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順天大學 캠퍼스의 造景計劃에 關한 硏究  :  行態的 接近方法을 中心으로 On the Basis of Behavioral Approach = A Study on the Landscape Planning of Suncheon National University Camp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887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香林 campus의 敷地는 순天市의 都心地로 부터 約 2㎞ 떨어진 鸞峰山의 東편 기슭에 位置하며 都市計劃上으로는 住居地와 公園地域으로 둘러싸인 約 294.000㎡ 程度되는 小面積으로 敷地의 接近性은 容易하나 장차의 學校成長에 따른 敷地擴張의 柔軟性이 결여되어 있다.
      2. 土壤은 微砂質 埴壤土로서 排水가 比較的 不량 한편이어서 樹種選定이나 排水施設이 잘 되어야 하겠다.
      3. 順天地方의 기候는 海岸性 氣候인 溫暖帶 多濕型에 속하며 冬季氣溫差가 적어 暖帶性 識物이 自生하고 있다. 캠퍼스는 冬,夏季의 季節風이 많이 닿는 東쪽 四面에 位置하고 있으므로 防풍施設이 必要한 地域이다.
      4. 敷地의 外的景觀 特히 鸞峰山의 Skyline과 香林寺 周邊의 自然景觀 그리고 11호관 쪽에서 내려와 보이는 市街地쪽의 panoramic한 都市的景觀은 竹島峰의 自然的景觀과 調和를 이루워 아름답지만 敷地의 內的景관 特히 旣存 campus와 擴張 campus間의 連繫的 不調和 그리고 無理한 整地作業으로 나타난 높이 3∼5m씩이나 되는 切開地들 또한 이렇다할 地形의 變化없이 一律的으로 이루워진 傾斜面등은 campus調景計劃에 커다란 制限的要素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5. 本 大學 旣존 campus內에 植裁되어 있는 樹種은 針葉樹가 10科48種, 常綠활葉樹가 20科 32種, 落엽闊葉樹가 36科 87種으로 모두 66科 167種이며 숫자적으로는 闊葉樹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實際的으로는 常綠樹가 主種을 이루고 있어 季節感이 적고 단조로운 景觀을 이루고 있다.
      6. 香林 campus의 水景施說로서는 露地花?圃 윗쪽에 位置한 約 2640㎡ 規模의 養魚場과 本館 後面에 位置한 約15㎡ 規模의 自然型 연못 1個가 있을 뿐인데 그나마도 養魚場은 綜合運動場의 候補地로 되어 있어 곧 埋立될 것으로 본다. 이들 水景施設의 水源은 石峴貯水地인데 이 물을 잘 利用한다면 더 좋은 水景施設도 可能하리라 본다.
      7. 休息空間의 季節別 利用行態를 보면 여름철에는 나무그늘이나 녹량에서, 그리고 봄과 가을에느 잔디밭에서 2∼3명씩 짝을지어 보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8. 步行者의 利用行態는 보다 빨리 그리고 보다 가깝게 가기 위해서 지름길을 利用하는 傾向을 보였으며 북정리나 石峴마을 方向의 通學生도 상당수에 達하여 後門의 必要性을 느끼게 하였다.
      9. 잔디밭에 나 있는 길이나 休息空間에 버려진 꽁초 등의 痕迹은 없어야 할 곳에 施設物이 있거나 있어야 할 곳에 施設物이 없을때 어떤行爲의 初期痕迹이 發生하며 이 痕迹은 行爲의 累積效果에 依해서 더욱더 크게 나타남을 볼 수가 있었다.
      10. 設問調査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鳥瞰圖上에 나타난 順天大學의 發展計劃은 「滿足하다고는 볼수 없으나 現在여건을 고려한다면 그런대로 괜찮다 」가 61%로 肯定的 反應을 보이면서도 建物의 配置面에 있어서는 「機能과 美的인 面에서 아쉬움이 많다 」가 55.1%로 무엇인가 아쉬움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2) 順天大學의 旣存 campus의 自然景觀은 「아름답지 못하다」가 34.5% 「그저그렇다 」가 41.8%를 나타내어 不定的인 反應을 보이고 있으며 그 理由는 「休息空間이 없고 협소하기 때문에 」가 70%를 나타내어 휴息空間의 不足이 美에 대한 視點마저도 바꾸어 놓고 있는 것같다.
