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양명, "화전놀이의 축제성과 문화적 의미:경북지역을 중심으로" 33 : 335-358, 2001
2 오창영, "한국동물원 80년사:창경원 편" 서울특별시 1993
3 강신용, "한국근대 도시공원사" 대왕사 2004
4 황기원, "한국 행락문화의 변천과정"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5 박만규, "한국 왕벚나무의 조사 연구사" 8 (8): 12-15, 1965
6 "하이킹 예찬(禮讚)" (창간) : 1936
7 김현숙, "창경원 밤 벚꽃놀이와 夜櫻"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9) : 139-162, 2008
8 문화재관리국, "창경궁:중건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89
9 "지상종람(地上縱覽) 조선 각지 꽃 품평회: 요새에 피는 팔도(八道)의 꽃 이야기" (20) : 1929
10 송희경, "조선후기 아회도" 다미디어 2008
1 한양명, "화전놀이의 축제성과 문화적 의미:경북지역을 중심으로" 33 : 335-358, 2001
2 오창영, "한국동물원 80년사:창경원 편" 서울특별시 1993
3 강신용, "한국근대 도시공원사" 대왕사 2004
4 황기원, "한국 행락문화의 변천과정"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5 박만규, "한국 왕벚나무의 조사 연구사" 8 (8): 12-15, 1965
6 "하이킹 예찬(禮讚)" (창간) : 1936
7 김현숙, "창경원 밤 벚꽃놀이와 夜櫻"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9) : 139-162, 2008
8 문화재관리국, "창경궁:중건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89
9 "지상종람(地上縱覽) 조선 각지 꽃 품평회: 요새에 피는 팔도(八道)의 꽃 이야기" (20) : 1929
10 송희경, "조선후기 아회도" 다미디어 2008
11 "조선일보"
12 "조선일보"
13 "조선일보"
14 "조선일보"
15 "조선일보"
16 "조선일보"
17 "조선일보"
18 "조선일보"
19 "조선일보"
20 "조선일보"
21 "조선일보"
22 추삼무, "조선의 도시(朝鮮の都市)" 대륙문화사 1930
23 김수아, "조선시대 와유문화의 전개와 전통조경공간의 조성" 한국전통조경학회 29 (29): 39-51, 2011
24 이종묵, "조선시대 臥遊 文化 硏究" 진단학회 (98) : 81-106, 2004
25 노성환, "일본의 하나미와 한국의 화전놀이" 비교민속학회 (37) : 137-161, 2008
26 "유망한 조경수목: 왕벚나무" 2008
27 이선, "우리와 함께 살아 온 나무와 꽃" 수류산방중심 2006
28 "야앵 풍경(夜櫻 風景)" (65) : 1933
29 "순종실록 부록. 1912년 4월 7일"
30 "삼국유사 제2권 기이 경덕왕 충담사 표훈대덕편"
31 "삼국유사 제1권 기이 진한편"
32 "삼국사기 신라 문무왕 14년(674년)"
33 "삼국사기 백제 진사왕 7년(391년)"
34 "삼국사기 백제 진사왕 6년(390년)"
35 "삼국사기 백제 무왕 37년(636년)"
36 신명직, "모던보이 경성을 거닐다" 현실문화연구 2003
37 "동아일보"
38 "동아일보"
39 "동아일보"
40 "동아일보"
41 "동아일보"
42 곤도 시로스케, "대한민국 황실비사:창덕궁에서 15년간 순종황제의 측근으로 이란 어느 일본 관리의 회고록" 이마고 2010
43 팀 에덴서, "대중문화와 일상,그리고 민족정체성" 이후 2008
44 김영희, "기생엽서 속의 한국 근대 춤:기생 100년 엽서 속의 기생읽기" 국립민속박물관 2008
45 박상진, "궁궐의 우리나무" 눌와 2001
46 "경향신문"
47 "경성일보"
48 "경성일보"
49 안등정, "경성사진화보(일주년;기념호)" 조선사진통신사 1916
50 "櫻を牛耳洞に移植せし洪良浩" 1922
51 권보드래, "1910년대,풍문의 시대를 읽다"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