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건환, "현대 국어의 의미확장연구" 2002
2 서정수, "합성어에 관한 문제" 367-400, 1981
3 김선희, "합성동사의 의미 분석" 99-119, 1984
4 김광우, "합성동사의 국어사적 연구" 1995
5 이관규, "합성동사의 구성에 대한 고찰" 한국어학회 1 : 365-387, 1994
6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7 채희락, "이동동사의 정의와 분류" 현대문법학회 15 : 79-100, 1999
8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 1992
9 배도용, "우리말 신체어 의미 확장 연구" 2001
10 고창운, "우리말 맛 그림씨의 어휘장 연구 ― ‘달다’류와 ‘시다’류 어휘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56 : 5-23, 2006ㄱ
1 이건환, "현대 국어의 의미확장연구" 2002
2 서정수, "합성어에 관한 문제" 367-400, 1981
3 김선희, "합성동사의 의미 분석" 99-119, 1984
4 김광우, "합성동사의 국어사적 연구" 1995
5 이관규, "합성동사의 구성에 대한 고찰" 한국어학회 1 : 365-387, 1994
6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7 채희락, "이동동사의 정의와 분류" 현대문법학회 15 : 79-100, 1999
8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 1992
9 배도용, "우리말 신체어 의미 확장 연구" 2001
10 고창운, "우리말 맛 그림씨의 어휘장 연구 ― ‘달다’류와 ‘시다’류 어휘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56 : 5-23, 2006ㄱ
11 남기심, "어휘 의미와 문법" 연세대 동방학연구소 87 : 1995
12 고창운, "변이의미의 생성과 한국인" 우리말글학회 36 : 1-19, 2006ㄴ
13 임지룡, "다의어의 인지적 의미 특성" 한국언어학회 18 (18): 229-261, 1996
14 임지룡, "다의어의 비대칭 양상 연구" 언어과학회 15 : 309-331, 1998
15 이기동, "다의어와 의미의 일관성" 인문학연구원 52 : 17-46, 1984
16 이정식, "다의 발생과 언어 기원,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109-132, 2003
17 이기동, "다의 구분과 순서의 문제" 국립국어연구원 -1, 1992
18 이기동, "낱말의 의미와 범주화" 289-332, 1986
19 정동환, "국어 합성어의 의미관계 연구" 1991
20 이건환, "국어 이동동사의 의미 분석" 1996
21 양태식, "국어 구조의미론" 태화출판사 1984
22 박지홍, "고쳐 쓴 우리 현대말본" 1986
23 이종열, "가다의 다의성에 대한 인지의미론적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3 : 97-118, 1998
24 Kim Sookil, "The Korean compound verbal construction in lexical functional grammar" 5-71, 1990
25 Sohn Ho-min, "Semantics of Compound verbs in Korean" 142-150, 1976
26 Goddard, "Semantic Analysis"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27 R. W. Langacker, "Foundations of Cognitive Grammar, vol Ⅰ: Theoretical Prerequisites" Stanford University Press ⅰ :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