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천연잔디, 인조잔디 및 맨땅 축구장에서 축구 경기력 비교 = Comparison of Play Ability of Soccer Fields with Natural Turfgrass, Artificial Turf and Bare Grou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659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천연잔디, 인조잔디 및 맨땅 축구장이 축구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천연잔디 축구장은 한지형 잔디(켄터키 블루그래스 80%+퍼레니얼 라이그래스 20%)와 중엽형...

      본 연구는 천연잔디, 인조잔디 및 맨땅 축구장이 축구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천연잔디 축구장은 한지형 잔디(켄터키 블루그래스 80%+퍼레니얼 라이그래스 20%)와 중엽형 한국잔디로 조성된 축구장이며, 인조잔디 축구장은 코니그린 $DV5000^{TM}$으로 조성하였고 맨땅 축구장은 마사토로 조성되었다. 축구 경기력 분석을 위한 볼 구름거리(m)와 수직 볼리바운드(m)는 2005년과 2006년 건국대학교 스포츠과학타운에서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공은 한국축구협회(Korea Football Association)에서 공인된 Hummel Air Vision #1을 사용하였고 공기압은 1.0 1bs를 유지하였다. 볼 구름거리는 맨땅 축구장(13.6m) > 인조잔디 축구장(11.4m) > 한지형 잔디축구장(7.8m) > 한국잔디 축구장(4.7m) 순으로 길었다. 또한 볼 구름거리는 잔디의 사용빈도가 적을수록, 잔디의 직립정도가 강할수록, 잔디의 밀도가 높을수록 짧아지는 경향이었다. 수직 볼리바운드 역시 맨땅 축구장(1.0m) > 인조잔디 축구장(0.98m) > 한지형 잔디 축구장(0.68m) > 한국잔디축구장(0.4m) 순으로 높았다. 수직 볼 리바운드는 잔디의 사용빈도가 적을수록, 잔디의 직립정도가 강할수록, 잔디의 밀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표준관리가 되는 한지형 잔디 축구장은 조성연수에 따른 볼 구름거리와 수직 볼 리바운드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다. 반면 표준 관리가 하지 않은 한국잔디 축구장은 오래 될수록 볼 구름거리는 길어졌고 수직 볼 리바운드 역시 높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laying ability among soccer fields established with natural turfgrass, artificial turf and bare ground. The soccer fields with natural turfgrasses were established with cool-season grass(Kentu...

      This study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laying ability among soccer fields established with natural turfgrass, artificial turf and bare ground. The soccer fields with natural turfgrasses were established with cool-season grass(Kentucky bluegrass 80%+Perennial ryegrass 20%) and zoysiagrass. The artificial turf field was constructed with Konigreen $DV5000^{TM}$. Bare ground was sandy soil. Data such as ball rolling distance and vertical ball rebound were collected at the Sports Science Town of Konkuk University from 2005 to 2006. A ball in the study was Hummel Air Vision #1, certified by KFA(Korea Football Association) in ball pressure of 1.01b. Ball rolling distance was the longest on bare ground(13.6m), followed by artificial grass(11.4m), cool-season grass(7.8m) and zoysiagrass(4.7m). It decreased with lower frequency in use, stronger rigidity and higher density of turfgrass. Vertical ball rebound was the highest on bare ground(1.0m), followed by artificial grass(0.9m), cool-season grass(0.6m) and zoysiagrass(0.4m). It was lower under conditions of low use frequency, strong rigidity, and high density. Both ball rolling distance and vertical ball rebound were not greatly affected by cool-season grass maintained with high intensity of culture by years after establishment. However, zoysiagrass field under low intensity of culture showed longer in ball rolling distance and higher in vertical ball rebound with time after establishmen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