      3) 新築敷地에 造景을 할때는 觀賞을 目的으로 한 折哀式 庭園形態보다는 낙우송주변이나 교문통 주변의 숲과 같은 自然的인 景觀으로 對話할 수 있는休息空間을 希望하고 있다.
      4) 本 大學의 심볼이 될 中央廣場에는 「彫刻像의 噴水와 연못이 주가된 廣場 」이 50.2%로 應答者의 半數以上이 조각상의 噴水가 있는 廣場을 希望하고 있다.
      5) 香林 campus에서 가장 不足하고 그래서 不便을 느끼는 것은 「조용하고 아늑한 對話의 場所 」가 29.1%, 「넓고 포근한 綠陰地域」이 28.2%로 休息空間과 관계 있는 「對話의 場所 」와 「綠陰地域 」이 57.3%로 過半數 이상을 차지하고 상징탑과 조각등의 人工構造物이 22,7%를 나타내고 있다.
      6) 現在 學內에 設置되어 있는 主道路의 幅은 「좁다 」가 40.7%, 「다니기에 充分하다 」가 41.2%를 나타내고 있는데「좁다 」의 反應을 나타낸쪽은 農學系列과 男學生들 쪽이고 「다니기에 充分하다 」는 師範系列과 女學生 쪽에서 많이 나타났다. 道路를 開設할 때는 「目的地로 移動코저 使用하는 道路는 最短距離를 거닐기 위해 사용하는 道路는 자연스럽게 만들어야 한다 」가 51%, 「地형을 考廬해서 自然스럽게 」가 37.9%를 나타내어 道路의 迅速性과 快適性을 希望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7) 配置는 鄕土樹를 사용해서 campus에 特徵을 부여하고 綠陰樹를 심어서 休息空間을 造成하기를 바라고 있다.
      8) 香林 campus의 造景樹로서는 「季節美를 느낄수 있는 나무 」가 67%, 「다듬지 않아도 모양이 나는 나무 」가 23.3%로 自然形態의 樹形을 가진 나무로써 季節感을 느낄수 있는 樹種을 願하고 있다.
      9) 順天大學의 象徵樹로서는 落羽松이 47.5%, 가이스카향나무가 10.1%, 섬잣나무 9.5%, 느티나무 8.4%, 은행나무, 히말라야시다가 各各 6.1%를 나타내고 있다. 象徵花로서는 목련이 21.6%, 동백 19.3%, 개나리 13.1%, 철쭉꽃 11.8%, 벚꽃 10.8%順으로 나타났다.
      10) 休息空間에대한 학生들의 反應은 行態視察結果와 같은 樣狀을 보이고 있으며 여름철에는 「녹랑이나 나무그늘에서 」가 62.8%, 봄,가을에는 「잔디밭에서 」가 40.1%를 나타내고 있다.
      11) 休息空間으로서는 「벤취가 있는 그늘 」이 54.9%, 「잔디밭 」이 26.7%를 나타내며 休息空間을 利用할 때 「2∼3名의 친구와 함께 」가 77.8%를 나타내 보이므로서 休息空間에 單位는 2∼3名을 基準으로 하는 것이 좋을것 같다.
      12) 잔디밭의 길이 생기는 것은 目的地로 「빨리 갈 수가 있으므로」가 50.3%, 「어떤 구석에 얽매이고 싶지 않아서」가 18.4%, 「길이 나 있으므로」가 10.9%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는 한 地點에서 다른 地點으로 移動하는 길목에는 어떠한 造景的 施設物도 配置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증명해 주고 있다.
      13) campus의 庭園管理는 「學校當局에서 管理人을 두고 管理도록 한다」가 44.6%, 「관련 學科의 實習을 通해서」가 30%, 「學生들이 모두 함께 동참해서」가 19.1%를 나타내고 있다. 學校當局에서 管理人을 두고서 해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 볼 수 있으나 學生모두가 동참해서 한다고 주장하는 학생도 상당수가 있어 고무적인 현상이라 볼 수 있다.
      14) 香林 campus 內에서 가장 不足한 施設이 「休息施設」로 37.5%, 다음이「象徵的인 彫刻物」이 30.3%, 연못과 噴水의 順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本 大學에서 不足을 느끼는 順序대로 나타난 결과라고 생각한다.
