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새로운 근로시간 옵션과 사회보장체계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life course perspective as a detailed theoretical and conceptual framework, from which the reorganisation of time throughout an individual's working life und mutual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time options and social security structures are analysed. An issue of crucial concern is how employees can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by more successfully balancing their working and private lives, obligations, needs and interests.
      First, the life course perspective, which is theoretical and conceptual background of this study, represents a major innovation in an approach to understanding complex social phenomena, making time, context and process core theoretical dimensions of social behaviour. One of main features of the life course approach is to acknowledge the crucial role that time plays in understanding of individual behaviour and structural changes in society. Another important dimension fo the life course approach is its attempt to take holistic view; the analysis no longer focuses on specific events, phases or demographic groups as discrete and fixed but considers whole life span as the basic framework for analysis. The life course approach looks at life-course as a whole and to underlie the importance of all life spheres in terms of the quality of life. It takes into account that people usually combine labour market participation with other activities throughout their working life course. To employ a life course perspective therefore means to acknowledge that life courses are both individually and socially constructed, and that they are subject to historical change.
      Second, the central units of analysis in this study are time arrangements from a working life course perspective. Time arrangements are defined as particular combinations of elements related to paid work and non-work or personal time at relevant stages of the working life-course and throughout the whole working life-course. These combinations are the outcome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preferences and needs, on the one hand, and of institutional options or constraints, on the other. To analyse employee's interests and needs over the life course, which is related to labour market participation and working time, man has to understand that life courses have changed. The traditional life courses are standardized and institutionalized with three-fold division into the phases of education, paid work and retirement. This life course structure has based on normal labour relationship and male breadwinner model. But in modern society its basis is eroded and life courses develop into much more diverse patterns. The timing of the different life phases and of the transitions is less clear. Moreover, they are often no longer sequential phases, but occur simultaneously. This changes require a new way of handling the time over the life course. Of central interests is hereby the question of how employees can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in a life course perspective. This discussion has attempted to answer the core question of the currently dominant structure of working life course and the role of working time options in time arrangement.
      Third, the existing social security system can be regarded as a crucial factor influencing men's and women's working time patterns and income situation in various life stages.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ime options or arrangements over the lifer course and social security actually has to consider the mutual influences between the welfare state regime, the broad range of possible time options and the implications of different time options on social security in a certain regime type. Various time options can have different implications for the individual's social security protection, but also for the welfare system and its financial sustainability.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life course perspective as a detailed theoretical and conceptual framework, from which the reorganisation of time throughout an individual's working life und mutual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time options and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life course perspective as a detailed theoretical and conceptual framework, from which the reorganisation of time throughout an individual's working life und mutual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time options and social security structures are analysed. An issue of crucial concern is how employees can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by more successfully balancing their working and private lives, obligations, needs and interests.
      First, the life course perspective, which is theoretical and conceptual background of this study, represents a major innovation in an approach to understanding complex social phenomena, making time, context and process core theoretical dimensions of social behaviour. One of main features of the life course approach is to acknowledge the crucial role that time plays in understanding of individual behaviour and structural changes in society. Another important dimension fo the life course approach is its attempt to take holistic view; the analysis no longer focuses on specific events, phases or demographic groups as discrete and fixed but considers whole life span as the basic framework for analysis. The life course approach looks at life-course as a whole and to underlie the importance of all life spheres in terms of the quality of life. It takes into account that people usually combine labour market participation with other activities throughout their working life course. To employ a life course perspective therefore means to acknowledge that life courses are both individually and socially constructed, and that they are subject to historical change.
      Second, the central units of analysis in this study are time arrangements from a working life course perspective. Time arrangements are defined as particular combinations of elements related to paid work and non-work or personal time at relevant stages of the working life-course and throughout the whole working life-course. These combinations are the outcome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preferences and needs, on the one hand, and of institutional options or constraints, on the other. To analyse employee's interests and needs over the life course, which is related to labour market participation and working time, man has to understand that life courses have changed. The traditional life courses are standardized and institutionalized with three-fold division into the phases of education, paid work and retirement. This life course structure has based on normal labour relationship and male breadwinner model. But in modern society its basis is eroded and life courses develop into much more diverse patterns. The timing of the different life phases and of the transitions is less clear. Moreover, they are often no longer sequential phases, but occur simultaneously. This changes require a new way of handling the time over the life course. Of central interests is hereby the question of how employees can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in a life course perspective. This discussion has attempted to answer the core question of the currently dominant structure of working life course and the role of working time options in time arrangement.
