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서비스품질이 방문가치, 긍정적 감정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관계 분석을 통해 서비스품질이 방문가치와 긍정적 감정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로서의 중요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비스품질이 방문가치, 긍정적 감정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관계 분석을 통해 서비스품질이 방문가치와 긍정적 감정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로서의 중요성...
본 연구는 서비스품질이 방문가치, 긍정적 감정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관계 분석을 통해 서비스품질이 방문가치와 긍정적 감정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로서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또한 방문가치와 긍정적 감정은 행동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로서의 중요성의 파악을 통해 향후 슬로푸드관련 전시회의 향후 참가자의 방문을 유도하고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와 시시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슬로푸드 전시회가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서비스품질의 하부요인으로는 규모서비스, 시설서비스, 등록서비스로 구분되었다. 그 외의 긍정적 감정과 방문가치, 행동의도는 각 단일변수로 구분되었다. 둘째는 서비스품질은 방문가치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품질의 하부요인인 등록서비스, 규모서비스, 시설서비스의 순으로 참가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는 서비스품질은 긍정적 감정에 규모서비스, 시설서비스, 등록서비스의 순으로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는 방문가치와 긍정적 감정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슬로푸드 전시회가 다른 전시회와는 달리 음식을 주제로 한다는 차별화되는 전시회의 성격적 측면에서 새로운 전시회의 개발이라는 의미에서 본 연구는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relationships between service quality, experiential value, positive emo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subjects of study were visitors who visited 2015 Slow Food Asia Pacific Festival. The surv...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relationships between service quality, experiential value, positive emo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subjects of study were visitors who visited 2015 Slow Food Asia Pacific Festival. The survey was conducted on-site at the 2015 Slow Food Asia Pacific Festival held in KINTEX from November 18th to 22th in 2015.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adopted by using SPSS 23.0.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service qu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experiential values. Second, it is found that service qu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emotions. Third, experiential values and positive emo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As a summary, continuous service quality level’s improvement plan must be concerned in Slow Food exhibition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실, "호텔레스토랑의 서비스 스케이프, 감정적 반응 그리고행동의도와의 관계- 부산지역 관광호텔 중심으로 -" 한국서비스경영학회 6 (6): 105-128, 2005
2 권혁인, "한국 미술 전시 소비자 만족을 위한 서비스 품질 측정 항목 도출" 대한경영학회 24 (24): 2347-2364, 2011
3 박수경, "체험 요소(4Es)가 체험즐거움, 만족도,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Pine과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Experience Economy)을 중심으로" 한국방송광고공사 (76) : 55-78, 2007
4 정미혜, "지역전시회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참관객 만족도-부산 경향하우징페어를 대상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5 (15): 205-221, 2006
5 박경연, "지각된 품질이 경험가치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13 서울 모터쇼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5 (25): 401-415, 2013
6 한수정, "전시회 참가자의 참가동기, 서비스품질, 만족 및 행동의도와의 관계" 한국무역전시학회 9 (9): 23-43, 2014
7 이경숙, "전시회 참가자의 서비스품질, 서비스가치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2010 서울리빙디자인페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1 (11): 428-439, 2011
8 박시현, "전시컨벤션센터의 공간적 입지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독경상학회 32 (32): 97-117, 2014
9 강준수, "전시컨벤션센터와 참관객간의 상호 소통 고찰- 시선과 응시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무역전시학회 10 (10): 133-148, 2015
10 전영주, "전시컨벤션 방문가치가 방문객 만족도 및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관광학회 8 (8): 104-114, 2006
1 이정실, "호텔레스토랑의 서비스 스케이프, 감정적 반응 그리고행동의도와의 관계- 부산지역 관광호텔 중심으로 -" 한국서비스경영학회 6 (6): 105-128, 2005
2 권혁인, "한국 미술 전시 소비자 만족을 위한 서비스 품질 측정 항목 도출" 대한경영학회 24 (24): 2347-2364, 2011
3 박수경, "체험 요소(4Es)가 체험즐거움, 만족도,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Pine과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Experience Economy)을 중심으로" 한국방송광고공사 (76) : 55-78, 2007
4 정미혜, "지역전시회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참관객 만족도-부산 경향하우징페어를 대상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5 (15): 205-221, 2006
5 박경연, "지각된 품질이 경험가치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13 서울 모터쇼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5 (25): 401-415, 2013
6 한수정, "전시회 참가자의 참가동기, 서비스품질, 만족 및 행동의도와의 관계" 한국무역전시학회 9 (9): 23-43, 2014
7 이경숙, "전시회 참가자의 서비스품질, 서비스가치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2010 서울리빙디자인페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1 (11): 428-439, 2011
8 박시현, "전시컨벤션센터의 공간적 입지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독경상학회 32 (32): 97-117, 2014
