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학술원은 2000년 개원과 함께 연구를 교육과 결합하는 방식을 기획하며, 이를 실천해 왔다. 대학의 연구기관에서 교육 기능을 함께 운영하는 것은 드물다. 그만큼 지난 20여 년간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85507
2020
-
KCI등재
학술저널
7-41(3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동아시아학술원은 2000년 개원과 함께 연구를 교육과 결합하는 방식을 기획하며, 이를 실천해 왔다. 대학의 연구기관에서 교육 기능을 함께 운영하는 것은 드물다. 그만큼 지난 20여 년간의 ...
동아시아학술원은 2000년 개원과 함께 연구를 교육과 결합하는 방식을 기획하며, 이를 실천해 왔다. 대학의 연구기관에서 교육 기능을 함께 운영하는 것은 드물다. 그만큼 지난 20여 년간의 동아시아학술원의 대학원 교육과 그 성과는 현재 진행형이다. 분과학문이 굳건한 대학의 학문 생태계에서 연구기관이 연구와 교육을 결합하는 모델을 실천하는 방식은 여전히 유효하다. 동아시아학술원은 이러한 방향성을 지속해 나가야 한다. 연구 성과를 교육에 환원하는 이른바 연구 성과가 시차 없이 교육으로 이월되고, 여기에 디지털 동아시아학의 성과가 결합하는 방식은 한국인문학의 創新에 충분히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with its opening in 2000, has been planning and practicing ways to combine research with education. It is rare for a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to run educational functions together. As such, the graduate educatio...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with its opening in 2000, has been planning and practicing ways to combine research with education. It is rare for a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to run educational functions together. As such, the graduate education and performance of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over the past two decades are currently ongoing. How research institutions practice the model of combining research and education in the academic ecosystem of universities where the separated academic discipline is solid is still valid.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should continue this direction. This is because the so-called research results, which return research results to education, are carried forward to education without time lag, and how the achievements of digital East Asian studies are combined can contribute fully to the new development of the domain of Korean humanities studies.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영서, "사회인문학의 지평을 열며 - 그 출발점인 ‘공공성의 역사학’ -" 국학연구원 (149) : 1-26, 2010
2 진재교, "빅 데이터와 디지털 동아시아학의 가능성 ― ‘동아시아 지식과 지식인 지도’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98) : 119-162, 2017
3 김시업, "동아시아학의 모색과 지향" 성균관대 출판부 2005
4 "동아시아학술원 홈페이지"
5 "동아시아학술원 제2단계 BK21사업 신청서"
6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 지원사업 지원신청서"
7 한기형, "동아시아학술원 발전계획(안) 연구 결과 보고"
8 진재교, "동아시아 古典學과 한문교육" 한국한문교육학회 (42) : 37-66, 2014
9 대동문화연구원, "대동문화연구원 50년: 1958~2008"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8
10 한기형, "대동문화연구원 50년"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8
1 백영서, "사회인문학의 지평을 열며 - 그 출발점인 ‘공공성의 역사학’ -" 국학연구원 (149) : 1-26, 2010
2 진재교, "빅 데이터와 디지털 동아시아학의 가능성 ― ‘동아시아 지식과 지식인 지도’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98) : 119-162, 2017
3 김시업, "동아시아학의 모색과 지향" 성균관대 출판부 2005
4 "동아시아학술원 홈페이지"
5 "동아시아학술원 제2단계 BK21사업 신청서"
6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 지원사업 지원신청서"
7 한기형, "동아시아학술원 발전계획(안) 연구 결과 보고"
8 진재교, "동아시아 古典學과 한문교육" 한국한문교육학회 (42) : 37-66, 2014
9 대동문화연구원, "대동문화연구원 50년: 1958~2008"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8
10 한기형, "대동문화연구원 50년"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8
11 성균관대학교, "BK21 21세기 지식기반사회 대비 고등인력양성사업 인문・사회분야 ‘동아시아 유교문화권 교육・연구단’"
12 동아시아학술원, "2018년 HK+인문기초학문 연구 계획서"
13 동아시아학술원, "2007년 수도권 대학특성화지원 사업 신청서-한문고전번역 핵심인재 양성 사업: 소통・학술・창조적 번역 인재양성을 위한 新교육 모델"
14 진재교, "19세기 한 실학자의 발견-사상사의 이단아, 백운 심대윤" 성균관대 출판부 2016
방법으로서의 ‘동아시아사’ 연구와 새로운 역사상의 모색 ― 근대중심주의(moderno-centrism) 비판과 트랜스히스토리칼(trans-historical)한 접근
‘자료(資料)’ 연구로 본 동아시아학술원 20년 ― 호적(戶籍)과 간독(簡牘) 자료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8-0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DAEDONG MUNHWA YEON'GU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6-1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Institute of Eastern Studies ->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9 | 1.09 | 0.9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95 | 1.776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