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H형 압연강재보에 강종이 다른 강재보 또는 강판을 부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강재보의 휨 거동에 대한 실물실험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론적인 해석과의 비교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330104
임성순 (서울시립대학교) ; 정찬핵 (경북대학교) ; Yhim, Sung Soon ; Jeong, Chan Haek
2006
Korean
H형 압연강재보 ; 겹보 ; Cover Plate 강재보 ; 프리스트레스
KCI등재
학술저널
239-250(12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H형 압연강재보에 강종이 다른 강재보 또는 강판을 부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강재보의 휨 거동에 대한 실물실험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론적인 해석과의 비교를 ...
본 연구는 H형 압연강재보에 강종이 다른 강재보 또는 강판을 부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강재보의 휨 거동에 대한 실물실험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론적인 해석과의 비교를 통하여 구조적인 성능을 검증하였다. 두 개의 부재를 결합하여 합성부재로 만드는데 있어서 결합시 부재간 서로 이완된 느슨한 상태에서 결합이 되기 때문에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부재간에 하중의 재분배가 일어나 그 구조적인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다. 따라서 두 부재를 합성시킬 때에는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여 접합해야 한다. 실험결과로부터 강재보에 추가로 강재보 또는 강판을 붙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강재보는 강성증가와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내하력 증가효과가 뚜렷함을 알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bending behaviors of an H-secti on-steel-beam-attached high-strength steel plate or steel beam were analyzed. Its structural performance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nd the analysis that were...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bending behaviors of an H-secti on-steel-beam-attached high-strength steel plate or steel beam were analyzed. Its structural performance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nd the analysis that were conducted. In fabricating an unprestressed composite beam using two members that have different strengths, the generated slip on the joint in proport problem because of the redistribution of force caused by the lose state of the joint. Therefore, when fabricating composite beams, it is important to load them with prestressed for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at was conducted, the prestressed composite-steel-beam-attached steel plate or beam has a higher bending resistance and load-carrying capacit
고정과 자유경계조건의 조합을 고려한 직사각형 복합적층판의 3차원 진동해석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실 경비함수를 가진 트러스 구조물의 설계
기초지반강성을 고려한 철골 건축구조물의 비선형 지진해석
강합성 플레이트 2-거더교의 가로보 제원 및 설치 간격에 따른 여유도 평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5 | 0.35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6 | 0.594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