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디지털전환기 기업혁신활동 변화와 대응전략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782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companies in response to the business innovation environment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and explores policy tasks that can effectively support them. In an era when quantitative growth is no longer possible, the study takes a deep dive into how businesses respond and change to be sustainable based on a theoretical framework, and proposes new policy directions. The study analyzes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and examines the activities of companies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including general companies that pursue economic value as well as those that pursue social value, in terms of corporate value orientation.
      This study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2 looks at environmental changes, business responses, and related policies that can affect the activities and sustainability of companies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and reviews theories explaining business responses to environmental changes, especially dynamic capabilities. Chapter 3 introduces the cases of business digital transformation with the focus of research on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general companies that pursue economic value and derives policy demands with a survey on the status of companies responding to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Chapter 4 introduces the activities of social value-oriented businesses that leverage digital technology to improve social sustainability and derives policy demands for increasing the social value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related business activities. Chapters 3 and 4 both take an in-depth look into how companies perceive the environment, seize opportunities, and implement internal and external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dynamic capabilities. Considering that social value-driven companies focus on changing the social system as an agent of sustainable social transform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and activities that transform the environment and social system surrounding a company and what role digital transformation plays. It examines what difficulties and policy demands exist in the overall process of such chang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ies that undergo changes. Finally, Chapter 5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suggests policy directions to improve the economic and social values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results of a survey on innovative SMEs showed that Korean SMEs, especially manufacturing companies, have low interest in digital transformation, their implementation level is also not mature and digital transformation has not yet yielded economic outcomes. It also found that the type and purpose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industrial sector can affect the stage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at dynamic capabiliti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mplementation and advancement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case of social value-driven companies, they recognize addressing social problems as their main corporate mission and combine social value and economic value in their businesses. Here, digital transformation and digital technology appear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gaining competitive advantage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policy tasks. First, to improve the economic performance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study suggests policy development from the demand perspective considering the stage of digital transformation, devising measures to induce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improvement of SME innovation policies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To maximize the social benefits of digital transformation, it also proposes to expand the digital social innovation R&D program, strengthen the social value orientation of new industries, and promote the innovation ecosystem of social value-driven companies. Lastly,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policy from disseminating digital technology to strengthening dynamic capabilities.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companies in response to the business innovation environment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and explores policy tasks that can effectively support them. In an era when quantitative growth is no longer possible, th...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companies in response to the business innovation environment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and explores policy tasks that can effectively support them. In an era when quantitative growth is no longer possible, the study takes a deep dive into how businesses respond and change to be sustainable based on a theoretical framework, and proposes new policy directions. The study analyzes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and examines the activities of companies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including general companies that pursue economic value as well as those that pursue social value, in terms of corporate value orientation.
      This study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2 looks at environmental changes, business responses, and related policies that can affect the activities and sustainability of companies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and reviews theories explaining business responses to environmental changes, especially dynamic capabilities. Chapter 3 introduces the cases of business digital transformation with the focus of research on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general companies that pursue economic value and derives policy demands with a survey on the status of companies responding to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Chapter 4 introduces the activities of social value-oriented businesses that leverage digital technology to improve social sustainability and derives policy demands for increasing the social value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related business activities. Chapters 3 and 4 both take an in-depth look into how companies perceive the environment, seize opportunities, and implement internal and external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dynamic capabilities. Considering that social value-driven companies focus on changing the social system as an agent of sustainable social transform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and activities that transform the environment and social system surrounding a company and what role digital transformation plays. It examines what difficulties and policy demands exist in the overall process of such chang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ies that undergo changes. Finally, Chapter 5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suggests policy directions to improve the economic and social values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results of a survey on innovative SMEs showed that Korean SMEs, especially manufacturing companies, have low interest in digital transformation, their implementation level is also not mature and digital transformation has not yet yielded economic outcomes. It also found that the type and purpose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industrial sector can affect the stage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at dynamic capabiliti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mplementation and advancement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case of social value-driven companies, they recognize addressing social problems as their main corporate mission and combine social value and economic value in their businesses. Here, digital transformation and digital technology appear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gaining competitive advantage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policy tasks. First, to improve the economic performance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study suggests policy development from the demand perspective considering the stage of digital transformation, devising measures to induce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improvement of SME innovation policies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To maximize the social benefits of digital transformation, it also proposes to expand the digital social innovation R&D program, strengthen the social value orientation of new industries, and promote the innovation ecosystem of social value-driven companies. Lastly,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policy from disseminating digital technology to strengthening dynamic cap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 배경과 목적
      □ 연구의 필요성
      ○ 코로나19로 인해 경제사회 전반의 소통과 운영방식이 변화하고 있으며 뉴노멀이 장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 경제적 저성장 상황에서 기후위기, 전염병의 확산, 양극화의 심화, 고령화 등 사회 구조적 문제가 심화되고 있으며 새로운 시스템으로의 전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고 있음
      ○ 정책적으로는 기존의 양적인 생산중심 성장모형이 한계에 직면하며 혁신성장을 지속하기 위해 디지털전환이 강조되고 있음
      - 기업의 디지털전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 중소기업과 대기업과의 디지털 격차 확대가 예상됨
      ○ 전환에 대한 기업의 해석, 추진, 그 과정에서의 기업 변화 등 ‘어떻게’에 대한 수요자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함
      - ‘전환’과 ‘기업혁신’에 관한 기존 정책연구는 기술변화 트렌드 및 산업혁신, 기술공급 관점의 디지털전환 기술의 활용성 제고를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음
      ○ 기업의 환경 대응과 변화를 전환기 기업혁신활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인 전환적 혁신정책의 시각에서 확장해 볼 필요가 있음
      - 경제가치창출의 주체로 한정하던 기업을 사회가치창출의 틀에서 바라보는 논의가 확산되고 있음
      □ 연구의 목적
      ○ 디지털전환기에 기업이 어떻게 대응하고 변화하는지, 전환기 상황에서 정책은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 연구하고자 함
      - 양적 성장이 한계에 직면한 시대에 지속가능하기 위한 기업의 대응과 변화를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심층 분석하고 새로운 정책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함

      □ 연구의 범위
      ○ 기업혁신활동을 환경에 대한 반응과 적응의 진화적 관점에서 혁신의 ‘성공’이나 ‘성과’ 보다는 ‘과정’이나 ‘변화’ 중심으로 분석함
      ○ 기업의 가치지향성 기준에서 일반 경제가치지향 기업과 사회가치지향기업을 포함해 디지털전환기 중소기업 활동을 살펴보고자 함