      15) 街路燈은 機能面도 重要하지만 그 못지않게 視覺的인 側面도 重要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16) 揭示板의 施設場所는 「校門通 周邊」이 50.8%, 「共用建物 周邊」이 27.4% 「各 講義棟 入口」가 20.5%로 나타나 揭示板의 設置場所는 學生通行量이 많은 곳에 配置할 것을 希望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揭示板의 利用狀態는 「無秩序하게 利用되고 있다」가 39.7%, 「글씨나 內容이 좀 더 다듬어 졌으면 한다」가 26.7%, 「品位가 없다」가 16.4%를 나타 냄으로서 情報傳達의 媒體인 揭示板은 정성이 깃든 公告物이 게시 되어야 함을 立證하고 있다.

      計劃의 基本方向

      香林 캠퍼스 敷地의 物理ㆍ生態的, 社會ㆍ行態的 環境을 調査, 分析, 綜合한 結果 다음과 같은 計劃의 基本方向을 提示코져 한다.
      1. 土地利用 計劃은 敷地가 지닌 替在能力의 範圍內에서 順理的이고 順應的이며 效率性 있게 計劃 되어야 한다.
      2. 캠퍼스에 造景計劃은 利用者인 學生의 立場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그들의 快適한 生活空間이 되도록 計劃되어야 한다.
      3. 캠퍼스의 空間構成에서 學生들의 休息과 對話와 思索의 場인 休息空間 卽 잔디밭, 숲, pergola 등의 面積比重을 높일 것이며 이러한 空間들을 共用建物이나 講義棟 周邊에 可及的 많이 設置하여야 한다.
      4. 道路는 步行者 中心이 되어야 하며 通行量이 많은 두 地域間의 動線은 最短距離의 直線 코-스를 擇하고 부득이 迂廻할 경우에는 自然的인 地形에 調和되도록 計劃되어야 하며 지루함을 느끼지 않도록 視覺的要素로 변화를 주어야 한다.
      5. 順天大學의 symbol이 될 中央廣場은 彫刻像이 있는 裝飾 및 集會廣場이 되도록 만드는 것이 좋겠다.
      6. 造景樹의 選定은 鄕土樹로서 景觀的 特徵을 부여할 수 있고 綠陰樹로서 季節感을 느낄 수 있고 다듬지 않아도 모양이 있는 樹種을 選定하는 것이 좋겠다.
      7. 造景樹의 配植은 建物周邊에 잔디위주의 整形式 植裁를 建物과 建物사이의 空間에는 常綠樹와 落葉樹의 混淆植栽를, 그리고 敷地의 주변에는 常綠性 위주의 自然式 植栽方法을 導入하는 것이 좋겠다.
      8. 캠퍼스內의 施設物은 設置目的에 부합되도록 造形되어야하고 設置場所도 있어야 할 곳에 있도록 考慮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1. 香林 campus의 敷地는 순天市의 都心地로 부터 約 2㎞ 떨어진 鸞峰山의 東편 기슭에 位置하며 都市計劃上으로는 住居地와 公園地域으로 둘러싸인 約 294.000㎡ 程度되는 小面積으로 敷地의 ...

      1. 香林 campus의 敷地는 순天市의 都心地로 부터 約 2㎞ 떨어진 鸞峰山의 東편 기슭에 位置하며 都市計劃上으로는 住居地와 公園地域으로 둘러싸인 約 294.000㎡ 程度되는 小面積으로 敷地의 接近性은 容易하나 장차의 學校成長에 따른 敷地擴張의 柔軟性이 결여되어 있다.
      2. 土壤은 微砂質 埴壤土로서 排水가 比較的 不량 한편이어서 樹種選定이나 排水施設이 잘 되어야 하겠다.
      3. 順天地方의 기候는 海岸性 氣候인 溫暖帶 多濕型에 속하며 冬季氣溫差가 적어 暖帶性 識物이 自生하고 있다. 캠퍼스는 冬,夏季의 季節風이 많이 닿는 東쪽 四面에 位置하고 있으므로 防풍施設이 必要한 地域이다.
