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1950년대 『사상계』에 나타난 농촌담론을 분석하여 지식인들이 바라보는 농촌인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농지개혁법과 미국의 원조 그리고 농촌의 민주주의운동과 계몽에 관한 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64474
2011
Korean
1950년대 ; 『사상계』 ; 농촌담론 ; 농지개혁 ; 미국의 잉여농산물 ; 민주주의 ; 계몽과 계도 ; 정치적 ; 정책 ; 사회문화적 ; 농촌인식 ; 지식인 ; 1950’s ; Sasangge ; the rural discourse ; the farmland reform law ; surplus farm produce of USA ; democracy ; enlightenment ; political ; policy ; sociocultural ; the rural recognition ; intellectual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37-171(35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1950년대 『사상계』에 나타난 농촌담론을 분석하여 지식인들이 바라보는 농촌인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농지개혁법과 미국의 원조 그리고 농촌의 민주주의운동과 계몽에 관한 담...
이 논문은 1950년대 『사상계』에 나타난 농촌담론을 분석하여 지식인들이 바라보는 농촌인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농지개혁법과 미국의 원조 그리고 농촌의 민주주의운동과 계몽에 관한 담론들을 통하여 『사상계』를 중심으로 한 지식인들이 제시하는 농촌문제의 핵심과 해결방안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1950년대 농촌의 문제가 토지개혁과 고리채 그리고 미국의 잉여농산물 수입이라면 『사상계』의 논자들이 이것을 읽어내는 방법은 자유당 정권의 무능과 부패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또 『사상계』에 나타난 농촌담론을 분석하면 농촌문제에 대한 당대 지식인의 관점이 생산주의와 기술주의에 경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상계』 농촌담론을 통한 일관된 사상은 정치적 민주주의이다. 이는 ‘미국적 가치’를 대중에게 확대하고자 하는 논리와 연계해서 읽어낼 수 있다. 관료주의 정치를 비판하며 농촌경제의 민주성을 강조하기도 하고, 계몽에서도 민주주의 사상이 중심이 되어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
농촌경제의 문제를 정치적 쟁점으로 끌어내어 실정(失政)을 비판하였지만 1950년대 후반에서는 점차 사회문화적 접근으로 농촌계몽과 농민의식변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농촌 계몽과 협동심의 강조, 그리고 문화적 교양 함양을 독려하는 글들이 눈에 띄게 늘어나며, 농촌문제를 개인의 영역으로 축소시키는 경향을 보인다.
『사상계』에 나타난 농촌담론을 통하여 당대의 지식인들은 농촌문제를 정책적인 문제로, 그리고 농촌을 공업화를 위한 계도의 공간으로 인식했음을 알 수 있다. 농촌문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지만, 그 문제의 핵심에서는 거리를 두고 있는 사상계 지식인들에게, 농촌은 정치적으로 변해야 하는 계몽의 공간이었던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examined the rural recognition of intellectuals through analyzing the rural discourse of Sasangge in the 1950’s. It made us to find out the heart of rural problems and its solutions which the intellectuals had presented in Sasangge throu...
This thesis examined the rural recognition of intellectuals through analyzing the rural discourse of Sasangge in the 1950’s. It made us to find out the heart of rural problems and its solutions which the intellectuals had presented in Sasangge through various discourses about the farmland reform law, the assistance of USA, the rural democracy and enlightenment drive.
They focused incompetency and corrupt of the Liberal Party’s government because they had thought that the rural problems resulted from a land reform, a high interest-rate debt and surplus farm produce of USA. When we also analyze the rural discourse in Sasangge, we can find that intellectuals’ viewpoints of those days devoted to productionism and technologism.
The consistent thought was democracy in Sasangge’s rural discourses. We can read it to connect with American value. When they criticized bureaucracy, they also emphasized democracy in rural economy. So they stressed democracy to be the center of enlightenment.
They criticized misgovernment to take political issues out problems of rural economy, however, they had gradually focusing enlightenment of a rural community and change of farmer’s consciousness by sociocul tural approach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950’s. So we can find there were increasing texts, which emphasized enlightenment of a rural community, cooperative spirit, and cultural education. It made the rural problems of an individual area.
We know that the intellectuals of those days recognized the rural problems as political problems, and a rural community as the space where they lead to industrialize through the rural discourse in Sasangge.
A rural community was the space of enlightenment which should change to be political for the intellectuals of those days. Because they kept their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problems even though they recognized how the rural problems were important, and tried to find their solu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상환, "현행 토지문제의 성격과 해결방향, in 한국농업 농민문제연구1" 연구사 1988
2 이대근, "해방후 1950년대의 경제" 삼성경제연구소 2002
3 왕인근, "한국종촌개발연구" 박영사 1982
4 김흥상, "한국자본주의와 농업문제" 아침 1986
5 한국사회사연구회, "한국의 사회제도와 농촌사회의 변동" 문학과 지성사 1992
6 이만갑, "한국농촌사회연구" 다락원 1981
7 이문영, "한국농업의 구조와 농촌현실" 문학예술사 1985
8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한국농업문제의 이해" 한길사 1990
9 주봉규, "한국농업경제사 연구" 선진문화사 1994
1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업 농촌 100년사 하" 농림부 2003
1 장상환, "현행 토지문제의 성격과 해결방향, in 한국농업 농민문제연구1" 연구사 1988
2 이대근, "해방후 1950년대의 경제" 삼성경제연구소 2002
3 왕인근, "한국종촌개발연구" 박영사 1982
4 김흥상, "한국자본주의와 농업문제" 아침 1986
5 한국사회사연구회, "한국의 사회제도와 농촌사회의 변동" 문학과 지성사 1992
6 이만갑, "한국농촌사회연구" 다락원 1981
7 이문영, "한국농업의 구조와 농촌현실" 문학예술사 1985
8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한국농업문제의 이해" 한길사 1990
9 주봉규, "한국농업경제사 연구" 선진문화사 1994
1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업 농촌 100년사 하" 농림부 2003
11 정승진, "한국농업 근현대사" 農村振興廳 2008
12 정승진, "한국농업 근현대사" 農村振興廳 2008
13 박현채, "한국경제와 농업" 까치 1983
14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한국 자본주의와 농촌사회" 사회문화연구소 1991
15 최재석, "한국 농촌사회 변동 연구" 일지사 1988
16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 농업:농촌 100년사 하" 농림부 2003
17 임영태, "대한민국50년사" 들녘 1998
18 홍동식, "농촌사회학의 이해" 법문사 1988
19 강대기, "농촌사회학" 법문사 1982
20 황연수, "농업정책과 농가소득구조의 변화, in 농촌사회의 전통과 구조변동"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8 : 1991
21 박진환, "경제발전과 농촌경제" 박영사 1987
22 "『사상계』(1953년~1962년)"
23 허은, "1950년대 후반 지역사회개발사업과 미국의 한국 농촌사회 개편 구상" 고려사학회 (17) : 275-312, 2004
24 김대환, "1950년대 한국경제의 연구, in 1950년대 인식" 한길사
25 배인철, "1950년대 경제정책과 자본축적, in 한국사 18" 한길사
26 박태균, "1950년대 경제 개발론 연구" 한국사회사학회 (61) : 7-249, 2002
〈자린고비 설화〉의 독해 방식과 ‘과장담(誇張譚)’의 문화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6 | 0.76 | 0.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 | 0.79 | 1.814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