      [그림 1] 디지털전환기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기업 변화

      주: 실선이 본 연구 대상
      자료: 연구진 작성
      □ 연구 추진체계 및 구성

      [그림 2] 연구 추진 체계

      자료: 연구진 작성


      2. 디지털전환기 혁신환경과 기업 역량
      □ 디지털전환과 기업 대응
      ○ 최근 포스트 코로나의 핵심 이슈는 ‘디지털 전환 가속화’임
      - 디지털전환은 기업의 생태계를 변화시키고 이로 인해 산업의 가치사슬 내에서 기업의 필수 역량의 변화 및 배분, 부가가치 창출 구조에 변화가 발생하고 있음
      ․특히 개별 기업 차원보다 산업 내 기업 간 연계 또는 산업 간 연계를 통한 산업의 구조적 변화가 진행되고 있음
      -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디지털 기술의 수요 증가와 맞물려 이전 보다 변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으며 기업 변화의 우선순위로 디지털전환이 급부상함
      ○ 기업 디지털전환은 ICT 기반 혁신의 진화적 관점에서 전산화(digitization), 디지털화(digitalization), 디지털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의 3단계로 구분됨
      - 대부분의 연구에서 전산화와 디지털화 단계가 디지털전환 단계에 선행되어야 할 단계로 보고 있음
      - 사례연구 및 실태조사에 따르면 기업의 디지털전환은 크게 내부 효율성 개선(또는 비용 절감)과 수익 창출(또는 기업 성장)이라는 두 개 목적으로 구분됨
      ○ 기존 조사에 따르면 국내 기업 중 디지털전환을 추진 중인 기업은 약 30%이나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기업은 10% 수준에 그쳤음
      - 디지털전환을 통한 내부 효율화 추진 기업이 약 60%, 수익 창출 추진 기업이 약 40%

      □ 국내 주요 정책 현황
      ○ 기업 디지털전환의 진화적 단계 개념에서 1980년대 정보화사업에서부터 2010년 이후 스마트공장 정책까지의 디지털전환 정책 흐름을 살펴봄
      - 대표적 중소기업 정보화사업은 중소기업 정보화혁신전문기업사업(TIMPs, ‘02~‘06), 중소기업 정보화기반구축사업((‘07~‘09), 경영정보시스템구축지원사업(‘10~‘13), 클라우드기반솔루션개발사업(‘13~현재),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02~‘18, ‘19년부터 스마트공장 사업으로 흡수) 등이 있음
      - 스마트화 사업은 2014년 제조업 3.0 전략 수립에서 시작되었으며 2022년까지 3만개 스마트공장 보급 및 확산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음
      ○ 지난 20년간 중소기업의 정보화수준은 증가하였고, 특히 정보화사업 지원기업의 정보화수준이 중소기업 평균을 웃돌아 긍정적 정책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스마트공장 성과분석 결과 공정개선 및 경영개선 측면에서 지원사업의 효과성이 확인되었음

      □ 변화하는 환경에서 기업혁신을 위한 역량
      ○ 동적역량이란 변화하는 환경에서 기업의 지속가능발전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개념으로 어떠한 목적 하에 조직의 자원 기반을 창출하거나 확장하거나 변형하는 능력, 즉 변화와 관련된 능력을 의미함
      - 동적역량은 외부 환경에 유연히 대처하고 변화할 수 있는 기업이 가지고 있는 능력으로 어떻게 조직이 변화를 식별하고 변화 필요성에 대응하는지에 관한 것임
      ○ 동적역량은 메타역량 개념으로 하위 역량으로 구분할 수 있음
      - 감지 능력은 시장 변화나 새로운 기술 궤적의 출현 등을 면밀히 관찰하고 조사하며 기업의 기회와 위협요인을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기업가적 통찰력과 비전이 필요함
      - 기회포착 능력은 감지된 기회를 신제품이나 서비스, 공정 개선 등 기업의 가치로 연결시키는 활동을 의미하며 자원 배분 및 투자 시기, 분야 및 분배 수준 등 의사결정을 포함함
      - 재구성 및 전환 능력은 기업의 새로운 성장 경로에 맞추어 기업의 자원과 자산을 재조합하고 재구성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플랫폼 기반 기업에게 중요한 능력으로 강조되고 있음
      3. 디지털전환기 경제가치지향 기업과 정책 수요
      □ 기업 디지털전환 분석 틀
      ○ 디지털전환기 환경 속에서 기업이 전환 방향을 설정하고 변화해가는 과정을 구성 요소와 그들 간의 관계로 이해함으로써 세부적 분석 주안점을 설정함
      - 동적역량 접근에 따라 감지-기회포착-재구성・전환의 과정으로 살펴봄

      [그림 3] 기업 디지털전환 대응・변화 과정

      주: ⇢는 기업 외부 환경, →는 기업 내부 흐름
      자료: Vial(2019, p.122)에서 수정・보완

      <표 1> 기업 디지털전환 연구 주안점

      범주
      주안점
      설명 또는 세부 주안점
      감지 차원
      위기/기회요인
       기업의 전략적 대응 필요성을 촉발한 산업환경변화(경쟁심화, 협력사 관계, 규제, 신기술/대체품, 비즈니스생태계 등), 고객 기호와 시장 변화, 그 외 거시환경(코로나 등), 사회환경 등에 대한 인식 및 기업 영향에 대한 해석
      기회포착 차원
      전략적 대응
       기업 대응 방향에 대한 의사결정 또는 전환 비전 및 계획의 수립
      디지털 기술・
      연구개발
       전환을 위한 디지털 기술의 도입
       제품・서비스・공정・비즈니스모델・마케팅 혁신을 위한 연구개발
      재구성・전환 차원
      구조적 변화
       리더십: 전환을 위해 필요한 리더의 새로운 역할 또는 리더십, 새로운 직책 및 권력 위임, 생태계 및 사회시스템에서의 리더십 확장
       조직구조: 신생 부서, 조직 통・폐합, 합병・제휴
       조직문화: 전환・협력에 대한 인식 변화 등
       직원 역할・기능: 핵심인력 변화 및 기대 역할 변화, 신규 인재 확보
      장애요소
       기업 핵심사업 부문과의 갈등, 운영방식의 관성
       변화에 대한 구성원 저항
      성과・영향
       효율성 및 생산성 개선, 매출 증대 등 기업 경제적 성과
       디지털역량 및 인재확보, 동적역량 강화 등 진화적 적합성 또는 지속가능성 제고

      자료: 연구진 작성
      □ 디지털전환 기업 사례
      ○ 현재 기업의 디지털전환은 정보화의 연장선 상에서 기업 자원 및 내부 프로세스의 디지털화와 디지털 환경에 맞는 제품, 서비스, 사업모델 개발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음
      ○ 디지털전환을 통한 내부 효율화와 신규가치창출 기업 사례를 수집하여 정리함
      - 내부 효율화의 경우 스마트공장 정책지원 사례를 분리하여 정책 개선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음

      <표 2> 디지털전환 유형별 사례기업 특성

      사례기업 유형 구분
      내부 효율화 기업
      (전산화 단계)
      스마트공장 추진기업
      (디지털화 단계)
      신규가치창출 기업
      (디지털전환 단계)
      (감지・기회포착)
      디지털
      전환 비전
      디지털전환 목적
      생산정보의 데이터화
      생산공정 자동화
      제품품질 향상
      신규사업 또는 비즈니스모델 연계
      디지털전환
      주요 내용
      MES 또는 ERP 도입
      생산공정 및 물류 자동화 도입
      신규 ITEM 또는 비즈니스모델 적용
      (재구성・전환)
      디지털
      전환 추진과 기업변화
      추진 방식
      기업내부의 경영진 또는 실무진의 필요
      경쟁사의 변화, 규제변화는 외부적 요인에 의해 추진
      디지털전환을 활용한 신규비즈니스 창출
      주도 주체
      실무진
      TF
      CEO 또는 경영진
      정부 지원
      가능(사례기업 50%받음)
      있음
      없음
      내부반발/저항
      다수 기업 초기반발
      초기 비용 발생
      없음
      성과

