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崔松雲堂의 文學世界와 現實認識  :  「諺文詞藻」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hoi Songseoldan's kas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54946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송설당은 한말 국권 상실기에 교육사업과 문필에 큰 족적을 남긴 선각적인 여성이다. 그가 남긴 문학 작품은 한시가 167수이고 '언문사조(諺文詞藻)'라고 한 가사 작품이 49편이다. 이 글은 그의 가사작품 49편에 대하여 논의한 논문이다.
      전반적인 그의 문학 작품은 대부분 1914년 이전에 지어진 것으로 가사문학사에서 보면 쇠퇴기의 작품이요, 내방가사에 속한다. 49편의 가사를 내용별로 보면 조상을 위하는 것, 고향을 생각한 것 , 경물을 노래한 것, 늙음을 한탄한 것, 신세한탄 등으로 나눌 수가 있다. 그의 가사작품은 표현기법의 면에서 섬세하고 감성적이며 언어구사가 적절하다. 작품의 세계는 세계에 대한 관조와 정관, 홍경래난에 연좌되었던 조상을 위하는 마음, 인생을 돌아보고 한탄하는 마음 등을 특유한 여성적 감각으로 담담하게 표현하였다.
      최송설당의 가사 작품에서 두드러진 사상은 지절과 신의였고 충의가 강조되었다. 그것은 국권을 상실한 조국을 향한 것이기도 하였다.
      번역하기

      최송설당은 한말 국권 상실기에 교육사업과 문필에 큰 족적을 남긴 선각적인 여성이다. 그가 남긴 문학 작품은 한시가 167수이고 '언문사조(諺文詞藻)'라고 한 가사 작품이 49편이다. 이 글은 ...

      최송설당은 한말 국권 상실기에 교육사업과 문필에 큰 족적을 남긴 선각적인 여성이다. 그가 남긴 문학 작품은 한시가 167수이고 '언문사조(諺文詞藻)'라고 한 가사 작품이 49편이다. 이 글은 그의 가사작품 49편에 대하여 논의한 논문이다.
      전반적인 그의 문학 작품은 대부분 1914년 이전에 지어진 것으로 가사문학사에서 보면 쇠퇴기의 작품이요, 내방가사에 속한다. 49편의 가사를 내용별로 보면 조상을 위하는 것, 고향을 생각한 것 , 경물을 노래한 것, 늙음을 한탄한 것, 신세한탄 등으로 나눌 수가 있다. 그의 가사작품은 표현기법의 면에서 섬세하고 감성적이며 언어구사가 적절하다. 작품의 세계는 세계에 대한 관조와 정관, 홍경래난에 연좌되었던 조상을 위하는 마음, 인생을 돌아보고 한탄하는 마음 등을 특유한 여성적 감각으로 담담하게 표현하였다.
      최송설당의 가사 작품에서 두드러진 사상은 지절과 신의였고 충의가 강조되었다. 그것은 국권을 상실한 조국을 향한 것이기도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oi Songseoldang was born of a ruined yangban(Korean aristocratic class) and learned Chinese classics from her father. In old age, she became rich and stable in social status. She wrote 49 kasas and 167 Chinese poems. Her kasas are various in subject matter and contents. Her expression is very delicate, full of allusions form the classics and her language is appropriate. Her works show woman's sentiment, intuition and contemplation. In some works, she tells also the family consciousness, respect for ancestors, lament for old age and frailty of human life. From her kasas, her view of life and world can be analogized, in many works she emphasizes fidelity, loyalty and filial piety. Her fidelity is for Erm-bee(consort) personally; broadly for the mother land.
      Choi was a talented writer. Through the technique of expressing her personal emotion plainly, she shows her view of life and world. When she lived, her country lost the sovereign rights and she included also her nationalism and love for the motherland in her works.
      번역하기

      Choi Songseoldang was born of a ruined yangban(Korean aristocratic class) and learned Chinese classics from her father. In old age, she became rich and stable in social status. She wrote 49 kasas and 167 Chinese poems. Her kasas are various in subject...

      Choi Songseoldang was born of a ruined yangban(Korean aristocratic class) and learned Chinese classics from her father. In old age, she became rich and stable in social status. She wrote 49 kasas and 167 Chinese poems. Her kasas are various in subject matter and contents. Her expression is very delicate, full of allusions form the classics and her language is appropriate. Her works show woman's sentiment, intuition and contemplation. In some works, she tells also the family consciousness, respect for ancestors, lament for old age and frailty of human life. From her kasas, her view of life and world can be analogized, in many works she emphasizes fidelity, loyalty and filial piety. Her fidelity is for Erm-bee(consort) personally; broadly for the mother land.
      Choi was a talented writer. Through the technique of expressing her personal emotion plainly, she shows her view of life and world. When she lived, her country lost the sovereign rights and she included also her nationalism and love for the motherland in her work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1. 緖論
      • 2. 作者 崔松雪堂
      • 3. 崔松雪堂 「諺文詞藻」의 梗槪
      • 4. 崔松雪堂 文學의 位相
      • 목차
      • 1. 緖論
      • 2. 作者 崔松雪堂
      • 3. 崔松雪堂 「諺文詞藻」의 梗槪
      • 4. 崔松雪堂 文學의 位相
      • 5. 崔松雪堂의 文學世界
      • 가. 表現技法 나. 作品의 內容
      • 6. 崔松雪堂 文學에 드러난 現實認識
      • 가. 持節 · 信義 나. 忠孝 다. 가문의식과 민족의식
      • 7. 結論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