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안세계화 논의에서 네오그람시 이론의 기여와 한계 = 네오그람시적 국제정치경제학(IPE)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이 글은 대안세계화 논의에서 네오그람시 이론의 기여와 한계를 논의하고 있다.
      네오그람시 이론가들은 국제관계와 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뿐 아니라 주체를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 이론가들은 생산관계와 계급 등을 포함하는 역사유물론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정체상태에 빠져 있는 국제정치경제학계에서 새로운 자극을 제공했다. 네오그람시 이론가들은 그람시의 지적 전통을 국제 관계에 적용시켜 국제 정치경제관계를 더욱 발전시키고 있다.
      하지만 네오그람시 이론은 몇 가지 점에서 초기의 공언과는 달리 기존 국제정치 흐름으로 귀결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이 이론은 글로벌 시민사회나 포스트모던 군주 등과 같은 사상을 제기함으로써 대안세계화 운동에 나름의 기여를 하고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대안세계화 논의에서 네오그람시 이론의 기여와 한계를 논의하고 있다. 네오그람시 이론가들은 국제관계와 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뿐 아니라 주체를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

      이 글은 대안세계화 논의에서 네오그람시 이론의 기여와 한계를 논의하고 있다.
      네오그람시 이론가들은 국제관계와 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뿐 아니라 주체를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 이론가들은 생산관계와 계급 등을 포함하는 역사유물론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정체상태에 빠져 있는 국제정치경제학계에서 새로운 자극을 제공했다. 네오그람시 이론가들은 그람시의 지적 전통을 국제 관계에 적용시켜 국제 정치경제관계를 더욱 발전시키고 있다.
      하지만 네오그람시 이론은 몇 가지 점에서 초기의 공언과는 달리 기존 국제정치 흐름으로 귀결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이 이론은 글로벌 시민사회나 포스트모던 군주 등과 같은 사상을 제기함으로써 대안세계화 운동에 나름의 기여를 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article deal with the contributions and limits of neo-Gramscian IPE in the context of alterglobalization.
      Neo-Gramscians contend to include the agent as well as the structure in order to comprehend the change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present the viewpoint of historical materialism including the relation of production and class etc. Therefore neo-Gramscian give an impulse to the deadlock International Relations /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They applied and developed the Gramscia intelectual traditions to the international relations.
      But neo-Cramscians, in spite of initial avowed assertions, resulted in the return of mainstream IR/IPE.
      Nevertheless neo-Gramscian IR/IPE contributed to the movement of alterglobalization by presenting the idea of global civil society and postmodern prince.
      번역하기

      This article deal with the contributions and limits of neo-Gramscian IPE in the context of alterglobalization. Neo-Gramscians contend to include the agent as well as the structure in order to comprehend the change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pre...

      This article deal with the contributions and limits of neo-Gramscian IPE in the context of alterglobalization.
      Neo-Gramscians contend to include the agent as well as the structure in order to comprehend the change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present the viewpoint of historical materialism including the relation of production and class etc. Therefore neo-Gramscian give an impulse to the deadlock International Relations /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They applied and developed the Gramscia intelectual traditions to the international relations.
      But neo-Cramscians, in spite of initial avowed assertions, resulted in the return of mainstream IR/IPE.
      Nevertheless neo-Gramscian IR/IPE contributed to the movement of alterglobalization by presenting the idea of global civil society and postmodern pri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네오그람시 이론의 등장
      • Ⅲ. 네오그람시 이론의 특징과 쟁점
      • Ⅳ. 반자본주의 운동에 대한 기여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네오그람시 이론의 등장
      • Ⅲ. 네오그람시 이론의 특징과 쟁점
      • Ⅳ. 반자본주의 운동에 대한 기여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저자소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춘권, "유럽연합의 화폐통합에 대한 네오그람시안적 접근: 팍스 아메리카나의 위기와 유럽의 신자유주의적 재편" 한국국제정치학회 42 (42): 291-312, 2002

      2 앤더슨, 페리, "안토니오 그람시의 이율배반. in : 안토니오 그람시의 단층들" 갈무리 1995

      3 임운택, "세계화에 대한 국제정치경제학적 고찰" 1 (1): 130-165, 2004

      4 베일리스, 존, "세계정치론" 을유문화사 2006

      5 그람시, 안토니오, "그람시의 옥중수고Ⅰ" 도서출판 거름 1986

      6 부시-글룩스만, 크리스틴, "국가, 이행 그리고 수동적 혁명. in : 그람시와 마르크스주의 이론" 도서출판 녹두 1992

      7 하먼, 크리스, "개량주의적 그람시 해석 비판. in : 안토니오 그람시의 단층들" 갈무리 1995

      8 Saad-Filho, A, "“Production, Class, and Power in the Neoliberal Transition.” Gramsci, Political Econom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Palgrave Macmillan 2008

      9 Amoore, L, "“Global civil society and global governmentality.” The Idea of Global Civil Society" Routledge 2005

      10 Bieler, A, "“A critical theory route to hegemony, world order and historical change.” Global Restructuring, State, Capital and Labour" Palgrave MacMillan 2006

      1 구춘권, "유럽연합의 화폐통합에 대한 네오그람시안적 접근: 팍스 아메리카나의 위기와 유럽의 신자유주의적 재편" 한국국제정치학회 42 (42): 291-312, 2002