      정책수요
      추진 성과
      생산성 제고
      생산성 제고 및 품질향상
      투자 유치, 시장확대
      핵심 성공요인
      CEO 의지
      CEO 의지
      CEO 의지
      애로 사항
      다음 단계로 도약을 위한 자원부족
      전문인력 확보 및 교육
      전문인력 확보,
      데이터 활용기반 취약
      정책 수요
      중소기업 지원 확대
      전문인력 교육 프로그램 확대
      관련 규제 완화

      자료: 연구진 작성
      □ 기업 디지털전환 실태조사
      ○ 디지털전환 수요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혁신형 중소기업을 모집단으로 표본 조사를 실시함
      - 기업의 환경 변화 인식과 대응, 기업의 디지털전환 현황 및 계획, 디지털전환에 대한 전략적 접근, 디지털전환 추진 방식과 조직 영향, 디지털전환 추진 성과 및 애로사항 등으로 문항 구성
      ○ 실태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실태조사 기업의 환경변화에 대한 위기감은 크지 않아 제조업의 경우 약 70%가 주력 제품이나 서비스에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음
      - 실태조사 기업의 디지털전환 관심도에 비해 실제 전산화 이상 추진 기업의 비중은 낮음

      [그림 4] 디지털전환 단계별 기업 분포

      자료: 실태조사 결과

      - 국내 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환은 기업 대표가 주도하고 있으며 CEO의 통찰력과 추진력은 기업 디지털전환 성공에 중요함
      - 그러나 동시에 경영진의 예산 지원과 적극성 부족이 디지털전환 추진의 장애요인으로 조사됨

      <표 3> 디지털전환 단계 별 장애요인


      미 추진
      전산화
      디지털화
      디지털전환
      1순위
      경영진 지원 부족
      업계 정보 부족
      2순위
      전략수립역량부족
      업계 정보 부족
      경영진 지원 부족
      3순위
      업계 정보 부족
      디지털 인재 부족
      전략수립역량부족

      자료: 실태조사 결과

      ○ 실태조사 자료에 대한 통계분석을 통해 기업 디지털전환의 특성을 도출함
      - 업종 별로 디지털전환 추진에 차이가 있는데 제조업과 비제조업 간 디지털전환 추진 목적이 다르고 목적의 차이가 기업 디지털전환 단계에 영향을 미침
      - 기업의 동적역량과 ICT 역량이 높을수록 기업 디지털전환 단계가 높음
      - 아직까지 기업의 디지털전환 추진이 뚜렷한 기업 성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음
      4. 디지털전환기 사회가치지향 기업과 정책 수요
      □ 사회가치지향 기업 분석 틀
      ○ 기반 기술의 성격을 지닌 디지털 기술이 보편적으로 확대되면서 기업의 가치사슬 및 조직루틴과 전략・제품・서비스의 전반적인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사회가치지향 기업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음
      ○ 사회가치지향 기업의 혁신활동은 디지털전환의 맥락 속에서 이루어지는 바, 디지털전환이 사회가치지향 혁신활동에 제공하는 가능성과 과제를 살펴보고자 분석 틀을 구축함
      - 동적역량 관점에서 사회가치지향 기업이 거시환경 변화와 관련된 기회를 인지하는 감지 활동, 기회를 활용하기 위한 전략을 설정하는 기회포착 활동, 전략을 구현하는 재구성・전환 활동의 틀을 도입하여 분석함

      <표 4> 사회가치지향 기업의 혁신활동 분석 틀

      범주
      설명

      사회가치지향 기업의 혁신활동 활성화
      감지 차원
      사회적 목표와 임무, 기업이 활동하는 사회문제 영역을 설정을 통한 새로운 시장 진입 기회 확보
      기회포착 차원
      사회가치 지향 경쟁우위와 차별화 전략 설정
      재구성・전환 차원
      새로운 비즈니스모델 학습, 혁신 네트워크 형성, 정당성 확보
      디지털전환 대응
      디지털 기술과 관련된 감지・기회포착・재구성 활동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구현

      자료: 연구진 작성

      □ 사회가치지향 기업 사례
      ○ 사회가치지향 기업의 경우 대상 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사례연구로만 진행함
      - 사회가치창출을 목적으로 창업해서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사례, 사회혁신을 수행하는 기업의 사례를 분석함
      - 대표적 사회가치지향 기업으로 다양한 상을 수상하고 새로운 방식의 고용시스템과 시장을 개척한 기업들로 소셜벤처이자 사회적기업인 테스트웍스와 사회적기업인 복지유지온, 그리고 중견기업인 한국에자이를 연구함

      <표 5> 사회가치지향 기업의 특성과 혁신활동

      주요 활동
      테스트웍스
      복지유니온
      한국에자이
      (감지)
      사회가치지향 기업의 임무와 목표, 사회문제 영역
      ∙ 첨단산업 분야에서 취약계층의 일자리 제공 및 지속가능한 포용적 고용시스템 구축
      ∙ 첨단산업분야에서 포용적 고용시스템 구축을 통해 취약계층의 능력 발휘
      ∙ 초고령사회에 대비해 고령친화형 식품 제공과 영양관리를 위한 영양돌봄 시스템 구축
      ∙ 초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노인을 대상으로 한 고령친화형 식품 개발・보급과 영양돌봄 활동
      ∙ 환자・생활자가 걱정과 우려없이 삶을 유지할 수 있는 인간중심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 환자・생활자를 위한 예방・치료・돌봄이 통합된 서비스 구현
      (포착)
      사회가치지향 기업의 경쟁전략과 혁신활동
      ∙ 취약계층의 고용과 성장이 이루어지는 고용・인력관리 시스템 구축과 경쟁우위 확보
      ∙ 취약계층의 인력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의 구축
      ∙ 연하식 등 고령친화 식품 및 시장 개발
      ∙ 취약계층 노인, 재가 노인 등을 대상으로 한 급식 시스템 구축
      ∙ ICT를 활용한 고령자 영양돌봄 프로그램 개발・운영
      ∙ ICT를 활용한 예방・치료・돌봄 통합 서비스 제공을 통한 생활자의 불안 극복과 이를 위한 플랫폼 구축
      ∙ 솔루션을 지닌 스타트업, 사회혁신조직이 참여하는 개방형 혁신전략과 생태계 구축
      (재구성・전환)
      사회문제 해결 관련역량 확보
      ∙ 문제 인지 및 학습
      - 창업자가 현장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업무를 수행하면서 취약계층의 능력 제고를 통한 고용・성장 기회 확보의 가능성
      ∙ 네트워크 형성
      - 공공기관(공사)과의 연계를 통한 AI데이터 시장 확보
      - 관련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한 인공지능기업 생태계 형성
      ∙ 정당성 구축
      - 일자리 창출을 위한 디지털 뉴딜 기획과정에의 적극적 참여
      ∙ 문제 인지 및 학습
      - 창업자가 복지관 및 요양원에 근무하면서 초고령사회가 도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령자의 상황에 맞는 고령친화 식품 및 영양관리 활동의 부재 인식
      ∙ 네트워크 형성
      - 사회적경제 조직과 네트워크 형성 및 전문식품 유통 플랫폼 구축
      - 공공급식 사회서비스 구현을 위한 지자체와의 협업
      ∙ 정당성 구축
      - 서울・부산 영양기본조례 제정 활동: 신체적, 정신적 차별 없이 모든 시민의 영양 기본권 보장 및 관리 감독의 서울시 의무 제정
      ∙ 문제 인지 및 학습
      - hhc와 같은 환자 중심의 헬스케어 서비스를 지향하는 기업 철학과 서비스 제공 경험
      - 혁신프로젝트와 개방형 혁신을 통한 솔루션 개발
      ∙ 네트워크 형성
      - ICT기반 솔루션 지닌 스타트업과의 협업
      - 시민사회조직, 사회적경제, 사회혁신조직과의 협업
      ∙ 정당성 확보
      - 돌봄전환 리빙랩네트워크와 같은 시민사회 중간조직과의 협업을 통한 사회적 정당성 확보
      디지털전환 대응
      ∙ 디지털전환과정에서 새롭게 형성되는 시장에의 진입과 포용적 고용시스템 구축
      ∙ AI를 활용한 사회가치 창출모색
      ∙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식품생산・유통을 넘어 영양돌봄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 구축
      ∙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생활자가 우려없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예방・치료・돌봄의 통합 플랫폼 과 생태계 구축