      Third, the existing social security system can be regarded as a crucial factor influencing men's and women's working time patterns and income situation in various life stages.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ime options or arrangements over the lifer course and social security actually has to consider the mutual influences between the welfare state regime, the broad range of possible time options and the implications of different time options on social security in a certain regime type. Various time options can have different implications for the individual's social security protection, but also for the welfare system and its financial sustainabi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이론적ㆍ개념적 배경으로서의 생애과정 관점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개인의 근로생애 전반에 걸친 시간의 재조직화, 근로시간옵션과 사회보장구조와의 관계를 조명하는 것이다. 핵심적 관심은 어떻게 근로자들이 근로와 사적 생활을 성공적으로 양립시킴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이다.
      먼저, 생애과정 관점은 본 연구의 이론적ㆍ개념적 토대이다. 생애과정 관점은 복잡한 사회현상을 이해하고 시간, 맥락, 과정을 사회행위의 핵심적인 이론적 차원으로 하는 접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생애과정은 두 가지 특징을 갖는다. 하나는 한 사회에서 개인의 행위와 구조의 변화를 이해함에 있어 시간(과거 역사, 현재 상황, 미래 지향)이 핵심적 개념이라고 인식한다(수직적 관점). 다른 하나는 총체적 관점을 취한다는 것이다. 특정 사건 및 국면, 인구집단을 분석할 때, 이를 분리되어 고정된 것으로 파악하지 않고 전체 생애기간을 기본 분석틀로 삼는다. 총체적 접근으로서의 생애과정 관점은 또한 생애과정을 전체로써 파악하고 삶의 질이라는 측면에서 모든 생활영역의 중요성을 강조한다(수평적 관점). 그러므로 생애과정 관점은 사람들이 전체 근로생애과정에 걸쳐 노동시장참여와 다른 활동을 결합하는 방식을 고려하고, 일과 생활 또는 일과 가족의 상호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생애과정이 개인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역사적 변화에 놓여있다는 것이 생애과정 관점의 주요 함의이다.
      둘째, 분석의 초점은 근로생애과정 관점에서 본 시간배열이다. 여기서 시간배열은 특정 근로생애과정 국면에서 그리고 전체 근로생애과정에서 유급노동과 비근로 또는 개인적 시간과 관련된 요소의 조합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조합은 한편으로는 개인적ㆍ집합적 선호 및 욕구, 다른 한편으로는 제도적 옵션 또는 제약의 산물이다. 노동시장참여와 근로시간과 관련하여 생애과정에 걸친 근로자의 선호와 욕구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생애과정의 구조가 변화하였음을 이해해야 한다. 전통적으로 생애과정은 세 단계로 구분되어 정형화되었다. 즉, 생애과정은 교육-근로-은퇴의 세 생애국면이 연속되는 구조로 제도화되었다. 이러한 생애과정 구조는 무엇보다도 정상적 노동관계와 남성부양모델에 기반을 둔 것이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이러한 기반이 침식되면서 생애과정은 훨씬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하고 있다. 생애국면 및 생애이행은 그 타이밍이 불투명해졌으며, 더 이상 연속적이지 않고 동시에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는 생애과정 전반에 걸쳐 시간을 다루는 새로운 방식을 요청한다. 여기서 관심의 초점은 어떻게 근로자들이 각각의 생애국면에서 그리고 근로생애과정 전반에 걸쳐 직업적 의무, 욕구 이해와 사적인 것을 조화시킴으로써 자신들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가, 즉 근로자들이 생애과정 관점에서 자신들의 삶의 질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가이다. 이러한 논의는 근로생애과정의 현행 시간구조와 시간배열에서 근로시간 옵션의 역할에 대한 핵심질문에 답을 제시하는 것이다.
