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민주화 운동단체 연결망의 변천(1980∼1992) = The Evolution of Social Movement Networks in South Korea(1980∼199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06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회운동 내에서 형성되는 운동단체와 활동가들의 관계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사회연결망은 운동의 발생·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이 글에서는 1980년대부터 90년대 초 민주화 운동단체의 연결망 자료를 분석하였다. 지도부 구성원들의 중복소속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운동단체 간 연결망을 연도별로 추적하였고, 민주화 운동 활동가들과의 심층면접 자료도 활용하였다. 먼저, 80년대 초 전두환 정권 초기에는 탄압의 위험성이 높아 단체 간 연결망이 활발하게 형성되지 못하였고, 단체들은 주로 지하에서 폐쇄적인 조직구조를 바탕으로 제한적으로 활동하였다. 그러나 1984년 유화조치 이후에는 운동단체 간 연결망이 확산되었고, 여러 부문운동을 망라한 연대체들을 중심으로 중앙집권적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연결 구조는 대규모 동원을 용이하게 해 주었고, 운동단체들의 결집은 1987년 6월항쟁으로 그 정점을 맞이하였다. 마지막으로 1987년 민주화 이행 이후의 운동단체 간 연결망을 살펴보면, 정치적인 환경이 이전보다 개방되면서 운동단체의 숫자가 증가하였다. 동시에 이러한 변화는 연대체의 중심성이 약화되는 결과로 이어졌으며, 또 부문운동 단체들의 독립성이 상대적으로 강화되면서 연결망은 이전보다 분권화되는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번역하기

      사회운동 내에서 형성되는 운동단체와 활동가들의 관계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사회연결망은 운동의 발생·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이 글에서는 1980년대부터 90년대 초 민주화 운동단...

      사회운동 내에서 형성되는 운동단체와 활동가들의 관계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사회연결망은 운동의 발생·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이 글에서는 1980년대부터 90년대 초 민주화 운동단체의 연결망 자료를 분석하였다. 지도부 구성원들의 중복소속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운동단체 간 연결망을 연도별로 추적하였고, 민주화 운동 활동가들과의 심층면접 자료도 활용하였다. 먼저, 80년대 초 전두환 정권 초기에는 탄압의 위험성이 높아 단체 간 연결망이 활발하게 형성되지 못하였고, 단체들은 주로 지하에서 폐쇄적인 조직구조를 바탕으로 제한적으로 활동하였다. 그러나 1984년 유화조치 이후에는 운동단체 간 연결망이 확산되었고, 여러 부문운동을 망라한 연대체들을 중심으로 중앙집권적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연결 구조는 대규모 동원을 용이하게 해 주었고, 운동단체들의 결집은 1987년 6월항쟁으로 그 정점을 맞이하였다. 마지막으로 1987년 민주화 이행 이후의 운동단체 간 연결망을 살펴보면, 정치적인 환경이 이전보다 개방되면서 운동단체의 숫자가 증가하였다. 동시에 이러한 변화는 연대체의 중심성이 약화되는 결과로 이어졌으며, 또 부문운동 단체들의 독립성이 상대적으로 강화되면서 연결망은 이전보다 분권화되는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cial movement theorists advocate the importance of social networks in shaping social movements. Within a movement, linkages among different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SMOs), among individual activists, and between SMOs and activists are likely to be established. Pre-existing social networks are also necessary to generate and sustain protests. Given this role, I expect that the degrees of social networks in terms of network ties and mediators’ roles ought to have different consequences in the evolution of protests. By analyzing the case of Korea’s pro-democracy movement (1980∼1992), I argue that an absence of network ties and mediators (i.e., network closure) precludes inter-organizational alliances. In addition, my findings show that an increase in network ties and mediators increase collaborations between different SMOs. As important, my research reveals that the process of democratic transition had an important effect on social movement networks: while more centralized networks emerge after the liberalization within an authoritarian structure, movement networks become more polycentric and disperse after the democratic transition. Moreover, I argue that the centrality of the leading SMOs during the pro-democracy struggles that develop in the hierarchical,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declines in proportion to decentralization of networks. This changing pattern of movement networks has further implications on the later development of the social movement sector in Korea.
      번역하기

      Social movement theorists advocate the importance of social networks in shaping social movements. Within a movement, linkages among different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SMOs), among individual activists, and between SMOs and activists are likely to...