9 강준수, "전시컨벤션센터와 참관객간의 상호 소통 고찰- 시선과 응시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무역전시학회 10 (10): 133-148, 2015
10 전영주, "전시컨벤션 방문가치가 방문객 만족도 및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관광학회 8 (8): 104-114, 2006
11 정석순, "전시의 체험요소(4Es), 방문가치,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트릭아트 전시장에 방문한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5 (25): 175-193, 2011
12 김태칠, "전시산업의 국제경쟁력 평가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한독경상학회 34 (34): 79-103, 2016
13 조철호, "전시박람회 서비스품질이 서비스가치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 국제아트페어(KIAF)를 중심으로-" 한국서비스경영학회 8 (8): 151-174, 2007
14 이혜련, "전시 서비스스케이프가 참관객의 감정적 반응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26 (26): 157-173, 2012
15 이정학, "자전거전시회 서비스품질이 참여가치인식 및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0 (20): 288-297, 2009
16 김주연, "여수세계박람회 서비스품질, 감정반응, 지각된 가치 및 만족 간 구조적 인과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4 (14): 427-437, 2014
17 "슬로푸드문화원"
18 다니구찌 기요니, "슬로푸드 이미지와 지각된 가치가 슬로푸드 체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39 (39): 117-134, 2015
19 조윤실, "무역전시회의 서비스품질,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에 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17 (17): 359-378, 2015
20 박효진, "레스토랑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의 감정적 가치, 인지적 가치,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캐주얼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한국외식경영학회 17 (17): 133-156, 2014
21 김주연, "고양국제꽃박람회의 서비스품질이 참가자의 지각된 가치, 감정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00-608, 2016
22 장명성, "게스트하우스의 서비스품질이 외래관광객의 긍정적 감정반응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31 (31): 287-306, 2016
23 Westbrook, R. A., "Value-percept disparity : An alternative to the disconfirmation of expectations theory of consumer satisfaction" 10 (10): 256-261, 1983
24 김현지, "UTAUT 모형을 적용한 전시회 참관객의 NFC 서비스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 부산비엔날레 참관객을 대상으로" 한국무역전시학회 10 (10): 25-48, 2015
25 Lee, K. H., "Travel lifestyle preferences and destination activity choices of Slow Food members and non-members" 46 : 1-10, 2015
26 Kuo, Y. F., "The relationships among service quality, perceived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post purchase intention in mobile value-added services" 25 : 887-896, 2009
27 Parasuraman, A., "The impact of technology on the quality-value-loyalty chain : a research agenda" 28 (28): 168-174, 2000
28 Donovan, R. J., "Store atmosphere"an environmental psychology approach" 58 : 34-57, 1982
29 "Slow Food International Statute"
30 Bitner, M., "Servicescapes : The impact of physical surroundings on customers and employees" 56 (56): 57-71, 1992
31 Chen, C. F.,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loyalty of TV travel product shopping : Involvement as a moderator" 29 : 1166-1171, 2008
32 김현지, "Kano 모형을 이용한 전시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전시학회 11 (11): 39-60, 2016
33 Spiller, K., "It tastes better because. . . consumer understandings of UK farmers’market food" 59 (59): 100-107, 2012
34 Mason, M. C., "Investigating the role of festival scape in culinary tourism : The case of food and wine events" 33 : 1329-1336, 2012
35 Miller, S., "How to get he most Out of trade Show" NTC Business Books 1997
36 Lupton, D., "Food, Memory and meaning : the symbolic and social nature of food events" 44 : 664-685, 1994
37 Organ, K., "Festivals as agents for behaviour change : A study of food festival engagement and subsequent food choices" 48 : 84-99, 2015
38 Chen, C. F., "Experience quality,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for heritage tourists" 31 : 29-35, 2010
39 Oliver, R. L., "Cognitive, affective, and attribute bases of the satisfaction response" 20 (20): 418-430, 1993
40 Lai, W. T., "Behavioral intentions of public transit passengers-The roles of service quality,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involvement" 18 : 318-325, 2011
41 김봉석, "Attributes and Performance of Government Export Support Programs for Exhibitors at ITFs" 한국무역학회 13 (13): 65-85, 2009
42 Lyman, B., "A psychology of food. More than a matter of taste" Van Nostrand Reinhold 1989
43 Bolton, R., "A multistage model of customers' assessments of service quality and value" 17 (17): 375-384, 1991
44 Chen, H. C., "A Study of the Enhancement of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by Taiwan MICE Service Project" 40 : 382-388, 2012
45 Lisa. S. R., "A Qualitative gambit to formulate a foundation for the appraisement of service quality in the U.K. meeting industry" 3 (3): 1-15, 2001
46 Oliver, R. L.,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17 : 460-469, 1980
무역전시회 주최자의 SNS마케팅 활용동기 및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방산산업 전시회 참가기업의 시장지향성이 관계학습과 참가성과에 미치는 영향
전시컨벤션 산업에 대한 대학생의 직업 가치관, 핵심 역량, 직업 기대, 전공 만족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8 | 1.78 | 1.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76 | 1.81 | 1.057 | 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