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화 ‘상록수’에 재현된 최용신의 변화상 = Composition and system of korean history textbook for immigrant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750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oi Yong-shin who died in 1935 has been reproduced in various ways. She was drawn as a heroine in Sanglogsu(Evergreens) written by Shim hoon and reproduced in movies and dramas thereafter. On all such occasions, Choi Yong-shin is like original Choi Yong-shin and in the other cases she became Choi Yong-shin reflecting the recognition of the contemporary time. Choi Yong-shin has been changed to be drawn tailored to the necessity in the time and situation.
      Shim hoon tried to make a move of his novel. He wrote a film script right after writing his novel and contacted potential film company and actors and actress to make a film. But it was in 1961 when Sanglogsu was filmed by Shin Sang-ok. Director Shin Sang-ok reproduced a scenario of Sanglogsu by Shim hoon exactly. It was judged as having the intention of being faithful to the original story of Shim hoon.
      Secondly Sanglogsu was filmed by Director Lim Gwon-taek in 1978. He gave a lot of changes in the characters of Dong-hyuck and Yong-shin while keeping the original script. In particular the director emphasized masculinity shown in Dong-hyuck and displayed a tendency of highlighting Yeong-shin's Femininity.
      Yeong-shin in the movie of ‘Shinglogsoo’ in 1961 and 1978 which is seen in this writing is similar to Yeong-shin drawn by Shim hoon but meanwhile was drawn as an individual identity. While Yeong-shin in 1961 film is similar to Yeong-shin in Shim hoon's novel, Yong-shin in a movie in 1978 was reproduced as different identity. As a result, original Yong-shin, Yeong-shin in a novel by Shim hoon and Yeong-shin drawn in a 1978 move are different in various ways.
      This different appearance of Choi Yong-shin appears related to real one but she can be express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mand of reproduced contemporary time. The reproduction of Choi Yong-shin in 1960s and 1970s respectively happened in the way the contemporary society wanted. Accordingly when looking at Yeong-shin in each time, it is impressive in that we can identify our recognition and social aspect.
      번역하기

      Choi Yong-shin who died in 1935 has been reproduced in various ways. She was drawn as a heroine in Sanglogsu(Evergreens) written by Shim hoon and reproduced in movies and dramas thereafter. On all such occasions, Choi Yong-shin is like original Choi Y...

      Choi Yong-shin who died in 1935 has been reproduced in various ways. She was drawn as a heroine in Sanglogsu(Evergreens) written by Shim hoon and reproduced in movies and dramas thereafter. On all such occasions, Choi Yong-shin is like original Choi Yong-shin and in the other cases she became Choi Yong-shin reflecting the recognition of the contemporary time. Choi Yong-shin has been changed to be drawn tailored to the necessity in the time and situation.
      Shim hoon tried to make a move of his novel. He wrote a film script right after writing his novel and contacted potential film company and actors and actress to make a film. But it was in 1961 when Sanglogsu was filmed by Shin Sang-ok. Director Shin Sang-ok reproduced a scenario of Sanglogsu by Shim hoon exactly. It was judged as having the intention of being faithful to the original story of Shim hoon.
      Secondly Sanglogsu was filmed by Director Lim Gwon-taek in 1978. He gave a lot of changes in the characters of Dong-hyuck and Yong-shin while keeping the original script. In particular the director emphasized masculinity shown in Dong-hyuck and displayed a tendency of highlighting Yeong-shin's Femininity.
      Yeong-shin in the movie of ‘Shinglogsoo’ in 1961 and 1978 which is seen in this writing is similar to Yeong-shin drawn by Shim hoon but meanwhile was drawn as an individual identity. While Yeong-shin in 1961 film is similar to Yeong-shin in Shim hoon's novel, Yong-shin in a movie in 1978 was reproduced as different identity. As a result, original Yong-shin, Yeong-shin in a novel by Shim hoon and Yeong-shin drawn in a 1978 move are different in various ways.
      This different appearance of Choi Yong-shin appears related to real one but she can be express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mand of reproduced contemporary time. The reproduction of Choi Yong-shin in 1960s and 1970s respectively happened in the way the contemporary society wanted. Accordingly when looking at Yeong-shin in each time, it is impressive in that we can identify our recognition and social asp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35년 세상을 떠난 최용신은 이후 다양한 방식으로 재현되어 왔다. 우선 심훈이 소설 󰡔상록수󰡕 속 여주인공으로 그렸고, 이후 영화와 드라마 등에서 거듭 구현되었다. 그때마다 최용신은 원래의 최용신이기도 했고 당대의 인식을 반영한 채영신이기도 했다. 시대와 상황은 그 필요에 맞게 원래의 최용신을 변용해서 그렸던 것이다.
      심훈은 애초부터 자신의 글을 영화화하려고 하였다. 소설 집필 직후 바로 시나리오를 작성했고, 영화화를 위해 영화사와 배우 등을 섭외하기도 했다. 그러나 󰡔상록수󰡕가 영화화된 것은 1961년 신상옥 감독에 의해서였다. 신상옥 감독은 심훈의 시나리오 「상록수」를 거의 그대로 재현하였다. 다분히 심훈의 원작에 충실하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두 번째로 󰡔상록수󰡕를 영화화한 것은 1978년 임권택 감독이었다. 그는 기존 원작의 틀은 유지하면서도 동혁과 영신의 캐릭터에는 많은 변화를 주었다. 특히 동혁의 남성성을 더욱 강조했고, 영신의 여성성 역시 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글에서 살펴본 1961년과 1978년 각각 상영된 영화 ‘상록수’의 영신은 자못 심훈의 영신을 닮았으면서도 또 한편 그와는 별개의 인격체로 그려지기도 했다. 1961년이 그나마 심훈의 영신과 유사하다면, 1978년의 그녀는 사뭇 다른 사람으로 재현되었다. 결과적으로 원래의 최용신과 심훈의 소설 속 영신, 그리고 1978년의 영신은 여러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렇듯 달라지는 최용신의 모습은 애초 그녀의 실제 모습과 관련지어 나타나기도 하지만, 재현되는 당대의 요구에 따라 달리 표현되기도 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 최용신의 재현은 곧 당대 사회가 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각 시대별 영신의 모습을 살펴보면, 당시 우리의 인식과 사회상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번역하기

