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제민주화 공약과 박근혜 정부: 중간평가와 대안적 과제 = Economic Democratization Pledged During the 18th Presidential Race of South Korea History, Evaluation, Task and Prosp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06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2012년의 총선과 18대 대선을 전후한 시기에 경제민주화와 관련해서 한국사회에서 진행된 논의의 사회적·경제적 흐름과 경과를 살피고, 잠정적이지만 그것을 평가해 봄으로써 쟁점과 과제를 찾아보고자 하는 시도다.
      박근혜 정부의 경제공약이 경제민주화 요구를 상당히 수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집권 반년을 평가하는 시점에서는 경제활성화 정책과의 상충관계가 우위를 보이고, 정책적 일관성이 흔들리고 있다. ‘경제민주화’와 ‘경제성장’ 혹은 ‘형평’과‘효율’ 간의 관계를 상호보완적인 것으로 보느냐 아니면 상충하는 것으로 보는가는 ‘경제민주화론’과 ‘반(反)경제민주화론’을 가르는 일관된 기준이었다.
      경제민주화의 역사적 과정에서 재벌개혁, 투기적 금융자본에 대한 규제, 비정규직의 노동권, 복지국가 등의 주요 의제가 제시되었다. 이들 의제가 각각 현재의 경제민주화와 어떤 관계를 갖는지, 또 서로 간에는 어떤 관계가 설정되어야 하는지 여전히 논쟁의 과제로 남아 있다. 경제민주화가 신자유주의에 대한 대안인 한 그것에는 사민주의적 지향이 포함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서구 경제개혁의 역사적 경험이다.
      번역하기

      이 글은 2012년의 총선과 18대 대선을 전후한 시기에 경제민주화와 관련해서 한국사회에서 진행된 논의의 사회적·경제적 흐름과 경과를 살피고, 잠정적이지만 그것을 평가해 봄으로써 쟁점�...

      이 글은 2012년의 총선과 18대 대선을 전후한 시기에 경제민주화와 관련해서 한국사회에서 진행된 논의의 사회적·경제적 흐름과 경과를 살피고, 잠정적이지만 그것을 평가해 봄으로써 쟁점과 과제를 찾아보고자 하는 시도다.
      박근혜 정부의 경제공약이 경제민주화 요구를 상당히 수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집권 반년을 평가하는 시점에서는 경제활성화 정책과의 상충관계가 우위를 보이고, 정책적 일관성이 흔들리고 있다. ‘경제민주화’와 ‘경제성장’ 혹은 ‘형평’과‘효율’ 간의 관계를 상호보완적인 것으로 보느냐 아니면 상충하는 것으로 보는가는 ‘경제민주화론’과 ‘반(反)경제민주화론’을 가르는 일관된 기준이었다.
      경제민주화의 역사적 과정에서 재벌개혁, 투기적 금융자본에 대한 규제, 비정규직의 노동권, 복지국가 등의 주요 의제가 제시되었다. 이들 의제가 각각 현재의 경제민주화와 어떤 관계를 갖는지, 또 서로 간에는 어떤 관계가 설정되어야 하는지 여전히 논쟁의 과제로 남아 있다. 경제민주화가 신자유주의에 대한 대안인 한 그것에는 사민주의적 지향이 포함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서구 경제개혁의 역사적 경험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18th presidential race, the conservative Grand National Party (now the Saenuri Party), announced that “economic democratization” was included in its party platform. The pledged economic democratization meant to realize a fair-competition economy that protects small and mid-sized businesses and consumers from the giant economic forces(big conglomerates). By the epochal change of stance against conglomerates, even though it was suspicious, the conservative party succeeded to revitalize its image and regain public support.
      In this paper, first of all,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issues on economic democratization, which has gained momentum in the 2012 general elections and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is examined. Secondly, based on this historical perspective, the related economic policies of the newly established conservative government are evaluated critically. What will follow is proposals to understand economic democratization in a different way for resolving the country’s social problems such as economic bi-polarization. From the western experiences, it will be argued that the alternative should have a corresponding relation with an orientation towards the social democratic welfare state.
      번역하기

      During the 18th presidential race, the conservative Grand National Party (now the Saenuri Party), announced that “economic democratization” was included in its party platform. The pledged economic democratization meant to realize a fair-competitio...

      During the 18th presidential race, the conservative Grand National Party (now the Saenuri Party), announced that “economic democratization” was included in its party platform. The pledged economic democratization meant to realize a fair-competition economy that protects small and mid-sized businesses and consumers from the giant economic forces(big conglomerates). By the epochal change of stance against conglomerates, even though it was suspicious, the conservative party succeeded to revitalize its image and regain public support.
      In this paper, first of all,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issues on economic democratization, which has gained momentum in the 2012 general elections and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is examined. Secondly, based on this historical perspective, the related economic policies of the newly established conservative government are evaluated critically. What will follow is proposals to understand economic democratization in a different way for resolving the country’s social problems such as economic bi-polarization. From the western experiences, it will be argued that the alternative should have a corresponding relation with an orientation towards the social democratic welfare stat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진오, "헌법해의(憲法解義)" 채문사 1952

