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be adequately equipped with the usage of Hao and Hage styles because those styles can be naturally yet intentionally addressed among native Korean speakers due to their cultural literacy embedded through frequent exposure to those styles.
      번역하기

      This article presents and analyzes a variety of the usage of Hao and Hage styles in modern Korean language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need to strategically apply Hao and Hage styles. Even though it is known that the usage of Hao or Hage style in...

      This article presents and analyzes a variety of the usage of Hao and Hage styles in modern Korean language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need to strategically apply Hao and Hage styles. Even though it is known that the usage of Hao or Hage style in colloquial expression is decreasing in modern Korean language, most native Korean speakers acquire the use of formal styles in relative honorifics as a basic language knowledge through media exposure and public education. This article suggests that it is worthwhile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be adequately equipped with the usage of Hao and Hage styles because those styles can be naturally yet intentionally addressed among native Korean speakers due to their cultural literacy embedded through frequent exposure to those styl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동훈, "현대국어 경어법의 체계" 국어학회 (47) : 287-320, 2006

      2 아시안허브 편집부, "한국어로 읽는 캄보디아 동화" 아시안허브 2015

      3 민현식, "한국어 표준교육과정 기술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52-92, 2004

      4 이은희, "한국어 높임법 교육 내용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13 : 280-315, 2010

      5 박지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하오체, 하게체 교육 내용 연구" 이중언어학회 (59) : 54-81, 2015

      6 허상희, "한국어 공손표현의 화용론적 연구" 소통 2012

      7 임지룡, "학교문법 상대 높임법의 새로운 이해" 한민족어문학회 (69) : 360-398, 2015

      8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 6" 2010

      9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 한국어 5"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2

      10 이정희,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와 한국문화1-4" 한국이민재단 2013

      1 임동훈, "현대국어 경어법의 체계" 국어학회 (47) : 287-320, 2006

      2 아시안허브 편집부, "한국어로 읽는 캄보디아 동화" 아시안허브 2015

      3 민현식, "한국어 표준교육과정 기술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52-92, 2004

      4 이은희, "한국어 높임법 교육 내용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13 : 280-315, 2010

      5 박지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하오체, 하게체 교육 내용 연구" 이중언어학회 (59) : 54-81, 2015

      6 허상희, "한국어 공손표현의 화용론적 연구" 소통 2012

      7 임지룡, "학교문법 상대 높임법의 새로운 이해" 한민족어문학회 (69) : 360-398, 2015

      8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 6" 2010

      9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 한국어 5"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2

      10 이정희,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와 한국문화1-4" 한국이민재단 2013

      11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연세한국어6-1"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9

      12 국립국어원, "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1-4" 한글파크 2010

      13 김연, "생각통통 명작 문학 시리즈 35권 세계의 옛이야기" 비타민 북 2010

      14 박지순, "상대높임법 교육 관점 비교 ―­ 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학회 46 (46): 77-102, 2014

      15 성균어학원, "배우기 쉬운 한국어 4"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1

      16 박인기, "문화적 문식성의 국어교육적 재개념화" 국어교육학회 (15) : 2002

      17 신호철, "맥락 중심의 문법 교육 내용 기술 방안 연구-높임 표현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43) : 323-348, 2012

      18 국정도서국어편찬위원회, "국어 읽기 1-2, 국어 읽기 2-2" 미래엔 2010

      19 김순란, "3-4세 일반아동의 종결어미 발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9 (9): 22-35,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5 1.103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