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평화리더십과 한반도신경제구상: 문재인 정부의 남북교류협력을 중심으로 = Peace Leadership and the New Economic Initiative of the Korean Peninsula : Focusing on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in the Moon Jae-in Gover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094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평화와 번영의 ‘4.27판문점선언’과 ‘9월 평양선언’을 남북교류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한반도신경제구상’과 관련하여 규명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재인 대통령의 평화리더십은 ‘평화롭고 번영 하는 한반도’라는 행복의 가치를 추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되고 반드시 필요한 것은 남북한의 교류와 협력이다. 남북정상회담에서 제시한 경제부흥을 위한 한반도신경제구상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전제로 하고 있다. 한반도신경제구상은 한국은 침체된 경제의 성장 동력을 불어 넣기 위한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전략이라면, 북한으로 서도 새로운 경제발전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디딤돌이라고 분석 할 수 있다. 결국 이것은 남북한의 공통의 목표가 번영을 의미하는 것으로, 신한반도체제로 나가자는 것이다. 신한반도체제는 대립과 갈등을 끝낸 새로운 평화협력공동체이자, 이념과 진영의 시대를 끝낸 경제협력 공동체이다. 남북한은 ‘평화의 완충지대’로서 평화와 번영의 신동북아시대를 견인해야 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평화와 번영의 ‘4.27판문점선언’과 ‘9월 평양선언’을 남북교류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한반도신경제구상’과 관련하여 규명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재인 대통령...

      이 논문은 평화와 번영의 ‘4.27판문점선언’과 ‘9월 평양선언’을 남북교류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한반도신경제구상’과 관련하여 규명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재인 대통령의 평화리더십은 ‘평화롭고 번영 하는 한반도’라는 행복의 가치를 추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되고 반드시 필요한 것은 남북한의 교류와 협력이다. 남북정상회담에서 제시한 경제부흥을 위한 한반도신경제구상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전제로 하고 있다. 한반도신경제구상은 한국은 침체된 경제의 성장 동력을 불어 넣기 위한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전략이라면, 북한으로 서도 새로운 경제발전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디딤돌이라고 분석 할 수 있다. 결국 이것은 남북한의 공통의 목표가 번영을 의미하는 것으로, 신한반도체제로 나가자는 것이다. 신한반도체제는 대립과 갈등을 끝낸 새로운 평화협력공동체이자, 이념과 진영의 시대를 끝낸 경제협력 공동체이다. 남북한은 ‘평화의 완충지대’로서 평화와 번영의 신동북아시대를 견인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4.27 Panmunjom Declaration” and “9.19 Pyongyang Declaration” for the peace and prosperity of the Korean Peninsula in terms of inter-Korean exchanges and scrutinizes the Declara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New Economic Initiative of the Korean Peninsula. The leadership of President Moon Jae-in pursues the value of the “peaceful and prosperous Korean Peninsula” of which pre-requisite and requirement are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The New Economic Initiative of the Korea Peninsula for economic prosperity proposed in the inter-Korean summit premises complete denuclearization in the Peninsula. It is accentuated that the Initiative provides a new tonic impetus to the Korean economy in recession, and simultaneously, shapes a necessary foundation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of North Korea. The Initiative with connotation of the two Korea’s mutual opulence aims at proceeding to a new Korean Peninsular system. The new system implies the new peace-cooperative community where confrontation and discord are ceased, and the new economic-cooperative one where the age of ideological rivalry comes to an end. The two Koreas have to lead the new age of peaceful and prosperous Northeast Asia as a buffer zone of peace.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s “4.27 Panmunjom Declaration” and “9.19 Pyongyang Declaration” for the peace and prosperity of the Korean Peninsula in terms of inter-Korean exchanges and scrutinizes the Declara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New Economic Ini...

