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는『정전』「정기훈련법」 11과목 중의 하나에 해당한다. 그런데『정전』에 제시된 ‘성리’에 대한 정의는 개념이 분명치 않으므로 성리에 관한 의문사항들을 정리하여 성리의 본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652609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7-86(4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성리는『정전』「정기훈련법」 11과목 중의 하나에 해당한다. 그런데『정전』에 제시된 ‘성리’에 대한 정의는 개념이 분명치 않으므로 성리에 관한 의문사항들을 정리하여 성리의 본질...
성리는『정전』「정기훈련법」 11과목 중의 하나에 해당한다. 그런데『정전』에 제시된 ‘성리’에 대한 정의는 개념이 분명치 않으므로 성리에 관한 의문사항들을 정리하여 성리의 본질을 추구하고자 한다.
소태산의 수행방법은 의문 하나였다. 소태산은 의문을 통한 집중으로 깨달음을 이루었으며 그것은 전통 한국불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간화선(看話禪)’과 유사하다. 그는 대각 후 간화선을 포괄할 수 있는 공부법으로서 성리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원기 47년(1962)에 교전편수위원회는 『원불교교전』에서 성리의 정의를 바꾼다. 이것이 성리개념이 혼선을 가져온 역사적 이유이다. 성리 개념이 혼선을 가져온 교리적 이유는 성리를 방법이 아닌 것으로 간주하면서 생겼다. 또한 ‘성리’와『대종경』 성리품의 ‘성리’는 성격이 상당히 다름에도 불구하고, 같은 것으로 간주하려 한 데에서도 혼선이 왔을 가능성이 있다.
결론적으로, 성리는 성리선으로 간주해야 하며, 그 성격은 전통적인 간화선과 유사하다. 그러므로 원불교의 선법은 좌선 · 무시선 · 성리선의 세 가지로 보아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ubject of The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is one of eleven subjects in the Fixed term training, the Principal Book of Won buddhism. By the way, since the definition of the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concept in the Principal Book of Won buddh...
The subject of The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is one of eleven subjects in the Fixed term training, the Principal Book of Won buddhism. By the way, since the definition of the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concept in the Principal Book of Won buddhism is not clear, I"d like to suggest a solution for that by reviewing the concerned questions.
One of Sotaesan"s methods of practice was to raise questions. Sotaesan got enlightenment by concentrating to the questions, and it is similar to K"anhua - ch"an meditation in traditional Korean Buddhism. After enlightenment, he presented practice of the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as a training which includes K"an-hua-ch"an meditation. However, the editing committed of the Scriptures of Won buddhism switched its definition in 1962. That is why the confusion related the concept of the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happened historically.
The doctrinal reason of why the confusion occurred was due to the fact that we considered the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as not-a-method. And the other reason might be this: the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in the Principal Book of Won buddhism and the concept of the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in the chapter of the Principle of the Nature of Sotaesan"s Scripture are substantially different but some of us consider that they are the same.
In sum, the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is a type of sŏn meditation which is similar to K"an-hua-ch"an meditation. Then, Won buddhism has three types of meditation like Seated meditation, Timeless meditation, and the Principle of the nature medit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휴휴암좌선문"
2 한기두, "한국 선사상연구" 일지사 1991
3 붓다고사, "청정도론" 초기불전연구원 2004
4 "조선불교혁신론"
5 "정산종사법어"
6 "육대요령"
7 "원불교창건사"
8 "원불교교전"
9 "원불교교사"
10 정순일, "원불교 성리의 성립사 연구" 33 : 2006
1 "휴휴암좌선문"
2 한기두, "한국 선사상연구" 일지사 1991
3 붓다고사, "청정도론" 초기불전연구원 2004
4 "조선불교혁신론"
5 "정산종사법어"
6 "육대요령"
7 "원불교창건사"
8 "원불교교전"
9 "원불교교사"
10 정순일, "원불교 성리의 성립사 연구" 33 : 2006
11 한종만, "원불교 대종경 해의 상" 도서출판 동아시아 2001
12 "수양연구요론"
13 한기두, "소태산의 불교관" (2) : 1977
14 김영두, "소태산 소태산의 불연과 교법정신 조명" 한국원불교학회 2003
15 정순일, "성리개념의 변화와 그 본질" 35 : 2007
16 "선요"
17 "불법연구회규약"
18 "불교정전"
19 원불교사상연구원, "불교와 원불교" 한국학술정보 2015
20 정순일, "백학명과 박중빈의 불교개혁사상" 원불교사상연구원 (62) : 1-27, 2014
21 "금강경"
22 "교고총간"
23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간화선" 조계종출판사 2005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6-2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Reserch Institute for The Wonbuddhist Thoughts -> The Research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5 | 0.768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