      Social movement theorists advocate the importance of social networks in shaping social movements. Within a movement, linkages among different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SMOs), among individual activists, and between SMOs and activists are likely to be established. Pre-existing social networks are also necessary to generate and sustain protests. Given this role, I expect that the degrees of social networks in terms of network ties and mediators’ roles ought to have different consequences in the evolution of protests. By analyzing the case of Korea’s pro-democracy movement (1980∼1992), I argue that an absence of network ties and mediators (i.e., network closure) precludes inter-organizational alliances. In addition, my findings show that an increase in network ties and mediators increase collaborations between different SMOs. As important, my research reveals that the process of democratic transition had an important effect on social movement networks: while more centralized networks emerge after the liberalization within an authoritarian structure, movement networks become more polycentric and disperse after the democratic transition. Moreover, I argue that the centrality of the leading SMOs during the pro-democracy struggles that develop in the hierarchical,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declines in proportion to decentralization of networks. This changing pattern of movement networks has further implications on the later development of the social movement sector in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해구, "한국정치와 비제도적 운동정치" 한울아카데미 2007

      2 조희연,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의 전개, In NGO 가이드" 한겨레신문사 2001

      3 김두식, "한국사회의 사회운동과 정치엘리트: 역대국회의원들(제헌국회-18대국회)중 사회운동참여 경험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연구소 12 (12): 173-210, 2011

      4 안병욱, "특집총론 : 한국 민주화운동에 대한 평가와 인식의 전환을 위하여" 한국역사연구회 (77) : 17-38, 2010

      5 은수미, "연계강화, 연대약화-사회운동의 관계맺기와 한국 시민사회-" 5.18연구소 4 (4): 5-38, 2004

      6 은수미, "연결망 접근을 통해서 본 ‘사회운동적 노동운동’의 가능성: 한국 노동운동의 연대주의적 전통의 복원" 한국노동연구원 5 (5): 43-73, 2005

      7 강남식, "여성운동의 성과와 과제, In 한국 시민사회운동 15년사 1987-2002" 시민의신문 407-429, 2004

      8 권태환, "사회운동조직간 연결망" 20 (20): 7-43, 1998

      9 민족민주운동연구소, "민통련: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평가서" 민족민주운동연구소 1989

      10 민주화추진협의회, "민추사" 민주화추진협의회 1988

      1 정해구, "한국정치와 비제도적 운동정치" 한울아카데미 2007

      2 조희연,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의 전개, In NGO 가이드" 한겨레신문사 2001

      3 김두식, "한국사회의 사회운동과 정치엘리트: 역대국회의원들(제헌국회-18대국회)중 사회운동참여 경험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연구소 12 (12): 173-210, 2011

      4 안병욱, "특집총론 : 한국 민주화운동에 대한 평가와 인식의 전환을 위하여" 한국역사연구회 (77) : 17-38, 2010

      5 은수미, "연계강화, 연대약화-사회운동의 관계맺기와 한국 시민사회-" 5.18연구소 4 (4): 5-38, 2004

      6 은수미, "연결망 접근을 통해서 본 ‘사회운동적 노동운동’의 가능성: 한국 노동운동의 연대주의적 전통의 복원" 한국노동연구원 5 (5): 43-73, 2005

      7 강남식, "여성운동의 성과와 과제, In 한국 시민사회운동 15년사 1987-2002" 시민의신문 407-429, 2004

      8 권태환, "사회운동조직간 연결망" 20 (20): 7-43, 1998

      9 민족민주운동연구소, "민통련: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평가서" 민족민주운동연구소 1989

      10 민주화추진협의회, "민추사" 민주화추진협의회 1988

      11 권형택, "민주화운동청년연합, 깃발을 높이 들다, In 6월항쟁을 기록하다 1"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7

      12 이정은, "민주화 전후 한국 노동운동 의미틀의 변천 (1980-2001)" 5.18연구소 11 (11): 97-130, 2011

      13 정구호, "대학과 사상" 경향신문사 1982

      14 이항우, "네트워크 사회운동과 하향적 집합행동: 2008년 촛불시위" 비판사회학회 93 (93): 244-274, 2012

      15 조대엽, "광주항쟁과 80년대의 사회운동문화 -이념 및 가치를 중심으로-" 5.18연구소 3 (3): 175-210, 2003

      16 Gargiulo, Martin, "Trapped in Your Own Net? Network Cohesion, Structural Holes, and the Adaptation of Social Capital" 11 (11): 183-196, 2000

      17 Granovetter, Mark S, "The Strength of Weak Ties" 78 (78): 1360-1380, 1973

      18 Morris, Aldon D, "The Origins of the Civil Rights Movements: Black Communities Organizing for Change" The Free Press 1984

      19 Baldassarri, Delia, "The Integrative Power of Civic Networks" 113 (113): 735-780, 2007

      20 Burt, Ronald S, "The Contingent Value of Social Capital" 42 (42): 339-365, 1997

      21 Rupp, Leila, "Survival in the Doldrums: The American Women's Rights Movement, 1945 to the 1960s"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22 Burt, Ronald S, "Structural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23 McAdam, Doug, "Spec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Ties and Activism" 99 (99): 640-667, 1993

