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료(資料)’ 연구로 본 동아시아학술원 20년 ― 호적(戶籍)과 간독(簡牘) 자료를 중심으로 = 20 Years of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AEAS) in the Study of 'Materials(資料)' ― Focusing on Unearthed Materials and Family Register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아시아학술원(이하 학술원)’의 출범은 21세기 한국 인문학계에 대해 새로운 연구과제의 창출과 연구기관으로서 비전을 제시하고 그 성과가 시대 변화를 선도하는 학술제도의 정착과 연구방법의 창안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를 위하여 ‘학술원’은 그 목표와 방향을 첫째 한국학·아시아학 분야의 집중연구 및 이론의 개발, 둘째 21세기 새로운 시대에 대응하는 방향 수립, 셋째 학문연구와 교육의 유기적 결합, 넷째 동아시아학의 국제적 교류라고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표와 방향의 설정은 무엇보다도 20세기 한국 인문학계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통해 동아시아학의 본산으로서 한국학 및 동아시아학 분야의 선도적 지위의 확보와 21세기 국제사회에 대한 미래지향적 대응을 위한 것이었다. 따라서 ‘동아시아학’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어떻게 할 것인가? 라는 문제는 ‘학술원’이 수행해야 할 의무의 수행이었고 그 답을 모색하는 과정이 지난 학술원의 연구 활동 20년이라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지난 20년동안 ‘학술원’의 연구 활동은 종래 한국 인문학계를 장악하고 있었던 연구 방법의 전환이었다. 핵심적 내용은 일국적 테두리를 벗어나 동아시아의 역사 문화에 대한 전체적인 해석을 시도하고 근대 학문의 분류체계를 지양하며 인문사회과학을 포괄하는 종합적 성격의 학문을 수립하고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적극 추진하는 것이었다. 즉 ‘학술원’은 동아시아의 다원성과 보편성을 통일적으로 파악하는 새로운 모델의 개척·소통·확산을 통하여 한국인문학의 創新에 기여하는 ‘복합인문학’ 구현을 그 목표로 설정하였다. 역사학 방면에서의 대표적인 연구 활동은 죽간 목간의 연구로 대변되는 출토자료에 대한 연구와 조선시대 호족 족보 자료를 근간으로 한 역사인구학 분야였고 이러한 주제로 개최된 국제학술회의였다. 특히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와의 10년에 걸친 정례학술회의는 커다란 성과라 할 수 있다.
      ‘학술원’은 이러한 지난 20년의 성과에 안주하지 말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인문학을 위한 혁신적인 연구 방법을 제시하여야 연구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 주제의 하나로서 ‘동아시아적 시각에 의한 고전학’ 분야를 제안하고 싶다. 더욱이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술원’의 독창적인 연구 방향성과 그 방향성이 시대적 조류와의 관계하에서 추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번역하기

      ‘동아시아학술원(이하 학술원)’의 출범은 21세기 한국 인문학계에 대해 새로운 연구과제의 창출과 연구기관으로서 비전을 제시하고 그 성과가 시대 변화를 선도하는 학술제도의 정착과 ...