      셋째, 근로시간 유형과 소득 상황은 사회보장체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복지국가체계, 가능한 시간옵션, 사회보장에 대한 시간옵션의 함의 간의 상호관계를 고찰하고, 시간옵션은 개인의 사회보장뿐만 아니라 복지체계의 재정적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이론적ㆍ개념적 배경으로서의 생애과정 관점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개인의 근로생애 전반에 걸친 시간의 재조직화, 근로시간옵션과 사회보장구조와의 관계를 조명하...

      본 연구의 목적은 이론적ㆍ개념적 배경으로서의 생애과정 관점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개인의 근로생애 전반에 걸친 시간의 재조직화, 근로시간옵션과 사회보장구조와의 관계를 조명하는 것이다. 핵심적 관심은 어떻게 근로자들이 근로와 사적 생활을 성공적으로 양립시킴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이다.
      먼저, 생애과정 관점은 본 연구의 이론적ㆍ개념적 토대이다. 생애과정 관점은 복잡한 사회현상을 이해하고 시간, 맥락, 과정을 사회행위의 핵심적인 이론적 차원으로 하는 접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생애과정은 두 가지 특징을 갖는다. 하나는 한 사회에서 개인의 행위와 구조의 변화를 이해함에 있어 시간(과거 역사, 현재 상황, 미래 지향)이 핵심적 개념이라고 인식한다(수직적 관점). 다른 하나는 총체적 관점을 취한다는 것이다. 특정 사건 및 국면, 인구집단을 분석할 때, 이를 분리되어 고정된 것으로 파악하지 않고 전체 생애기간을 기본 분석틀로 삼는다. 총체적 접근으로서의 생애과정 관점은 또한 생애과정을 전체로써 파악하고 삶의 질이라는 측면에서 모든 생활영역의 중요성을 강조한다(수평적 관점). 그러므로 생애과정 관점은 사람들이 전체 근로생애과정에 걸쳐 노동시장참여와 다른 활동을 결합하는 방식을 고려하고, 일과 생활 또는 일과 가족의 상호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생애과정이 개인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역사적 변화에 놓여있다는 것이 생애과정 관점의 주요 함의이다.
      둘째, 분석의 초점은 근로생애과정 관점에서 본 시간배열이다. 여기서 시간배열은 특정 근로생애과정 국면에서 그리고 전체 근로생애과정에서 유급노동과 비근로 또는 개인적 시간과 관련된 요소의 조합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조합은 한편으로는 개인적ㆍ집합적 선호 및 욕구, 다른 한편으로는 제도적 옵션 또는 제약의 산물이다. 노동시장참여와 근로시간과 관련하여 생애과정에 걸친 근로자의 선호와 욕구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생애과정의 구조가 변화하였음을 이해해야 한다. 전통적으로 생애과정은 세 단계로 구분되어 정형화되었다. 즉, 생애과정은 교육-근로-은퇴의 세 생애국면이 연속되는 구조로 제도화되었다. 이러한 생애과정 구조는 무엇보다도 정상적 노동관계와 남성부양모델에 기반을 둔 것이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이러한 기반이 침식되면서 생애과정은 훨씬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하고 있다. 생애국면 및 생애이행은 그 타이밍이 불투명해졌으며, 더 이상 연속적이지 않고 동시에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는 생애과정 전반에 걸쳐 시간을 다루는 새로운 방식을 요청한다. 여기서 관심의 초점은 어떻게 근로자들이 각각의 생애국면에서 그리고 근로생애과정 전반에 걸쳐 직업적 의무, 욕구 이해와 사적인 것을 조화시킴으로써 자신들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가, 즉 근로자들이 생애과정 관점에서 자신들의 삶의 질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가이다. 이러한 논의는 근로생애과정의 현행 시간구조와 시간배열에서 근로시간 옵션의 역할에 대한 핵심질문에 답을 제시하는 것이다.
      셋째, 근로시간 유형과 소득 상황은 사회보장체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복지국가체계, 가능한 시간옵션, 사회보장에 대한 시간옵션의 함의 간의 상호관계를 고찰하고, 시간옵션은 개인의 사회보장뿐만 아니라 복지체계의 재정적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