      4. 敷地의 外的景觀 特히 鸞峰山의 Skyline과 香林寺 周邊의 自然景觀 그리고 11호관 쪽에서 내려와 보이는 市街地쪽의 panoramic한 都市的景觀은 竹島峰의 自然的景觀과 調和를 이루워 아름답지만 敷地의 內的景관 特히 旣存 campus와 擴張 campus間의 連繫的 不調和 그리고 無理한 整地作業으로 나타난 높이 3∼5m씩이나 되는 切開地들 또한 이렇다할 地形의 變化없이 一律的으로 이루워진 傾斜面등은 campus調景計劃에 커다란 制限的要素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5. 本 大學 旣존 campus內에 植裁되어 있는 樹種은 針葉樹가 10科48種, 常綠활葉樹가 20科 32種, 落엽闊葉樹가 36科 87種으로 모두 66科 167種이며 숫자적으로는 闊葉樹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實際的으로는 常綠樹가 主種을 이루고 있어 季節感이 적고 단조로운 景觀을 이루고 있다.
      6. 香林 campus의 水景施說로서는 露地花?圃 윗쪽에 位置한 約 2640㎡ 規模의 養魚場과 本館 後面에 位置한 約15㎡ 規模의 自然型 연못 1個가 있을 뿐인데 그나마도 養魚場은 綜合運動場의 候補地로 되어 있어 곧 埋立될 것으로 본다. 이들 水景施設의 水源은 石峴貯水地인데 이 물을 잘 利用한다면 더 좋은 水景施設도 可能하리라 본다.
      7. 休息空間의 季節別 利用行態를 보면 여름철에는 나무그늘이나 녹량에서, 그리고 봄과 가을에느 잔디밭에서 2∼3명씩 짝을지어 보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8. 步行者의 利用行態는 보다 빨리 그리고 보다 가깝게 가기 위해서 지름길을 利用하는 傾向을 보였으며 북정리나 石峴마을 方向의 通學生도 상당수에 達하여 後門의 必要性을 느끼게 하였다.
      9. 잔디밭에 나 있는 길이나 休息空間에 버려진 꽁초 등의 痕迹은 없어야 할 곳에 施設物이 있거나 있어야 할 곳에 施設物이 없을때 어떤行爲의 初期痕迹이 發生하며 이 痕迹은 行爲의 累積效果에 依해서 더욱더 크게 나타남을 볼 수가 있었다.
      10. 設問調査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鳥瞰圖上에 나타난 順天大學의 發展計劃은 「滿足하다고는 볼수 없으나 現在여건을 고려한다면 그런대로 괜찮다 」가 61%로 肯定的 反應을 보이면서도 建物의 配置面에 있어서는 「機能과 美的인 面에서 아쉬움이 많다 」가 55.1%로 무엇인가 아쉬움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2) 順天大學의 旣存 campus의 自然景觀은 「아름답지 못하다」가 34.5% 「그저그렇다 」가 41.8%를 나타내어 不定的인 反應을 보이고 있으며 그 理由는 「休息空間이 없고 협소하기 때문에 」가 70%를 나타내어 휴息空間의 不足이 美에 대한 視點마저도 바꾸어 놓고 있는 것같다.
      3) 新築敷地에 造景을 할때는 觀賞을 目的으로 한 折哀式 庭園形態보다는 낙우송주변이나 교문통 주변의 숲과 같은 自然的인 景觀으로 對話할 수 있는休息空間을 希望하고 있다.
      4) 本 大學의 심볼이 될 中央廣場에는 「彫刻像의 噴水와 연못이 주가된 廣場 」이 50.2%로 應答者의 半數以上이 조각상의 噴水가 있는 廣場을 希望하고 있다.
      5) 香林 campus에서 가장 不足하고 그래서 不便을 느끼는 것은 「조용하고 아늑한 對話의 場所 」가 29.1%, 「넓고 포근한 綠陰地域」이 28.2%로 休息空間과 관계 있는 「對話의 場所 」와 「綠陰地域 」이 57.3%로 過半數 이상을 차지하고 상징탑과 조각등의 人工構造物이 22,7%를 나타내고 있다.
