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비정부 여성단체들과 개별적 여성운동가들 그리고 각국 정부들의 글로벌 거버넌스의 여성정치는 1970년대 중반부터 급속하게 성장하여 성 평등을 위한 국제적 합의를 이끌어 냄으로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13447
2008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유엔, 비정부 여성단체들과 개별적 여성운동가들 그리고 각국 정부들의 글로벌 거버넌스의 여성정치는 1970년대 중반부터 급속하게 성장하여 성 평등을 위한 국제적 합의를 이끌어 냄으로서...
유엔, 비정부 여성단체들과 개별적 여성운동가들 그리고 각국 정부들의 글로벌 거버넌스의 여성정치는 1970년대 중반부터 급속하게 성장하여 성 평등을 위한 국제적 합의를 이끌어 냄으로서 성인지적 국제적 규범과 원칙을 설정하는데 기여하였으며, 이러한 규범과 원칙이 개별국가의 정치와 정책에서 이행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1995년 북경 세계여성회의에서 채택된 ‘북경행동강령’의 성 주류화 전략은 글로벌 거번너스의 여성정치의 최고의 산물이다. 성 주류화 전략은 성 평등을 위하여 국가의 모든 정책에 성인지적 관점이 통합되게 함으로써 성 평등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였고, 많은 국가에서 성 평등을 위한 국내정책의 변화를 가져왔다. 유엔의 성주류화 전략은 한국에서 1990년대의 여성운동의 활성화, 정치적 민주화 그리고 성평등을 위한 정부의 의지 등과 상호작용하면서 성평등 정책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항공분야의 직업들은 대표적인 ‘남성들의’ 직업들이다. 정부가 여성들을 소위 ‘남성의 직업들’에 많이 진출시키고 성별 직업분리 현상을 철폐하기 위해서 추진하는 정책들은 성차별적 고용금지와 노동시장에서 여성인적 자원을 확대하는 것 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항공관련 직업들에서 여성들이 지속적으로 저대표 되는 이유는 단순히 여성 인적 자원 때문만이 아니라, 여성이 이 직업들을 계속적으로 유지하고 직업적으로 성공하는데 장벽이 되는 젠더화된 고정관념과 노동시장과 조직 내의 가부장적인 권력구조 이다.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항공분야에 진출할 수 있는 기술과 훈련, 교육을 갖춘 여성인적자원이 증가한다하더라도 여성고용의 양적, 질적 발전으로 연결될 수가 없다.
항공분야는 특별히 오랫동안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와 성차별적 고정관념이 강한 분야이다. 정부의 성평등 정책은 이러한 곳에서는 내부의 거부감 때문에 효과적으로 시행되지 못한다.
성평등한 고용환경과 고용구조를 조성하는 것은 성별 직업분리현상을 철폐하기 위해서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할 사안이다. 그런데‘남성의 직업들’에서 여성들의 진출을 위협으로 느끼는 남성들이 있는 한 자발적인 성평등한 구조로의 변화를 기대할 수는 없다. 성평등한 고용환경과 고용구조가 조성되기 위해서 효과적인 방법은 국가가 법제정과 정책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이다. 고용에서 성차별을 금지하는 법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적극적 조치’는 지금으로는 가장 효과적인 전략이다.
국문 초록 (Abstract)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의 내용, 방법, 범위 3. 연구과제의 국내․외 연구동향 (연구배경) 4. 연구결과에 대한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제2장 글로벌 거버넌스 시대에...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의 내용, 방법, 범위
3. 연구과제의 국내․외 연구동향 (연구배경)
4. 연구결과에 대한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제2장 글로벌 거버넌스 시대에 여성정치의 변화
1. 지구적 여성운동과 여성 NGO들의 성장
2. 유엔세계회의의 지구적 ‘아젠다의 젠더화’
3. ‘북경행동강령’의 이행과 개별국가에서 성 평등의 증진
제2장. 미국의 항공분야에서 여성고용현황과 여성고용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들
1. 미국의 여성고용현황과 형태
2. 항공관련 직업들의 여성고용의 발전과 현황
3. 항공관련 직업에서 여성고용을 저해하는 요인들
4. ‘비전통적’ 직업들에서 여성고용기회의 증진을 위한 미연방정부의 노력
5. 결론
제3장 유엔의 성주류화전략과 한국 항공분야의 여성고용정책
1. 한국의 여성정책의 발전과 성주류화
2. 한국의 여성고용현황과 고용형태
3. 항공분야의 여성고용 현황과 여성문제
4. 항공관련 분야의 여성고용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들
제4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