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도덕과 교육의 방향 =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일고찰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한국의 도덕과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변천과, 현재 진행 중인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및 글로벌 사회와 다가치, 다문화 사회 등 한국 사회가 직면한 사회적, 문화적 변화를 살폈다. 이것을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 도덕과 교육의 방향을 도덕과의 방향 및 목표 측면, 내용 측면, 교수-학습 방법 및 교과용 도서 측면 그리고 평가 측면에 대하여 그 방향을 제시하였다. 방향 및 목표 측면에서는 공동체주의와 자유주의의 조화, 보편윤리추구와 신콜버그주의의 조화, 전통과 현대의 조화 등의 측면에서 살폈고, 내용의 측면에서는 평가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네 영역 안에서 구체적인 주제들을 예시하였으며, 방법 측면에서는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수업 방법 및 자료 개발, 문화적, 예술적 자료 이용 방법, 논술 이용 방법, 기타 세심한 사회적 기능 개발을 제시하였고, 교과용 도서 측면에서는, 워크북 형태의 자료와 실생활 경험을 다루는 이야기, 내러티브 등 읽기 보조 자료, 논술 노트 등을 제시하였고, 끝으로 평가 측면에서는 정의적 영역의 평가와 논술 평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고의 목적은 한국의 도덕과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변천과, 현재 진행 중인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및 글로벌 사회와 다가치, 다문화 사회 등 한국 사...

      본고의 목적은 한국의 도덕과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변천과, 현재 진행 중인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및 글로벌 사회와 다가치, 다문화 사회 등 한국 사회가 직면한 사회적, 문화적 변화를 살폈다. 이것을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 도덕과 교육의 방향을 도덕과의 방향 및 목표 측면, 내용 측면, 교수-학습 방법 및 교과용 도서 측면 그리고 평가 측면에 대하여 그 방향을 제시하였다. 방향 및 목표 측면에서는 공동체주의와 자유주의의 조화, 보편윤리추구와 신콜버그주의의 조화, 전통과 현대의 조화 등의 측면에서 살폈고, 내용의 측면에서는 평가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네 영역 안에서 구체적인 주제들을 예시하였으며, 방법 측면에서는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수업 방법 및 자료 개발, 문화적, 예술적 자료 이용 방법, 논술 이용 방법, 기타 세심한 사회적 기능 개발을 제시하였고, 교과용 도서 측면에서는, 워크북 형태의 자료와 실생활 경험을 다루는 이야기, 내러티브 등 읽기 보조 자료, 논술 노트 등을 제시하였고, 끝으로 평가 측면에서는 정의적 영역의 평가와 논술 평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desirable directions for developing moral education in korea. For this, I rewiewed the change of curriculum for moral education, a outline of reform of curriculum for moral education and the social, cultural context-globalzation, information-society, cultural-diversity, value-pluralism- in Korea. On the basis of these, I suggest the direction for moral education, content for moral education, teaching-learning method(including textbooks) and assessment for moral education. In the direction for moral education, I emphasize the harmony communitarianism and liberalism, and traditional - Confucian moral education and modern moral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through the relation of family-school-community. In the content for moral education, I give detail topics for four fields. In the teaching-learning method (including textbook)for moral education, I suggest the development of supplementary textbook, workbook, note for ethical essay and multi-media materials. In the assessment for moral education, I suggest detail items for evaluating emotional part and ethical essay.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desirable directions for developing moral education in korea. For this, I rewiewed the change of curriculum for moral education, a outline of reform of curriculum for moral education and the social, cultural contex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desirable directions for developing moral education in korea. For this, I rewiewed the change of curriculum for moral education, a outline of reform of curriculum for moral education and the social, cultural context-globalzation, information-society, cultural-diversity, value-pluralism- in Korea. On the basis of these, I suggest the direction for moral education, content for moral education, teaching-learning method(including textbooks) and assessment for moral education. In the direction for moral education, I emphasize the harmony communitarianism and liberalism, and traditional - Confucian moral education and modern moral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through the relation of family-school-community. In the content for moral education, I give detail topics for four fields. In the teaching-learning method (including textbook)for moral education, I suggest the development of supplementary textbook, workbook, note for ethical essay and multi-media materials. In the assessment for moral education, I suggest detail items for evaluating emotional part and ethical essa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 총론, 특별활동" 교육부 1999

      2 "종래의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 도덕과 교과서 개발의 역정" (22) : 1-49, 2006

      3 "새로운 도덕과의 성격과 목표 정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4 "도덕교육의 파시즘-노예도덕을 넘어서" 길 2005

      5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체계와 지도 방법 개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6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7 "도덕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2005

      8 "도덕가치 교육을 위한 100가지 방법" 울력 2006

      9 "공자의 유교윤리에 있어서 도덕교육단계론" (22) : 313-336, 2006

      10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 총론" 교육부 1999

      1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 총론, 특별활동" 교육부 1999

      2 "종래의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 도덕과 교과서 개발의 역정" (22) : 1-49, 2006

      3 "새로운 도덕과의 성격과 목표 정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4 "도덕교육의 파시즘-노예도덕을 넘어서" 길 2005

      5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체계와 지도 방법 개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6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7 "도덕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2005

      8 "도덕가치 교육을 위한 100가지 방법" 울력 2006

      9 "공자의 유교윤리에 있어서 도덕교육단계론" (22) : 313-336, 2006

      10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 총론" 교육부 1999

      11 정창우, "道德敎育의 統合的 接近法으로서 構成主義的 人格敎育에 관한 硏究" 한국도덕교육학회 15 (15): 5-140, 2003

      12 "孔孟 思想에 나타난 德性涵養에 관한 硏究" 서울대 대학원 1998.8

      13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contemporary moral education in China" 33 (33): 465-480, 2004

      14 "On the contribution of literature and the arts to the educational cultivation of moral virtue, feeling and emotion" 34 (34): 137-151, 2005

      15 "Moral education in Hong Kong : Confucian-parental, Christian-religious and liberal - civic influence" 33 (33): 533-551, 2004

      16 "Moral education at the movies: on the cinematic treatment of morally significant story and narrative" 35 (35): 319-333, 2006

      17 "Moral and citizenship education as statecraft in Singapore : a curriculum critique" 33 (33): 597-606, 2004

      18 "Liberalism, Communitarianism and the Space Between : in praise of kindness" 29 (29): 133-147, 2000

      19 "Deyu as moral education in modern China : ideological functions and transformations" 33 (33): 450-464, 2004

      20 "Confucian thinking in traditional moral education : key ideas and fundamental features" 33 (33): 429-447, 2004

      21 "Changes and challenges for moral education in Taiwan" 33 (33): 575-595, 2004

      22 "A dilemma in moral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 the limitation of individualistic cognitive approaches" 31 (31): 133-147, 2002

      23 "A Neo-Kohlbergian Approach to Morality research" 29 (29): 381-395,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
      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7 0.96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