      자료: 연구진 작성
      5. 연구 종합 및 정책 과제
      □ 연구 의의 및 주요 발견
      ○ 본 연구는 디지털전환기 혁신환경 속에서 기업 지속가능성을 위한 방향을 모색함
      - 디지털 격차가 기업 생산성 격차로 이어지는 상황에서 코로나19는 경제사회와 산업의 디지털전환을 가속화시키고 있음
      - 또한 코로나19 이후 기업의 사회 책임성에 대한 요구가 더욱 커지고 있음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환 대응과 이에 따른 변화 및 디지털 기술 기반사회가치지향기업의 활동을 분석하여 디지털전환기 기업 변화의 방향성을 탐구함
      ○ 본 연구를 통한 주요 발견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음
      - 기업 디지털전환을 이해하는데 효율화/비용감소 측면의 전산화-디지털화 단계와 신규가치창출/성장 측면의 디지털전환 단계로의 구분이 용이함
      - 상당수의 기업이 디지털전환을 미추진하거나 전산화 단계의 접근을 수행하고 있으며 디지털전환 추진이 뚜렷한 기업 성과 차별화로 나타나지 않는 점으로부터 현재 기업 디지털전환의 낮은 경제 성과를 짐작할 수 있음
      - 디지털전환 접근의 업종별 차이를 확인하여 특히, 환경 변화 민감성, 동적역량, 디지털전환 추진 목적에서 제조업의 상대적으로 저조한 디지털전환 관심도 및 단계를 설명함
      - 사회가치지향기업은 동적역량을 발휘해 성장하고 있는 시장에 진입하고 디지털 기술에 기반 한 비즈니스모델 개발을 통해 경제가치와 경쟁우위를 확보함
      - 기업 디지털전환 추진과 사회가치지향 활동에 있어 동적역량이 중요함
      - (시사점 1) 기업 디지털전환은 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 속에 기업의 선택적 접근이며 따라서 기업이 디지털전환을 통해 그리는 비전, 목적에 따라 디지털전환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가치가 달라질 수 있음
      - (시자점 2) 디지털전환의 경제적 가치 제고를 위해 업종 별 디지털전환 비전 전달 및 유인책 마련, 스마트공장 정책 중심에서 나아가 사업 전환 관점에서의 디지털전환 정책 마련이 필요하며 현재 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환 수용 수준을 반영한 단계별 접근이 선행될 필요가 있음
      - (시사점 3) 디지털전환과 사회가치지향기업의 결합 및 이를 지원・확대하는 정책 환경 마련을 통해 디지털전환의 사회적 편익을 제고할 수 있음
      - (시사점 4) 전환기 중소기업 정책 방향은 기술 보급에서 동적역량 강화 정책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음


      [정책과제 1] 디지털전환의 경제적 성과 제고를 위한 정책 과제
      1-1. 디지털전환 단계를 고려한 수요자관점의 정책 개발
      □ 디지털전환 단계에 맞는 기업전략수립 지원
      ○ 기업의 디지털전환 수준이나 준비도 진단을 통해 기업 디지털전환 단계별 가이드라인 등 지침이나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기업 성장경로에 맞는 기업전략수립을 지원

      □ 디지털전환 단계별 실태조사를 통한 중소기업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의 기획・보급
      ○ 디지털전환 단계별 기술 및 인력수요조사를 바탕으로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장단기 기술로드맵 및 인력수급계획에 반영

      □ 디지털전환 공급기업-수요기업 간 협업체계 구축・지원
      ○ 디지털전환 시스템・솔루션의 운영 및 유지보수, 전담인력에 대한 직무향상 및 기술교육 측면에서 협업체계 구축 지원
      1-2. 제조기업 디지털전환 유인 방안 마련
      □ 수요기업 연계형 디지털전환 확산 프로그램 추진
      ○ 공공기관 등 수요기업의 디지털화 자료 요구와 디지털전환 지원을 포함하는 연계형 프로그램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초단계 전환 유도

      □ 사회적 이슈에 대응한 선제적 스마트공장 지원
      ○ 중대재해 처벌 이슈나 ESG, 지역 소멸의 이슈, 주52시간제 도입에 따른 기업경영난 등 사회적 이슈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스마트공장을 제안함으로써 제조기업의 디지털전환 관심도와 정책적 효과성 제고

      1-3. 디지털전환기 기업혁신활동 변화를 반영한 중소기업혁신정책 개선
      □ 제조업 서비스화 관련 연구개발 지원
      ○ 디지털전환 신규가치창출이 제조업 서비스화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관련 연구개발 정책을 통해 지원 필요

      □ 비즈니스모델 기반 ‘디지털전환-투자자금’ 연계 지원
      ○ 비즈니스모델 관련 디지털전환의 경우 자금 확보 측면에서 단계별 지원 방식으로 최종적으로는 투자처 연결 혹은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사업전환 자금 지원 사업 등으로 연결하여 지원

      □ 오픈소스 협력방식 기술혁신 지원
      ○ SW 기업 혹은 서비스기업과 수요기업, 소비자가 공동으로 참여하여 협업을 통해 기술 및 서비스 개발을 추진하는 오픈소스 협력 방식의 기술혁신 지원
      □ 사후 규제로의 제도 전환
      ○ 새로운 비즈니스 및 산업이 등장하면 일단 하용하고 문제 발생 시 사후적으로 규제하는 사후 규제 방식으로의 전환을 검토


      [정책과제 2] 디지털전환의 사회적 편익 극대화를 위한 정책 과제
      2-1. 디지털 사회혁신 연구개발 프로그램 확대
      ○ 산업혁신 활성화에 초점이 맞춰진 디지털 혁신 지원 프로그램을 보완해 디지털 사회혁신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관련 기업 활동을 지원

      2-2. 신산업의 사회가치 지향성 강화
      ○ 신사업 초기에 정책 개입을 통해 산업발전이 지속가능한 전환에 기여하고 사회가치지향으로 진화하는 계기 마련

      2-3. 사회가치지향 기업 혁신 생태계 활성화
      ○ 임무지향적 혁신정책 프로그램을 통한 사회가치지향 기업 혁신 생태계 구축 지원


      [정책과제 3] 디지털전환기 중소기업 정책 방향: 기술 보급에서 동적역량 강화로
      ○ 디지털전환은 디지털화된 세상을 통해 물리적 제약을 극복하고 높아진 연결성으로 기술, 경제, 사회 전반의 가속적 변화를 예견하고 있어 장기적으로 디지털전환 정책의 방향이 동적역량 강화 정책으로 변화해야 함
      ○ 기업의 감지활동을 지원하고 장려하며 디지털전환 등 변화하는 혁신환경에 대한 전략적 접근을 강화하고 변화와 혁신을 꾀할 수 있도록 정책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음
      번역하기

      1. 연구 배경과 목적 □ 연구의 필요성 ○ 코로나19로 인해 경제사회 전반의 소통과 운영방식이 변화하고 있으며 뉴노멀이 장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 경제적 저성장 상황에서 기후위기...