      This study explores “4.27 Panmunjom Declaration” and “9.19 Pyongyang Declaration” for the peace and prosperity of the Korean Peninsula in terms of inter-Korean exchanges and scrutinizes the Declara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New Economic Initiative of the Korean Peninsula. The leadership of President Moon Jae-in pursues the value of the “peaceful and prosperous Korean Peninsula” of which pre-requisite and requirement are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The New Economic Initiative of the Korea Peninsula for economic prosperity proposed in the inter-Korean summit premises complete denuclearization in the Peninsula. It is accentuated that the Initiative provides a new tonic impetus to the Korean economy in recession, and simultaneously, shapes a necessary foundation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of North Korea. The Initiative with connotation of the two Korea’s mutual opulence aims at proceeding to a new Korean Peninsular system. The new system implies the new peace-cooperative community where confrontation and discord are ceased, and the new economic-cooperative one where the age of ideological rivalry comes to an end. The two Koreas have to lead the new age of peaceful and prosperous Northeast Asia as a buffer zone of pea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정치리더십의 가치로서 평화와 남북관계 Ⅲ. 남북정상회담과 교류분야 공동선언 Ⅳ. 남북교류협력의 변화와 한반도신경제구상 Ⅴ. 결론
      • Ⅰ. 서론 Ⅱ. 정치리더십의 가치로서 평화와 남북관계 Ⅲ. 남북정상회담과 교류분야 공동선언 Ⅳ. 남북교류협력의 변화와 한반도신경제구상 Ⅴ.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일연구원, "한반도 평화체제 및 비핵화 관련 자료집01" 통일연구원 2018

      2 김창희, "한반도 평화정착과 4.27 판문점 선언" 한국정치외교사학회 40 (40): 119-152, 2018

      3 김상기, "한반도 평화와 남북 협력 종합 연구(총괄보고서)" 통일연구원 2018

      4 한국정치사회연구소, "한반도 통일준비의 모색" 프리마북스 2011

      5 양운철, "한국의 국가전략 2030: 통일" 세종연구소 2015

      6 서보혁, "한국 평화학의 탐구" 박영사 2019

      7 문정인, "평화의 규칙" 도서출판 바틀비 2018

      8 이영종, "평양오디세이"

      9 양용모, "정치리더십과 지역정치 - 지방정치인의 리더십 가치 -" 한국자치행정학회 33 (33): 183-200, 2019

      10 김주삼, "유엔의 북핵 대북제재조치의 실효성과 북한의 체제생존전략"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 (2): 69-92, 2018

      1 통일연구원, "한반도 평화체제 및 비핵화 관련 자료집01" 통일연구원 2018

      2 김창희, "한반도 평화정착과 4.27 판문점 선언" 한국정치외교사학회 40 (40): 119-152, 2018

      3 김상기, "한반도 평화와 남북 협력 종합 연구(총괄보고서)" 통일연구원 2018

      4 한국정치사회연구소, "한반도 통일준비의 모색" 프리마북스 2011

      5 양운철, "한국의 국가전략 2030: 통일" 세종연구소 2015

      6 서보혁, "한국 평화학의 탐구" 박영사 2019

      7 문정인, "평화의 규칙" 도서출판 바틀비 2018

      8 이영종, "평양오디세이"

      9 양용모, "정치리더십과 지역정치 - 지방정치인의 리더십 가치 -" 한국자치행정학회 33 (33): 183-200, 2019

      10 김주삼, "유엔의 북핵 대북제재조치의 실효성과 북한의 체제생존전략"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 (2): 69-92, 2018

      11 Burns, James MacGreor, "역사를 바꾸는 리더십(Transformig Leadreship)"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6

      12 이규창, "사회문화교류협력 및 인적 접촉 활성화 방안: 체육·문화예술 및 인도협력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018

      13 김두열, "북한의 철도 건설, 1900~2015: 산업화와 장기 경제 침체에 대한 함의" 한국개발연구원 2018

      14 김강녕, "북한 핵전략의 유형적 특징과 전망" 한국정치사회연구소 1 (1): 171-208, 2017

      15 박봉규, "북한 핵의 맥락적 이해" 한국정치사회연구소 1 (1): 97-114, 2017

      16 통일부, "문재인의 한반도정책: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통일부 2018

      17 국가안보실, "문재인 정부의 국가안보전략" 국가안보실 2018

      18 도경옥, "대북제재 완화의 조건 및 절차" 통일연구원 2018

      19 임강택, "대북제재 국면에서 남북교류방안" 통일연구원 2017

      20 조한범, "남북정상회담과 한반도 신경제 구상" 통일연구원 2019

      21 임강택, "남북정상회담과 한반도 신경제 구상" 통일연구원 2018

      22 김창희, "남북관계와 한반도 평화" 삼우사 2019

      23 통일부, "2019 통일백서" 통일부 2019

      24 한국사회여론연구소, "2018년 4월 정례 Topline 보고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