      6) 現在 學內에 設置되어 있는 主道路의 幅은 「좁다 」가 40.7%, 「다니기에 充分하다 」가 41.2%를 나타내고 있는데「좁다 」의 反應을 나타낸쪽은 農學系列과 男學生들 쪽이고 「다니기에 充分하다 」는 師範系列과 女學生 쪽에서 많이 나타났다. 道路를 開設할 때는 「目的地로 移動코저 使用하는 道路는 最短距離를 거닐기 위해 사용하는 道路는 자연스럽게 만들어야 한다 」가 51%, 「地형을 考廬해서 自然스럽게 」가 37.9%를 나타내어 道路의 迅速性과 快適性을 希望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7) 配置는 鄕土樹를 사용해서 campus에 特徵을 부여하고 綠陰樹를 심어서 休息空間을 造成하기를 바라고 있다.
      8) 香林 campus의 造景樹로서는 「季節美를 느낄수 있는 나무 」가 67%, 「다듬지 않아도 모양이 나는 나무 」가 23.3%로 自然形態의 樹形을 가진 나무로써 季節感을 느낄수 있는 樹種을 願하고 있다.
      9) 順天大學의 象徵樹로서는 落羽松이 47.5%, 가이스카향나무가 10.1%, 섬잣나무 9.5%, 느티나무 8.4%, 은행나무, 히말라야시다가 各各 6.1%를 나타내고 있다. 象徵花로서는 목련이 21.6%, 동백 19.3%, 개나리 13.1%, 철쭉꽃 11.8%, 벚꽃 10.8%順으로 나타났다.
      10) 休息空間에대한 학生들의 反應은 行態視察結果와 같은 樣狀을 보이고 있으며 여름철에는 「녹랑이나 나무그늘에서 」가 62.8%, 봄,가을에는 「잔디밭에서 」가 40.1%를 나타내고 있다.
      11) 休息空間으로서는 「벤취가 있는 그늘 」이 54.9%, 「잔디밭 」이 26.7%를 나타내며 休息空間을 利用할 때 「2∼3名의 친구와 함께 」가 77.8%를 나타내 보이므로서 休息空間에 單位는 2∼3名을 基準으로 하는 것이 좋을것 같다.
      12) 잔디밭의 길이 생기는 것은 目的地로 「빨리 갈 수가 있으므로」가 50.3%, 「어떤 구석에 얽매이고 싶지 않아서」가 18.4%, 「길이 나 있으므로」가 10.9%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는 한 地點에서 다른 地點으로 移動하는 길목에는 어떠한 造景的 施設物도 配置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증명해 주고 있다.
      13) campus의 庭園管理는 「學校當局에서 管理人을 두고 管理도록 한다」가 44.6%, 「관련 學科의 實習을 通해서」가 30%, 「學生들이 모두 함께 동참해서」가 19.1%를 나타내고 있다. 學校當局에서 管理人을 두고서 해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 볼 수 있으나 學生모두가 동참해서 한다고 주장하는 학생도 상당수가 있어 고무적인 현상이라 볼 수 있다.
      14) 香林 campus 內에서 가장 不足한 施設이 「休息施設」로 37.5%, 다음이「象徵的인 彫刻物」이 30.3%, 연못과 噴水의 順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本 大學에서 不足을 느끼는 順序대로 나타난 결과라고 생각한다.
      15) 街路燈은 機能面도 重要하지만 그 못지않게 視覺的인 側面도 重要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16) 揭示板의 施設場所는 「校門通 周邊」이 50.8%, 「共用建物 周邊」이 27.4% 「各 講義棟 入口」가 20.5%로 나타나 揭示板의 設置場所는 學生通行量이 많은 곳에 配置할 것을 希望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揭示板의 利用狀態는 「無秩序하게 利用되고 있다」가 39.7%, 「글씨나 內容이 좀 더 다듬어 졌으면 한다」가 26.7%, 「品位가 없다」가 16.4%를 나타 냄으로서 情報傳達의 媒體인 揭示板은 정성이 깃든 公告物이 게시 되어야 함을 立證하고 있다.

      計劃의 基本方向

      香林 캠퍼스 敷地의 物理ㆍ生態的, 社會ㆍ行態的 環境을 調査, 分析, 綜合한 結果 다음과 같은 計劃의 基本方向을 提示코져 한다.
      1. 土地利用 計劃은 敷地가 지닌 替在能力의 範圍內에서 順理的이고 順應的이며 效率性 있게 計劃 되어야 한다.