      1. 연구 배경과 목적
      □ 연구의 필요성
      ○ 코로나19로 인해 경제사회 전반의 소통과 운영방식이 변화하고 있으며 뉴노멀이 장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 경제적 저성장 상황에서 기후위기, 전염병의 확산, 양극화의 심화, 고령화 등 사회 구조적 문제가 심화되고 있으며 새로운 시스템으로의 전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고 있음
      ○ 정책적으로는 기존의 양적인 생산중심 성장모형이 한계에 직면하며 혁신성장을 지속하기 위해 디지털전환이 강조되고 있음
      - 기업의 디지털전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 중소기업과 대기업과의 디지털 격차 확대가 예상됨
      ○ 전환에 대한 기업의 해석, 추진, 그 과정에서의 기업 변화 등 ‘어떻게’에 대한 수요자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함
      - ‘전환’과 ‘기업혁신’에 관한 기존 정책연구는 기술변화 트렌드 및 산업혁신, 기술공급 관점의 디지털전환 기술의 활용성 제고를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음
      ○ 기업의 환경 대응과 변화를 전환기 기업혁신활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인 전환적 혁신정책의 시각에서 확장해 볼 필요가 있음
      - 경제가치창출의 주체로 한정하던 기업을 사회가치창출의 틀에서 바라보는 논의가 확산되고 있음
      □ 연구의 목적
      ○ 디지털전환기에 기업이 어떻게 대응하고 변화하는지, 전환기 상황에서 정책은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 연구하고자 함
      - 양적 성장이 한계에 직면한 시대에 지속가능하기 위한 기업의 대응과 변화를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심층 분석하고 새로운 정책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함

      □ 연구의 범위
      ○ 기업혁신활동을 환경에 대한 반응과 적응의 진화적 관점에서 혁신의 ‘성공’이나 ‘성과’ 보다는 ‘과정’이나 ‘변화’ 중심으로 분석함
      ○ 기업의 가치지향성 기준에서 일반 경제가치지향 기업과 사회가치지향기업을 포함해 디지털전환기 중소기업 활동을 살펴보고자 함

      [그림 1] 디지털전환기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기업 변화

      주: 실선이 본 연구 대상
      자료: 연구진 작성
      □ 연구 추진체계 및 구성

      [그림 2] 연구 추진 체계

      자료: 연구진 작성


      2. 디지털전환기 혁신환경과 기업 역량
      □ 디지털전환과 기업 대응
      ○ 최근 포스트 코로나의 핵심 이슈는 ‘디지털 전환 가속화’임
      - 디지털전환은 기업의 생태계를 변화시키고 이로 인해 산업의 가치사슬 내에서 기업의 필수 역량의 변화 및 배분, 부가가치 창출 구조에 변화가 발생하고 있음
      ․특히 개별 기업 차원보다 산업 내 기업 간 연계 또는 산업 간 연계를 통한 산업의 구조적 변화가 진행되고 있음
      -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디지털 기술의 수요 증가와 맞물려 이전 보다 변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으며 기업 변화의 우선순위로 디지털전환이 급부상함
      ○ 기업 디지털전환은 ICT 기반 혁신의 진화적 관점에서 전산화(digitization), 디지털화(digitalization), 디지털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의 3단계로 구분됨
      - 대부분의 연구에서 전산화와 디지털화 단계가 디지털전환 단계에 선행되어야 할 단계로 보고 있음
      - 사례연구 및 실태조사에 따르면 기업의 디지털전환은 크게 내부 효율성 개선(또는 비용 절감)과 수익 창출(또는 기업 성장)이라는 두 개 목적으로 구분됨
      ○ 기존 조사에 따르면 국내 기업 중 디지털전환을 추진 중인 기업은 약 30%이나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기업은 10% 수준에 그쳤음
      - 디지털전환을 통한 내부 효율화 추진 기업이 약 60%, 수익 창출 추진 기업이 약 40%

      □ 국내 주요 정책 현황
      ○ 기업 디지털전환의 진화적 단계 개념에서 1980년대 정보화사업에서부터 2010년 이후 스마트공장 정책까지의 디지털전환 정책 흐름을 살펴봄
      - 대표적 중소기업 정보화사업은 중소기업 정보화혁신전문기업사업(TIMPs, ‘02~‘06), 중소기업 정보화기반구축사업((‘07~‘09), 경영정보시스템구축지원사업(‘10~‘13), 클라우드기반솔루션개발사업(‘13~현재),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02~‘18, ‘19년부터 스마트공장 사업으로 흡수) 등이 있음
      - 스마트화 사업은 2014년 제조업 3.0 전략 수립에서 시작되었으며 2022년까지 3만개 스마트공장 보급 및 확산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음
      ○ 지난 20년간 중소기업의 정보화수준은 증가하였고, 특히 정보화사업 지원기업의 정보화수준이 중소기업 평균을 웃돌아 긍정적 정책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스마트공장 성과분석 결과 공정개선 및 경영개선 측면에서 지원사업의 효과성이 확인되었음

      □ 변화하는 환경에서 기업혁신을 위한 역량
      ○ 동적역량이란 변화하는 환경에서 기업의 지속가능발전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개념으로 어떠한 목적 하에 조직의 자원 기반을 창출하거나 확장하거나 변형하는 능력, 즉 변화와 관련된 능력을 의미함
      - 동적역량은 외부 환경에 유연히 대처하고 변화할 수 있는 기업이 가지고 있는 능력으로 어떻게 조직이 변화를 식별하고 변화 필요성에 대응하는지에 관한 것임
      ○ 동적역량은 메타역량 개념으로 하위 역량으로 구분할 수 있음
      - 감지 능력은 시장 변화나 새로운 기술 궤적의 출현 등을 면밀히 관찰하고 조사하며 기업의 기회와 위협요인을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기업가적 통찰력과 비전이 필요함
      - 기회포착 능력은 감지된 기회를 신제품이나 서비스, 공정 개선 등 기업의 가치로 연결시키는 활동을 의미하며 자원 배분 및 투자 시기, 분야 및 분배 수준 등 의사결정을 포함함
      - 재구성 및 전환 능력은 기업의 새로운 성장 경로에 맞추어 기업의 자원과 자산을 재조합하고 재구성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플랫폼 기반 기업에게 중요한 능력으로 강조되고 있음
      3. 디지털전환기 경제가치지향 기업과 정책 수요
      □ 기업 디지털전환 분석 틀
      ○ 디지털전환기 환경 속에서 기업이 전환 방향을 설정하고 변화해가는 과정을 구성 요소와 그들 간의 관계로 이해함으로써 세부적 분석 주안점을 설정함
      - 동적역량 접근에 따라 감지-기회포착-재구성・전환의 과정으로 살펴봄