      ‘동아시아학술원(이하 학술원)’의 출범은 21세기 한국 인문학계에 대해 새로운 연구과제의 창출과 연구기관으로서 비전을 제시하고 그 성과가 시대 변화를 선도하는 학술제도의 정착과 연구방법의 창안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를 위하여 ‘학술원’은 그 목표와 방향을 첫째 한국학·아시아학 분야의 집중연구 및 이론의 개발, 둘째 21세기 새로운 시대에 대응하는 방향 수립, 셋째 학문연구와 교육의 유기적 결합, 넷째 동아시아학의 국제적 교류라고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표와 방향의 설정은 무엇보다도 20세기 한국 인문학계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통해 동아시아학의 본산으로서 한국학 및 동아시아학 분야의 선도적 지위의 확보와 21세기 국제사회에 대한 미래지향적 대응을 위한 것이었다. 따라서 ‘동아시아학’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어떻게 할 것인가? 라는 문제는 ‘학술원’이 수행해야 할 의무의 수행이었고 그 답을 모색하는 과정이 지난 학술원의 연구 활동 20년이라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지난 20년동안 ‘학술원’의 연구 활동은 종래 한국 인문학계를 장악하고 있었던 연구 방법의 전환이었다. 핵심적 내용은 일국적 테두리를 벗어나 동아시아의 역사 문화에 대한 전체적인 해석을 시도하고 근대 학문의 분류체계를 지양하며 인문사회과학을 포괄하는 종합적 성격의 학문을 수립하고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적극 추진하는 것이었다. 즉 ‘학술원’은 동아시아의 다원성과 보편성을 통일적으로 파악하는 새로운 모델의 개척·소통·확산을 통하여 한국인문학의 創新에 기여하는 ‘복합인문학’ 구현을 그 목표로 설정하였다. 역사학 방면에서의 대표적인 연구 활동은 죽간 목간의 연구로 대변되는 출토자료에 대한 연구와 조선시대 호족 족보 자료를 근간으로 한 역사인구학 분야였고 이러한 주제로 개최된 국제학술회의였다. 특히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와의 10년에 걸친 정례학술회의는 커다란 성과라 할 수 있다.
      ‘학술원’은 이러한 지난 20년의 성과에 안주하지 말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인문학을 위한 혁신적인 연구 방법을 제시하여야 연구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 주제의 하나로서 ‘동아시아적 시각에 의한 고전학’ 분야를 제안하고 싶다. 더욱이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술원’의 독창적인 연구 방향성과 그 방향성이 시대적 조류와의 관계하에서 추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aunch of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AEAS)'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creation of new research tasks and the creation of research methods for the 21st century Korean humani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academic systems that lead to changes in the times. To this end, the 'AEAS' established its goals and directions as follows: the first intensiv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ories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and Asian studies, the second establishment of a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new era in the 21st century, the third organic combination of academic research and education, and the fourth international exchange of East Asian studies. The establishment of these goals and directions was, among other things, to secure a leading position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and East Asian studies as the home of East Asian studies through reflection and reflection on the Korean humanities in the 20th century and to take a future-oriented respons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the 21st century. So what is 'East Asian Studies?' And what will you do? It would not be too much to say that the problem was the performance of the obligations of the 'AEAS' and that the process of seeking answers was 20 years of research by the institute.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 'AEAS's research activities have been a shift in the way it has traditionally dominated the Korean humanities community. The key content was to try to interpret the history and culture of East Asia as a whole, to avoi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modern studies, to establish comprehensive studies covering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to actively pursue directions applicable to reality. In other words, the 'academic institute' aims to realize 'complex humanities' that contribute to the new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 by exploring, communicating, and expanding new models that uniformly understand the plurality and universality of East Asia. The representative research activities in the field of history were the field of historical and demographic studies based on the research on excavated materials represented by the study of bamboo-thin woodwork and the historical and ethnic genealogical materi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was held under this theme. In particular, the 10-year regular academic conference with the Institute of History of the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is a great achievement.
      Instead of being complacent with these achievements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 Academy should present innovative research methods for new humanities based on them so that it can maintain its identity as a research institute. As one of these research topics,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ield of Classical Studies by East Asian Perspective. Moreover, in order to pioneer a new field of research, above all else, the original direction of research and its direction must be pursued in relation to the trend of the times.
      번역하기

      The launch of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AEAS)'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creation of new research tasks and the creation of research methods for the 21st century Korean humani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academic systems that lead to ch...

      The launch of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AEAS)'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creation of new research tasks and the creation of research methods for the 21st century Korean humani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academic systems that lead to changes in the times. To this end, the 'AEAS' established its goals and directions as follows: the first intensiv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ories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and Asian studies, the second establishment of a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new era in the 21st century, the third organic combination of academic research and education, and the fourth international exchange of East Asian studies. The establishment of these goals and directions was, among other things, to secure a leading position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and East Asian studies as the home of East Asian studies through reflection and reflection on the Korean humanities in the 20th century and to take a future-oriented respons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the 21st century. So what is 'East Asian Studies?' And what will you do? It would not be too much to say that the problem was the performance of the obligations of the 'AEAS' and that the process of seeking answers was 20 years of research by the institute.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 'AEAS's research activities have been a shift in the way it has traditionally dominated the Korean humanities community. The key content was to try to interpret the history and culture of East Asia as a whole, to avoi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modern studies, to establish comprehensive studies covering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to actively pursue directions applicable to reality. In other words, the 'academic institute' aims to realize 'complex humanities' that contribute to the new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 by exploring, communicating, and expanding new models that uniformly understand the plurality and universality of East Asia. The representative research activities in the field of history were the field of historical and demographic studies based on the research on excavated materials represented by the study of bamboo-thin woodwork and the historical and ethnic genealogical materi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was held under this theme. In particular, the 10-year regular academic conference with the Institute of History of the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is a great achievement.
      Instead of being complacent with these achievements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 Academy should present innovative research methods for new humanities based on them so that it can maintain its identity as a research institute. As one of these research topics,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ield of Classical Studies by East Asian Perspective. Moreover, in order to pioneer a new field of research, above all else, the original direction of research and its direction must be pursued in relation to the trend of the tim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