      24 Chu, Yun-han, "South Korea and Taiwan: The International Context, In Consolidating the Third Wave Democracies: The Regional Challenge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7

      25 Osa, Maryjane, "Solidarity and Contention: Networks of Polish Oppositio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3

      26 Shemtov, Ronit, "Social Networks and Sustained Activism in Local NIMBY Campaigns" 182 (182): 215-244, 2003

      27 Fernandez, Roberto M, "Social Networks and Social Movements: Multiorganizational Fields and Recruitment to Mississippi Freedom Summer" 3 (3): 357-382, 1988

      28 Marwell, Gerald, "Social Networks and Collective Action: A Theory of the Critical Mass. III" 94 (94): 502-534, 1988

      29 Scott, John P, "Social Network Analysis: A Handbook" Sage Publications 2000

      30 Diani, Mario, "Social Movements and Networks: Relational Approaches to Collective A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31 Rosenthal, Naomi, "Social Movements and Network Analysis: A Case Study of Nineteenth-Century Women's Reform in New York State" 90 (90): 1022-1054, 1985

      32 Taylor, Verta, "Social Movement Continuity: The Women's Movement in Abeyance" 54 (54): 761-775, 1989

      33 Erickson, Bonnie H, "Secret Societies and Social Structure" 60 (60): 188-210, 1981

      34 Ansell, Christopher K, "Schism and Solidarity in Social Movements: The Politics of Labor in the French Third Republ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35 Nepstad, Sharon E, "Rethinking Recruitment to High-Risk/Cost Activism: The Case of Nicaragua Exchange" 4 : 25-40, 2000

      36 McAdam, Doug, "Political Process and the Development of Black Insurgency, 1930-1970"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2

      37 Mische, Ann, "Partisan Publics: Communication and Contention across Brazilian Youth Activist Network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38 Bandy, Joe, "Paradoxes of Transnational Civil Societies under Neoliberalism: The Coalition for Justice in the Maquiladoras" 51 (51): 410-431, 2004

      39 Melucci, Alberto, "Nomads of the Present" Hutchinson Press 1989

      40 Gould, Roger V, "Multiple Networks and Mobilization in the Paris Commune, 1871" 56 (56): 716-729, 1991

      41 Hedstrom, Peter, "Mesolevel Networks and the Diffusion of Social Movements: The Case of the Swedish Social Democratic Party" 106 (106): 145-172, 2000

      42 Carroll, William K, "Master Framing and Cross-Movement Networking in Contemporary Social Movements" 37 : 601-625, 1996

      43 Grossman, Zoltan, "Let’s Not Create Evilness for This River: Interethnic Environmental Alliances of Native Americans and Rural Whites in Northern Wisconsin, In Forging Radical Alliances across Difference: Coalition Politics for the New Millennium"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46-159, 2001

      44 Diani, Mario, "Leaders or Brokers?, In Social Movements and Networks: Relational Approaches to Collective A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05-122, 2003

      45 Obach, Brian K, "Labor and the Environmental Movement: the Quest for Common Ground" MIT Press 2004

      46 Coleman, James S,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47 McAdam, Doug, "Dynamics of Conten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48 Rose, Fred, "Coalitions across the Class Divide: Lessons from the Labor, Peace, and Environmental Movements" Cornell University Press 2000

      49 Vasi, Ion Bogdan, "Civil Liberty in America: The Diffusion of Municipal Bill of Rights Resolutions after the Passage of the USA PATRIOT Act" 114 (114): 1716-1764, 2009

      50 Bernstein, Mary, "Celebration and Suppression: The Strategic Uses of Identity by the Lesbian and Gay Movement" 103 : 531-565, 1997

      51 Diani, Mario, "Analysing Social Movement Networks, In Studying Collective Action" Sage Publications 107-135, 1992

      52 강이수, "90년대 여성운동과 연대 그리고 정체성의 문제, In 저항, 연대, 기억의 정치 2" 문화과학사 2003

      53 나간채, "5월운동에 있어서 운동주체의 형성과 발전과정 분석" 5.18연구소 8 (8): 5-45, 2008

      54 김정한, "5·18 광주항쟁 이후 사회운동의 이데올로기 변화" 5.18연구소 10 (10): 161-190, 2010

      55 윤상철, "1990년대 한국 사회운동 분립과 중앙집중성" 비판사회학회 66 (66): 39-71,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4-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과학연구소 -> 한국사회과학연구회
      영문명 : Korea Social Science Institute -> Korea Social Science Studies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29 2.39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