      2 안현효, "한국에서 신자유주의의 전개와 이론적 대안에 관한 검토" 한국사회경제학회 (35) : 237-282, 2010

      3 이병천, "한국경제론의 충돌" 후마니타스 2012

      4 이병천, "한국경제론의 충돌" 후마니타스 2012

      5 산업연구원, "창조경제론의 성장 패러다임 구조와 정책 보완과제" 2013

      6 유철규, "창조경제론 논란의 내용과 실체. 발표문. 참여사회포럼" 참여연대 부설 참여사회연구소 및 경제민주화와 재벌개 혁을 위한 국민운동본부 주최 2013

      7 위평량, "제18대 대통령후보 3인의 경제 분야 정책 비교분석(경제민주화 관점에서)" 경제개혁연대 2012

      8 유철규, "정치적 탈독점화와 경제적 독점의 변화 시장권력 행사의 상황 분석과지표 개발을 위한 시론, In 복합적 갈등 속의 한국 민주주의: ‘사회경제적 독점’의 변형 연구" 한울 2009

      9 Rodrik, D, "자본주의 새판 짜기: 세계화의 역설과 민주적 대안" 21세기북스 2011

      10 Dullien, S, "자본주의 고쳐 쓰기" 한겨레출판 2012

      1 유진오, "헌법해의(憲法解義)" 채문사 1952

      2 안현효, "한국에서 신자유주의의 전개와 이론적 대안에 관한 검토" 한국사회경제학회 (35) : 237-282, 2010

      3 이병천, "한국경제론의 충돌" 후마니타스 2012

      4 이병천, "한국경제론의 충돌" 후마니타스 2012

      5 산업연구원, "창조경제론의 성장 패러다임 구조와 정책 보완과제" 2013

      6 유철규, "창조경제론 논란의 내용과 실체. 발표문. 참여사회포럼" 참여연대 부설 참여사회연구소 및 경제민주화와 재벌개 혁을 위한 국민운동본부 주최 2013

      7 위평량, "제18대 대통령후보 3인의 경제 분야 정책 비교분석(경제민주화 관점에서)" 경제개혁연대 2012

      8 유철규, "정치적 탈독점화와 경제적 독점의 변화 시장권력 행사의 상황 분석과지표 개발을 위한 시론, In 복합적 갈등 속의 한국 민주주의: ‘사회경제적 독점’의 변형 연구" 한울 2009

      9 Rodrik, D, "자본주의 새판 짜기: 세계화의 역설과 민주적 대안" 21세기북스 2011

      10 Dullien, S, "자본주의 고쳐 쓰기" 한겨레출판 2012

      11 유종일, "유종일의 진보경제학" 모티브북 2012

      12 유철규, "신자유주의, In 현대마르크스경제학의 쟁점들"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2

      13 김수행, "세계대공황과 자본주의의 미래, In 정치경제학의 대답" 2012

      14 18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박근혜 정부 국정과제"

      15 강정민,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이행 평가 I-취임 후 6개월, 경제민주화 정책을중심으로" 2013

      16 위평량, "박근혜 당선인의 경제민주화 공약 분석과 향후과제" 경제개혁연구소 2013

      17 신용옥, "민주화' 20년의 경제민주화, 그 굴곡과 해체" 역사문제연구소 11 (11): 109-139, 2007

      18 정태인, "리셋 코리아" 미래를소유한사람들 2012

      19 유철규, "금융민주화와 금융참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3

      20 장하준,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부키 2010

      21 정승일, "공정 국가인가, 복지 국가인가?" (사)6월 민주 항쟁 계승 사업회 2013

      22 변형윤, "경제정의와 경제민주화" (주)지식산업사 2012

      23 변형윤, "경제민주화의 의의와 과제, In 經濟民主化의 길" 비봉출판사 1992

      24 학현 변형윤 박사 정년퇴임기념논문집간행위원회, "경제민주화의 길" 비봉출판사 1992

      25 전철환, "경제민주화와 위기의 대응철학" 지식산업사 2002

      26 유종일, "경제민주화: 개념, 역사, 정책, In 세계경제의 변화와 한국경제의 대응" 한울 2013

      27 유철규, "경제민주화 10문 10답"

      28 정태인, "경제민주주의와 사회적 경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3

      29 유철규, "경제개혁시민운동의 이념적 재평가, In 거대한 운동에서 차이의 운동들로" 한울 2010

      30 변형윤, "경제개혁과 한국경제학의 과제" 한국경제학회 1994

      31 이병천, "경제 민주화, 끝이 아니라 이제 시작. 경제 민주화 워치시리즈 2"

      32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World of Work Report 2012: Better jobs for a better economy" 2012

      33 Lavoie, Marc, "Wage-led growth: Concept, theories and policies. Conditions of Work and Employment series 41"

      34 UNCTAD, "Trade and Development Report" 2010

      35 Marglin S, "The Golden Age of Capitalism" Clarendon Press 1990

      36 Armstrong, P, "1945년 이후의 자본주의" 동아출판사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4-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과학연구소 -> 한국사회과학연구회
      영문명 : Korea Social Science Institute -> Korea Social Science Studies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29 2.39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