      2 앤더슨, 페리, "안토니오 그람시의 이율배반. in : 안토니오 그람시의 단층들" 갈무리 1995

      3 임운택, "세계화에 대한 국제정치경제학적 고찰" 1 (1): 130-165, 2004

      4 베일리스, 존, "세계정치론" 을유문화사 2006

      5 그람시, 안토니오, "그람시의 옥중수고Ⅰ" 도서출판 거름 1986

      6 부시-글룩스만, 크리스틴, "국가, 이행 그리고 수동적 혁명. in : 그람시와 마르크스주의 이론" 도서출판 녹두 1992

      7 하먼, 크리스, "개량주의적 그람시 해석 비판. in : 안토니오 그람시의 단층들" 갈무리 1995

      8 Saad-Filho, A, "“Production, Class, and Power in the Neoliberal Transition.” Gramsci, Political Econom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Palgrave Macmillan 2008

      9 Amoore, L, "“Global civil society and global governmentality.” The Idea of Global Civil Society" Routledge 2005

      10 Bieler, A, "“A critical theory route to hegemony, world order and historical change.” Global Restructuring, State, Capital and Labour" Palgrave MacMillan 2006

      11 Morton, A., "Unravelling Gramsci: Hegemony and Passive Revolution in the Global Political Economy" Pluto Press 2007

      12 Cox, R., "Unravelling Gramsci: Hegemony and Passive Revolution in the Global Political Economy" 93 : 258-261, 2007

      13 Holman, O., "Transnational Class Strategy and the New Europe" 22 (22): 3-22, 1992

      14 Gill, S., "Towards a Postmodern Prince? The Battle in Seattle as a Moment in the New Politics of Globalisation" 29 (29): 131-140, 2000

      15 Saurin, J., "The formation of neo-gramscians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international political eoconomy. in : Gramsci, Political Eoconom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Palgrave Macmillan 2008

      16 Strange, S., "The Retreat of the State:The Diffusion of Power in the World Economy.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17 Cox, R., "The Political Economy of a Plural World" Routledge 2002

      18 Weiss, L., "The Myth of the Powerless State: Governing the Economy in a Global Era" Polity Press 1998

      19 van der Pijl, K., "The Making of an Atlantic Ruling Class" Verso 1984

      20 Gill, S, "The Global Political Economy: Perspectives, Problems and Policies" Harvester/Wheatsheaf 1988

      21 Ohmae, K., "The Borderless World" Fontana 1990

      22 Morton, A., "Structural change and neoliberalism in Mexico: ‘passive revolution’ in the global political economy" 24 (24): 631-653, 2003

      23 Helleiner, E., "States and the Reemergence of Global Finance" Cornell University Press 1994

      24 Overbeek, H, "Restructuring Hegemony in the Global Political Economy: The Rise of Transnational Neoliberalism in the 1980s" Routledge 1993

      25 Rupert, M., "Reading Gramsci in an Era of Globalising Capitalism" 8 (8): 483-497, 2005

      26 Cox, R., "Production, Power and World Order: Social Forces in the Making of Hist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7

      27 Rupert, M., "Producing hegemony: The politics of mass production and American global pow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28 Gill, S., "Power and Resistance in the New World Order" Palgrave 2003

      29 Joseph, J., "On the Limits of Neo-Gramscian International Relations: A Scientific Realist Account of Hegemony. in : Gramsci, Political Eoconom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Palgrave Macmillan 2008

      30 Anderson, T., "Meta-Crisis, Hegemony and Counter-Hegemony" Mimeo 2008

      31 Pasha, M., "Islam, ‘Soft’ Orientalism and Empire: A Gramscian Rereading. in : Images of Gramsci" Routledge

      32 Ayers, A., "Introduction. in : Gramsci, Political Eoconom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Palgrave Macmillan 2008

      33 Ruggie, J., "International Regimes, Transactions and Change: Embedded Liberalism in the Post-War Order" 36 (36): 379-415, 1982

      34 Lacher, H., "History, Structure, and World Order. in : Gramsci, Political Eoconom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Palgrave Macmillan 2008

      35 Cox, R., "Gramsci, Hegemon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n essay in method. in : Gramsci, Historical Materialism and International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36 Budd, A., "Gramsci and International Relations" (114) : 125-136, 2007

      37 Gill, S., "Gramsci and Global Politics: towards a post-hegemonic research agenda. in : Gramsci, Historical Materialism and International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38 Burnham, P., "Globalization, Depoliticization and Modern Economic Management. in : The Politics of Change" Palgrave 2000

      39 Hirst, P, "Globalisation in Question: The International Economy and the Possibilities of Governance" Polity Press 1999

      40 Gill, S., "Epistemology, ontology and the ‘Italian school. in : Gramsci, Historical Materialism and International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41 Germain, R, "Engaging Gramsci: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the new Gramscians" 24 : 3-21, 1998

      42 Bieler, A., "Class Struggle over the EU Model of Capitalism: Neo-Gramscian Perspectives and the Analysis of European Integration. in : Images of Gramsci" Routledge 2006

      43 Gill, S., "American Hegemony and the Trilateral Commiss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44 Rupert, M., "Alienation, Capitalism and the Inter-State System. in : Gramsci, Historical Materialism and International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45 Rupert, M., "(Re-)Engaging Gramsci: a response to Germain and Kenny" 24 : 427-434,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2 1.52 2.001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