      2. 캠퍼스에 造景計劃은 利用者인 學生의 立場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그들의 快適한 生活空間이 되도록 計劃되어야 한다.
      3. 캠퍼스의 空間構成에서 學生들의 休息과 對話와 思索의 場인 休息空間 卽 잔디밭, 숲, pergola 등의 面積比重을 높일 것이며 이러한 空間들을 共用建物이나 講義棟 周邊에 可及的 많이 設置하여야 한다.
      4. 道路는 步行者 中心이 되어야 하며 通行量이 많은 두 地域間의 動線은 最短距離의 直線 코-스를 擇하고 부득이 迂廻할 경우에는 自然的인 地形에 調和되도록 計劃되어야 하며 지루함을 느끼지 않도록 視覺的要素로 변화를 주어야 한다.
      5. 順天大學의 symbol이 될 中央廣場은 彫刻像이 있는 裝飾 및 集會廣場이 되도록 만드는 것이 좋겠다.
      6. 造景樹의 選定은 鄕土樹로서 景觀的 特徵을 부여할 수 있고 綠陰樹로서 季節感을 느낄 수 있고 다듬지 않아도 모양이 있는 樹種을 選定하는 것이 좋겠다.
      7. 造景樹의 配植은 建物周邊에 잔디위주의 整形式 植裁를 建物과 建物사이의 空間에는 常綠樹와 落葉樹의 混淆植栽를, 그리고 敷地의 주변에는 常綠性 위주의 自然式 植栽方法을 導入하는 것이 좋겠다.
      8. 캠퍼스內의 施設物은 設置目的에 부합되도록 造形되어야하고 設置場所도 있어야 할 곳에 있도록 考慮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hysical, edological and behavioral environment of Hyanglim campus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for the basic direction of landscape planning.
      Land-use plan should be designed reasonably, adaptably and efficiently within the range of potential capacity of the site.
      Landscape planning of campus should be designed from a standpoint of users, that is students, and should be pleasant living spaces for users.
      It was suggested that relative importance of resting places such as lawn, woods and pergola be enhanced and such places be largely established around common buildings and lecture buildings.
      Roads should be constructed for the convenience of pedestrians. Straight cources might be desirable to be selected for acting line between two districts of heavy passage. In case of roundabout cources, roads should be designed to harmony with natural topography as well as to be variant with eyesight-elements in order not to be tedious.
      As a meeting place, cetral plaza as a symbol of Suncheon National University was recommended a plaza having some pieces of sculpture.
      It was desirable that climatic species be selected as ornamental trees, which have scenic characteristics, good shape without trimming and seasonability as shade trees.
      Orthopedic planting of lawn around buildings, mixed planting of deciduous and evergreen trees between buildings and natural planting of evergreen trees around sites were recommended for planting of ornamental trees.
      Facilities in campus should be shapedin accordance with institutional objects and places for facilities should be considered to be in proper distribution.

      번역하기

      The physical, edological and behavioral environment of Hyanglim campus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for the basic direction of landscape planning. Land-use plan should be designed reasonably, adaptably and efficiently within the range of potential ...

      The physical, edological and behavioral environment of Hyanglim campus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for the basic direction of landscape planning.
      Land-use plan should be designed reasonably, adaptably and efficiently within the range of potential capacity of the site.
      Landscape planning of campus should be designed from a standpoint of users, that is students, and should be pleasant living spaces for users.
      It was suggested that relative importance of resting places such as lawn, woods and pergola be enhanced and such places be largely established around common buildings and lecture buildings.
      Roads should be constructed for the convenience of pedestrians. Straight cources might be desirable to be selected for acting line between two districts of heavy passage. In case of roundabout cources, roads should be designed to harmony with natural topography as well as to be variant with eyesight-elements in order not to be tedious.
      As a meeting place, cetral plaza as a symbol of Suncheon National University was recommended a plaza having some pieces of sculpture.
      It was desirable that climatic species be selected as ornamental trees, which have scenic characteristics, good shape without trimming and seasonability as shade trees.
      Orthopedic planting of lawn around buildings, mixed planting of deciduous and evergreen trees between buildings and natural planting of evergreen trees around sites were recommended for planting of ornamental trees.
      Facilities in campus should be shapedin accordance with institutional objects and places for facilities should be considered to be in proper distribu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