      [그림 3] 기업 디지털전환 대응・변화 과정

      주: ⇢는 기업 외부 환경, →는 기업 내부 흐름
      자료: Vial(2019, p.122)에서 수정・보완

      <표 1> 기업 디지털전환 연구 주안점

      범주
      주안점
      설명 또는 세부 주안점
      감지 차원
      위기/기회요인
       기업의 전략적 대응 필요성을 촉발한 산업환경변화(경쟁심화, 협력사 관계, 규제, 신기술/대체품, 비즈니스생태계 등), 고객 기호와 시장 변화, 그 외 거시환경(코로나 등), 사회환경 등에 대한 인식 및 기업 영향에 대한 해석
      기회포착 차원
      전략적 대응
       기업 대응 방향에 대한 의사결정 또는 전환 비전 및 계획의 수립
      디지털 기술・
      연구개발
       전환을 위한 디지털 기술의 도입
       제품・서비스・공정・비즈니스모델・마케팅 혁신을 위한 연구개발
      재구성・전환 차원
      구조적 변화
       리더십: 전환을 위해 필요한 리더의 새로운 역할 또는 리더십, 새로운 직책 및 권력 위임, 생태계 및 사회시스템에서의 리더십 확장
       조직구조: 신생 부서, 조직 통・폐합, 합병・제휴
       조직문화: 전환・협력에 대한 인식 변화 등
       직원 역할・기능: 핵심인력 변화 및 기대 역할 변화, 신규 인재 확보
      장애요소
       기업 핵심사업 부문과의 갈등, 운영방식의 관성
       변화에 대한 구성원 저항
      성과・영향
       효율성 및 생산성 개선, 매출 증대 등 기업 경제적 성과
       디지털역량 및 인재확보, 동적역량 강화 등 진화적 적합성 또는 지속가능성 제고

      자료: 연구진 작성
      □ 디지털전환 기업 사례
      ○ 현재 기업의 디지털전환은 정보화의 연장선 상에서 기업 자원 및 내부 프로세스의 디지털화와 디지털 환경에 맞는 제품, 서비스, 사업모델 개발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음
      ○ 디지털전환을 통한 내부 효율화와 신규가치창출 기업 사례를 수집하여 정리함
      - 내부 효율화의 경우 스마트공장 정책지원 사례를 분리하여 정책 개선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음

      <표 2> 디지털전환 유형별 사례기업 특성

      사례기업 유형 구분
      내부 효율화 기업
      (전산화 단계)
      스마트공장 추진기업
      (디지털화 단계)
      신규가치창출 기업
      (디지털전환 단계)
      (감지・기회포착)
      디지털
      전환 비전
      디지털전환 목적
      생산정보의 데이터화
      생산공정 자동화
      제품품질 향상
      신규사업 또는 비즈니스모델 연계
      디지털전환
      주요 내용
      MES 또는 ERP 도입
      생산공정 및 물류 자동화 도입
      신규 ITEM 또는 비즈니스모델 적용
      (재구성・전환)
      디지털
      전환 추진과 기업변화
      추진 방식
      기업내부의 경영진 또는 실무진의 필요
      경쟁사의 변화, 규제변화는 외부적 요인에 의해 추진
      디지털전환을 활용한 신규비즈니스 창출
      주도 주체
      실무진
      TF
      CEO 또는 경영진
      정부 지원
      가능(사례기업 50%받음)
      있음
      없음
      내부반발/저항
      다수 기업 초기반발
      초기 비용 발생
      없음
      성과

      정책수요
      추진 성과
      생산성 제고
      생산성 제고 및 품질향상
      투자 유치, 시장확대
      핵심 성공요인
      CEO 의지
      CEO 의지
      CEO 의지
      애로 사항
      다음 단계로 도약을 위한 자원부족
      전문인력 확보 및 교육
      전문인력 확보,
      데이터 활용기반 취약
      정책 수요
      중소기업 지원 확대
      전문인력 교육 프로그램 확대
      관련 규제 완화

      자료: 연구진 작성
      □ 기업 디지털전환 실태조사
      ○ 디지털전환 수요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혁신형 중소기업을 모집단으로 표본 조사를 실시함
      - 기업의 환경 변화 인식과 대응, 기업의 디지털전환 현황 및 계획, 디지털전환에 대한 전략적 접근, 디지털전환 추진 방식과 조직 영향, 디지털전환 추진 성과 및 애로사항 등으로 문항 구성
      ○ 실태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실태조사 기업의 환경변화에 대한 위기감은 크지 않아 제조업의 경우 약 70%가 주력 제품이나 서비스에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음
      - 실태조사 기업의 디지털전환 관심도에 비해 실제 전산화 이상 추진 기업의 비중은 낮음

      [그림 4] 디지털전환 단계별 기업 분포

      자료: 실태조사 결과

      - 국내 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환은 기업 대표가 주도하고 있으며 CEO의 통찰력과 추진력은 기업 디지털전환 성공에 중요함
      - 그러나 동시에 경영진의 예산 지원과 적극성 부족이 디지털전환 추진의 장애요인으로 조사됨

      <표 3> 디지털전환 단계 별 장애요인


      미 추진
      전산화
      디지털화
      디지털전환
      1순위
      경영진 지원 부족
      업계 정보 부족
      2순위
      전략수립역량부족
      업계 정보 부족
      경영진 지원 부족
      3순위
      업계 정보 부족
      디지털 인재 부족
      전략수립역량부족

      자료: 실태조사 결과

      ○ 실태조사 자료에 대한 통계분석을 통해 기업 디지털전환의 특성을 도출함
      - 업종 별로 디지털전환 추진에 차이가 있는데 제조업과 비제조업 간 디지털전환 추진 목적이 다르고 목적의 차이가 기업 디지털전환 단계에 영향을 미침
      - 기업의 동적역량과 ICT 역량이 높을수록 기업 디지털전환 단계가 높음
      - 아직까지 기업의 디지털전환 추진이 뚜렷한 기업 성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음
      4. 디지털전환기 사회가치지향 기업과 정책 수요
      □ 사회가치지향 기업 분석 틀
      ○ 기반 기술의 성격을 지닌 디지털 기술이 보편적으로 확대되면서 기업의 가치사슬 및 조직루틴과 전략・제품・서비스의 전반적인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사회가치지향 기업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음
      ○ 사회가치지향 기업의 혁신활동은 디지털전환의 맥락 속에서 이루어지는 바, 디지털전환이 사회가치지향 혁신활동에 제공하는 가능성과 과제를 살펴보고자 분석 틀을 구축함
      - 동적역량 관점에서 사회가치지향 기업이 거시환경 변화와 관련된 기회를 인지하는 감지 활동, 기회를 활용하기 위한 전략을 설정하는 기회포착 활동, 전략을 구현하는 재구성・전환 활동의 틀을 도입하여 분석함