      1935년 세상을 떠난 최용신은 이후 다양한 방식으로 재현되어 왔다. 우선 심훈이 소설 󰡔상록수󰡕 속 여주인공으로 그렸고, 이후 영화와 드라마 등에서 거듭 구현되었다. 그때마다 최용신�...

      1935년 세상을 떠난 최용신은 이후 다양한 방식으로 재현되어 왔다. 우선 심훈이 소설 󰡔상록수󰡕 속 여주인공으로 그렸고, 이후 영화와 드라마 등에서 거듭 구현되었다. 그때마다 최용신은 원래의 최용신이기도 했고 당대의 인식을 반영한 채영신이기도 했다. 시대와 상황은 그 필요에 맞게 원래의 최용신을 변용해서 그렸던 것이다.
      심훈은 애초부터 자신의 글을 영화화하려고 하였다. 소설 집필 직후 바로 시나리오를 작성했고, 영화화를 위해 영화사와 배우 등을 섭외하기도 했다. 그러나 󰡔상록수󰡕가 영화화된 것은 1961년 신상옥 감독에 의해서였다. 신상옥 감독은 심훈의 시나리오 「상록수」를 거의 그대로 재현하였다. 다분히 심훈의 원작에 충실하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두 번째로 󰡔상록수󰡕를 영화화한 것은 1978년 임권택 감독이었다. 그는 기존 원작의 틀은 유지하면서도 동혁과 영신의 캐릭터에는 많은 변화를 주었다. 특히 동혁의 남성성을 더욱 강조했고, 영신의 여성성 역시 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글에서 살펴본 1961년과 1978년 각각 상영된 영화 ‘상록수’의 영신은 자못 심훈의 영신을 닮았으면서도 또 한편 그와는 별개의 인격체로 그려지기도 했다. 1961년이 그나마 심훈의 영신과 유사하다면, 1978년의 그녀는 사뭇 다른 사람으로 재현되었다. 결과적으로 원래의 최용신과 심훈의 소설 속 영신, 그리고 1978년의 영신은 여러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렇듯 달라지는 최용신의 모습은 애초 그녀의 실제 모습과 관련지어 나타나기도 하지만, 재현되는 당대의 요구에 따라 달리 표현되기도 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 최용신의 재현은 곧 당대 사회가 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각 시대별 영신의 모습을 살펴보면, 당시 우리의 인식과 사회상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옥, "최용신의 외로운 진실" 책과나무 2017

      2 이계형, "최용신 학술총서2: 최용신과 함께 한 사람⋅학교⋅지역" 안산시 2018

      3 조 건, "최용신 학술총서1: 일제강점기 안산지역 교육과 최용신의 현재적의의" 안산시 2017

      4 "조선일보"

      5 사카이 나오키, "일본, 영상, 미국" 그린비 2008

      6 박정희, "영화감독 심훈(沈勳)의 ≪상록수≫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21) : 109-141, 2007

      7 조혜정, "심훈의 영화적 지향성과 현실인식 연구" 한국영화학회 (31) : 163-195, 2007

      8 "심훈문학전집1" 탐구당 1966

      9 김외곤, "심훈 문학과 영화의 상호텍스트성" 한국현대문학회 (31) : 111-135, 2010

      10 심훈, "상록수" 일신서적공사 1989

      1 김명옥, "최용신의 외로운 진실" 책과나무 2017

      2 이계형, "최용신 학술총서2: 최용신과 함께 한 사람⋅학교⋅지역" 안산시 2018

      3 조 건, "최용신 학술총서1: 일제강점기 안산지역 교육과 최용신의 현재적의의" 안산시 2017

      4 "조선일보"

      5 사카이 나오키, "일본, 영상, 미국" 그린비 2008

      6 박정희, "영화감독 심훈(沈勳)의 ≪상록수≫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21) : 109-141, 2007

      7 조혜정, "심훈의 영화적 지향성과 현실인식 연구" 한국영화학회 (31) : 163-195, 2007

      8 "심훈문학전집1" 탐구당 1966

      9 김외곤, "심훈 문학과 영화의 상호텍스트성" 한국현대문학회 (31) : 111-135, 2010

      10 심훈, "상록수" 일신서적공사 1989

      11 "매일경제"

      12 조관연, "근대적 주체로서의 여성상과 타자화 - 극영화 <상록수>들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17) : 147-171, 2010

      13 박영우, "국가 재건의 시대와 근대적 여성 주체성의 구성 - 영화『상록수』(임권택, 1978)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3 (13): 485-512, 2009

      14 "경향신문"

      15 柳達永, "崔容信小傳" 聖書朝鮮社 1939

      16 임권택, "1978년작 영화 ‘상록수’"

      17 신상옥, "1961년작 영화 ‘상록수’"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5-10-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역사와교육학회 역사와교육 -> 역사와교육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