      <표 4> 사회가치지향 기업의 혁신활동 분석 틀

      범주
      설명

      사회가치지향 기업의 혁신활동 활성화
      감지 차원
      사회적 목표와 임무, 기업이 활동하는 사회문제 영역을 설정을 통한 새로운 시장 진입 기회 확보
      기회포착 차원
      사회가치 지향 경쟁우위와 차별화 전략 설정
      재구성・전환 차원
      새로운 비즈니스모델 학습, 혁신 네트워크 형성, 정당성 확보
      디지털전환 대응
      디지털 기술과 관련된 감지・기회포착・재구성 활동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구현

      자료: 연구진 작성

      □ 사회가치지향 기업 사례
      ○ 사회가치지향 기업의 경우 대상 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사례연구로만 진행함
      - 사회가치창출을 목적으로 창업해서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사례, 사회혁신을 수행하는 기업의 사례를 분석함
      - 대표적 사회가치지향 기업으로 다양한 상을 수상하고 새로운 방식의 고용시스템과 시장을 개척한 기업들로 소셜벤처이자 사회적기업인 테스트웍스와 사회적기업인 복지유지온, 그리고 중견기업인 한국에자이를 연구함

      <표 5> 사회가치지향 기업의 특성과 혁신활동

      주요 활동
      테스트웍스
      복지유니온
      한국에자이
      (감지)
      사회가치지향 기업의 임무와 목표, 사회문제 영역
      ∙ 첨단산업 분야에서 취약계층의 일자리 제공 및 지속가능한 포용적 고용시스템 구축
      ∙ 첨단산업분야에서 포용적 고용시스템 구축을 통해 취약계층의 능력 발휘
      ∙ 초고령사회에 대비해 고령친화형 식품 제공과 영양관리를 위한 영양돌봄 시스템 구축
      ∙ 초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노인을 대상으로 한 고령친화형 식품 개발・보급과 영양돌봄 활동
      ∙ 환자・생활자가 걱정과 우려없이 삶을 유지할 수 있는 인간중심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 환자・생활자를 위한 예방・치료・돌봄이 통합된 서비스 구현
      (포착)
      사회가치지향 기업의 경쟁전략과 혁신활동
      ∙ 취약계층의 고용과 성장이 이루어지는 고용・인력관리 시스템 구축과 경쟁우위 확보
      ∙ 취약계층의 인력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의 구축
      ∙ 연하식 등 고령친화 식품 및 시장 개발
      ∙ 취약계층 노인, 재가 노인 등을 대상으로 한 급식 시스템 구축
      ∙ ICT를 활용한 고령자 영양돌봄 프로그램 개발・운영
      ∙ ICT를 활용한 예방・치료・돌봄 통합 서비스 제공을 통한 생활자의 불안 극복과 이를 위한 플랫폼 구축
      ∙ 솔루션을 지닌 스타트업, 사회혁신조직이 참여하는 개방형 혁신전략과 생태계 구축
      (재구성・전환)
      사회문제 해결 관련역량 확보
      ∙ 문제 인지 및 학습
      - 창업자가 현장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업무를 수행하면서 취약계층의 능력 제고를 통한 고용・성장 기회 확보의 가능성
      ∙ 네트워크 형성
      - 공공기관(공사)과의 연계를 통한 AI데이터 시장 확보
      - 관련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한 인공지능기업 생태계 형성
      ∙ 정당성 구축
      - 일자리 창출을 위한 디지털 뉴딜 기획과정에의 적극적 참여
      ∙ 문제 인지 및 학습
      - 창업자가 복지관 및 요양원에 근무하면서 초고령사회가 도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령자의 상황에 맞는 고령친화 식품 및 영양관리 활동의 부재 인식
      ∙ 네트워크 형성
      - 사회적경제 조직과 네트워크 형성 및 전문식품 유통 플랫폼 구축
      - 공공급식 사회서비스 구현을 위한 지자체와의 협업
      ∙ 정당성 구축
      - 서울・부산 영양기본조례 제정 활동: 신체적, 정신적 차별 없이 모든 시민의 영양 기본권 보장 및 관리 감독의 서울시 의무 제정
      ∙ 문제 인지 및 학습
      - hhc와 같은 환자 중심의 헬스케어 서비스를 지향하는 기업 철학과 서비스 제공 경험
      - 혁신프로젝트와 개방형 혁신을 통한 솔루션 개발
      ∙ 네트워크 형성
      - ICT기반 솔루션 지닌 스타트업과의 협업
      - 시민사회조직, 사회적경제, 사회혁신조직과의 협업
      ∙ 정당성 확보
      - 돌봄전환 리빙랩네트워크와 같은 시민사회 중간조직과의 협업을 통한 사회적 정당성 확보
      디지털전환 대응
      ∙ 디지털전환과정에서 새롭게 형성되는 시장에의 진입과 포용적 고용시스템 구축
      ∙ AI를 활용한 사회가치 창출모색
      ∙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식품생산・유통을 넘어 영양돌봄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 구축
      ∙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생활자가 우려없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예방・치료・돌봄의 통합 플랫폼 과 생태계 구축

      자료: 연구진 작성
      5. 연구 종합 및 정책 과제
      □ 연구 의의 및 주요 발견
      ○ 본 연구는 디지털전환기 혁신환경 속에서 기업 지속가능성을 위한 방향을 모색함
      - 디지털 격차가 기업 생산성 격차로 이어지는 상황에서 코로나19는 경제사회와 산업의 디지털전환을 가속화시키고 있음
      - 또한 코로나19 이후 기업의 사회 책임성에 대한 요구가 더욱 커지고 있음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환 대응과 이에 따른 변화 및 디지털 기술 기반사회가치지향기업의 활동을 분석하여 디지털전환기 기업 변화의 방향성을 탐구함
      ○ 본 연구를 통한 주요 발견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음
      - 기업 디지털전환을 이해하는데 효율화/비용감소 측면의 전산화-디지털화 단계와 신규가치창출/성장 측면의 디지털전환 단계로의 구분이 용이함
      - 상당수의 기업이 디지털전환을 미추진하거나 전산화 단계의 접근을 수행하고 있으며 디지털전환 추진이 뚜렷한 기업 성과 차별화로 나타나지 않는 점으로부터 현재 기업 디지털전환의 낮은 경제 성과를 짐작할 수 있음
      - 디지털전환 접근의 업종별 차이를 확인하여 특히, 환경 변화 민감성, 동적역량, 디지털전환 추진 목적에서 제조업의 상대적으로 저조한 디지털전환 관심도 및 단계를 설명함
      - 사회가치지향기업은 동적역량을 발휘해 성장하고 있는 시장에 진입하고 디지털 기술에 기반 한 비즈니스모델 개발을 통해 경제가치와 경쟁우위를 확보함
      - 기업 디지털전환 추진과 사회가치지향 활동에 있어 동적역량이 중요함
      - (시사점 1) 기업 디지털전환은 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 속에 기업의 선택적 접근이며 따라서 기업이 디지털전환을 통해 그리는 비전, 목적에 따라 디지털전환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가치가 달라질 수 있음
      - (시자점 2) 디지털전환의 경제적 가치 제고를 위해 업종 별 디지털전환 비전 전달 및 유인책 마련, 스마트공장 정책 중심에서 나아가 사업 전환 관점에서의 디지털전환 정책 마련이 필요하며 현재 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환 수용 수준을 반영한 단계별 접근이 선행될 필요가 있음
      - (시사점 3) 디지털전환과 사회가치지향기업의 결합 및 이를 지원・확대하는 정책 환경 마련을 통해 디지털전환의 사회적 편익을 제고할 수 있음
      - (시사점 4) 전환기 중소기업 정책 방향은 기술 보급에서 동적역량 강화 정책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음


      [정책과제 1] 디지털전환의 경제적 성과 제고를 위한 정책 과제
      1-1. 디지털전환 단계를 고려한 수요자관점의 정책 개발
      □ 디지털전환 단계에 맞는 기업전략수립 지원
      ○ 기업의 디지털전환 수준이나 준비도 진단을 통해 기업 디지털전환 단계별 가이드라인 등 지침이나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기업 성장경로에 맞는 기업전략수립을 지원

      □ 디지털전환 단계별 실태조사를 통한 중소기업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의 기획・보급
      ○ 디지털전환 단계별 기술 및 인력수요조사를 바탕으로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장단기 기술로드맵 및 인력수급계획에 반영

      □ 디지털전환 공급기업-수요기업 간 협업체계 구축・지원
      ○ 디지털전환 시스템・솔루션의 운영 및 유지보수, 전담인력에 대한 직무향상 및 기술교육 측면에서 협업체계 구축 지원
      1-2. 제조기업 디지털전환 유인 방안 마련
      □ 수요기업 연계형 디지털전환 확산 프로그램 추진
      ○ 공공기관 등 수요기업의 디지털화 자료 요구와 디지털전환 지원을 포함하는 연계형 프로그램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초단계 전환 유도

      □ 사회적 이슈에 대응한 선제적 스마트공장 지원
      ○ 중대재해 처벌 이슈나 ESG, 지역 소멸의 이슈, 주52시간제 도입에 따른 기업경영난 등 사회적 이슈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스마트공장을 제안함으로써 제조기업의 디지털전환 관심도와 정책적 효과성 제고

      1-3. 디지털전환기 기업혁신활동 변화를 반영한 중소기업혁신정책 개선
      □ 제조업 서비스화 관련 연구개발 지원
      ○ 디지털전환 신규가치창출이 제조업 서비스화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관련 연구개발 정책을 통해 지원 필요

      □ 비즈니스모델 기반 ‘디지털전환-투자자금’ 연계 지원
      ○ 비즈니스모델 관련 디지털전환의 경우 자금 확보 측면에서 단계별 지원 방식으로 최종적으로는 투자처 연결 혹은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사업전환 자금 지원 사업 등으로 연결하여 지원

      □ 오픈소스 협력방식 기술혁신 지원
      ○ SW 기업 혹은 서비스기업과 수요기업, 소비자가 공동으로 참여하여 협업을 통해 기술 및 서비스 개발을 추진하는 오픈소스 협력 방식의 기술혁신 지원
      □ 사후 규제로의 제도 전환
      ○ 새로운 비즈니스 및 산업이 등장하면 일단 하용하고 문제 발생 시 사후적으로 규제하는 사후 규제 방식으로의 전환을 검토


      [정책과제 2] 디지털전환의 사회적 편익 극대화를 위한 정책 과제
      2-1. 디지털 사회혁신 연구개발 프로그램 확대
      ○ 산업혁신 활성화에 초점이 맞춰진 디지털 혁신 지원 프로그램을 보완해 디지털 사회혁신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관련 기업 활동을 지원

      2-2. 신산업의 사회가치 지향성 강화
      ○ 신사업 초기에 정책 개입을 통해 산업발전이 지속가능한 전환에 기여하고 사회가치지향으로 진화하는 계기 마련

      2-3. 사회가치지향 기업 혁신 생태계 활성화
      ○ 임무지향적 혁신정책 프로그램을 통한 사회가치지향 기업 혁신 생태계 구축 지원


      [정책과제 3] 디지털전환기 중소기업 정책 방향: 기술 보급에서 동적역량 강화로
      ○ 디지털전환은 디지털화된 세상을 통해 물리적 제약을 극복하고 높아진 연결성으로 기술, 경제, 사회 전반의 가속적 변화를 예견하고 있어 장기적으로 디지털전환 정책의 방향이 동적역량 강화 정책으로 변화해야 함
      ○ 기업의 감지활동을 지원하고 장려하며 디지털전환 등 변화하는 혁신환경에 대한 전략적 접근을 강화하고 변화와 혁신을 꾀할 수 있도록 정책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음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배경과 목적 1
      • 1. 연구배경과 필요성 1
      • 2. 연구목적과 범위 5
      • 제2절 연구 추진 체계 및 구성 7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배경과 목적 1
      • 1. 연구배경과 필요성 1
      • 2. 연구목적과 범위 5
      • 제2절 연구 추진 체계 및 구성 7
      • 제2장 디지털전환기 혁신환경과 기업 역량 9
      • 제1절 디지털전환기 혁신환경 변화와 기업 대응 9
      • 1. 환경 변화와 디지털전환 9
      • 2. 기업 디지털전환의 개념 11
      • 3. 국내 기업의 디지털전환 대응 15
      • 제2절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정책 현황 18
      • 1. 정보화사업 변천사 18
      • 2. 스마트화 사업 개요 및 최근 방향 21
      • 3.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정책의 성과 25
      • 제3절 변화하는 환경에서 기업혁신을 위한 역량 28
      • 1. 동적역량의 개념 및 구조 28
      • 2. 유사 개념 31
      • 3. 디지털전환기 기업 동적역량 관련 선행연구 35
      • 제3장 디지털전환기 경제가치지향 기업과 정책 수요 41
      • 제1절 기업 디지털전환 분석 틀 41
      • 제2절 디지털전환 기업 사례 45
      • 1. 내부 효율화 사례 45
      • 2. 정부지원 스마트공장 사례 50
      • 3. 신규가치창출 사례 55
      • 제3절 기업 디지털전환 실태조사 60
      • 1. 조사 개요 60
      • 2. 주요 실태조사 결과 63
      • 3. 기업 디지털전환의 특성 87
      • 제4절 소결 94
      • 제4장 디지털전환기 사회가치지향 기업과 정책 수요 99
      • 제1절 사회가치지향 기업 분석 틀 99
      • 1. 사회가치지향 기업의 특성 100
      • 2. 사회가치지향 혁신활동과 디지털전환 106
      • 3. 분석 틀 107
      • 제2절 사회가치지향 기업 사례 110
      • 1. 테스트웍스 사례 110
      • 2. 복지유니온 사례 116
      • 3. 한국에자이 사례 122
      • 제3절 소결 130
      • 제5장 연구 종합 및 정책 과제 134
      • 제1절 연구결과 종합 134
      • 제2절 정책 과제 138
      • 1. 디지털전환의 경제적 성과 제고를 위한 정책 과제 138
      • 2. 디지털전환의 사회적 편익 극대화를 위한 정책 과제 145
      • 3. 디지털전환기 중소기업 정책 방향: 기술 보급에서 동적역량 강화로 148
      • 참고문헌 151
      • 부 록 161
      • 부록 1. 디지털전환 기업 사례 161
      • 부록 2. 기업의 디지털전환 실태조사 219
      • Summary 259
      • Contents 2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