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오피아 내시의 전도이야기는 두 가지 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 첫째, 최초의 이방인 선교에 대한 보도이기 때문이다. 저벨(J. Jervell)등과 같은 학자들은 그를 유대교 개종인으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41618
2013
Korean
빌립 ; 에디오피아 내시 ; 하나님의 선교 ; 하나님 중심주의 ; 인도(引導)신학 ; Philip ; The Ethiopian Eunuch ; Missio Dei ; theocentric ; Theology of Leading
KCI등재
학술저널
721-750(30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에디오피아 내시의 전도이야기는 두 가지 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 첫째, 최초의 이방인 선교에 대한 보도이기 때문이다. 저벨(J. Jervell)등과 같은 학자들은 그를 유대교 개종인으로 ...
에디오피아 내시의 전도이야기는 두 가지 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 첫째, 최초의 이방인 선교에 대한 보도이기 때문이다. 저벨(J. Jervell)등과 같은 학자들은 그를 유대교 개종인으로 간주하지만, 오히려 그는 이방인, 즉 하나님을 경외하는 사람이다. 왜냐하면, 사마리아 선교와 고넬료 전도 사이에 위치한 본문의 위치와 당시 통념으로 이방인 출신의 내시가 유대교로 개종하는 것은 매우 어려워 보이기 때문이며, 마지막으로 고넬료의 전도 이야기와 본문의 이야기가 많은 병행을 가지며 유사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본문이 중요한 이유는, 하나님의 선교와 하나님 주도의 장벽 허물기가 현저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사도행전 전반에 드러난 하나님의 역사의 주관자 되심과 하나님의 주도적 장벽 허물기는 본문에서 ‘인도신학(引導神學)’으로서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이 때 전도자 빌립은 하나님(성령)의 지시와 명령에 적극적으로 순종하는 자로 나타난다. 그리고 에디오피아 내시의 수세 상황에서 세례받기에 전혀 ‘거리낌’이 없다는(8:36) 언급은 다시 한 번 누가의 보편주의적 관점과 아울러 하나님의 장벽허물기를 잘 보여준다. 본 단락에서 “주의 사자”(8:26)와 “성령”(8:29) 등의 초자연적 명령이 명확히 드러나고 빌립의 모습이 앞선 사마리아 선교에 비해 더욱 수동적으로 드러나는 이유는 역으로 에디오피아 내시가 가지고 있는 인간적인 장벽이 그만큼 높았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리고 이러한 하나님을 경외하는 이방인에 대한 수용은 베드로를 유대 지역에서의 정식선교사로 간주하고자 하는 누가의 의지를 따라 고넬료 사건 이후에야 승인됨을 볼 수 있다(행 11:18).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창교, "전도자 빌립과 에디오피아 내시의 회심이야기(행 8:26- 40)" 21 : 65-88, 2012
2 정창교, "유럽으로 향하는 발걸음" 17 : 119-143, 2008
3 박수암, "신약주석 사도행전" 대한기독교서회 2006
4 Moyise, S., "신약의 구약사용 입문" 기독교문서선교회 2011
5 김득중, "스데반과 빌립: 그들의 정체와 신학" 53 : 36-58, 2005
6 박흥순, "사도행전의 첫 이방 기독교인에 관한 연구" 한국신약학회 16 (16): 891-924, 2009
7 포웰, 마크 A., "사도행전 신학" 기독교문서선교회 2000
8 윤철원, "사도행전 다시읽기" 한국성서학연구소 2006
9 Haenchen, E, "사도행전 I" 한국신학연구소 1989
10 이승호, "사도행전" 한국장로교출판사 2008
1 정창교, "전도자 빌립과 에디오피아 내시의 회심이야기(행 8:26- 40)" 21 : 65-88, 2012
2 정창교, "유럽으로 향하는 발걸음" 17 : 119-143, 2008
3 박수암, "신약주석 사도행전" 대한기독교서회 2006
4 Moyise, S., "신약의 구약사용 입문" 기독교문서선교회 2011
5 김득중, "스데반과 빌립: 그들의 정체와 신학" 53 : 36-58, 2005
6 박흥순, "사도행전의 첫 이방 기독교인에 관한 연구" 한국신약학회 16 (16): 891-924, 2009
7 포웰, 마크 A., "사도행전 신학" 기독교문서선교회 2000
8 윤철원, "사도행전 다시읽기" 한국성서학연구소 2006
9 Haenchen, E, "사도행전 I" 한국신학연구소 1989
10 이승호, "사도행전" 한국장로교출판사 2008
11 정창교, "바울의 비시디아 안디옥 설교 연구" 16 : 165-191, 2007
12 Brodie, T. L., "Towards Unraveling the Rhetorical Imitation of Source in Acts: 2 Kgs 5 as One Component of Acts 8,9-40" 67 : 377-386, 1989
13 Specncer, F. S., "The Portrait of Philip in Acts: Study of Role and Relations" Scheffield Academic Press 1992
14 Tannehill, Robert C., "The Narrative Unity of Luke-Acts: A Literary Interpretation, vol. two: The Acts of the Apostles" Fortress 1990
15 Sanders, J. T., "The Jews in Luke-Acts" Fortress Press 1987
16 Wilson, Stephen G., "The Gentiles and the Gentile Mission in Luke-Ac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3
17 Tyson, Joseph B., "The Gentile Mission and the Authority of Scripture in Acts" 33 : 619-631, 1987
18 Reeves, K. H., "The Ethiopian Eunch: A Key Transition from Hellenist to Gentile Mission (Acts 8:26-40), In Mission in Acts. American Society of Missiology Series, No. 34" Orbis Books 2006
19 Witherington, Ben, III, "The Acts of the Apostles: A Socio-Rhetorical Commentary" Wm. B. Eerdmans 1998
20 Barrett, C. K., "The Acts of the Apostles, In I/II. ICC" T& T Clark 1998
21 Fitzmyer, J. A., "The Acts of the Apostles, In AncB 31" Doubleday 1998
22 Johnson, L. T., "The Acts of Apostles, In SACRA PAGINA V.5" The Liturgical Press 1992
23 Metzger, B. M.,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Deutsche Bibelgesellschaft 1995
24 Wall, R. W., "Successors to ‘the Twelve’ According to Acts 12:1-17" 53 : 628-642, 1991
25 Cassidy, Richard J., "Society and politics in the Acts of the Apostles" Maryknoll 1987
26 Bruce, F. F., "Philip and the Ethiopian" 34 : 377-386, 1989
27 O’Toole, R. F., "Philip and the Ehiopian Eunuch (Acts viii, 25-40)" 17 : 25-34, 1983
28 Thompson, Alan J., "One Lord, one people: the Unity of the church in Acts in its literary setting" 2008
29 Bauernfeind, Otto, "Kommentar und Studien zur Apostelgeschichte, In WUNT 20" 1980
30 Eusebius, "Historia Ecclesiastica"
31 Gaventa, Beverly R., "From Darkness to Light: Aspects of Conversion in the New Testament, In Overtures to Biblical Theology 20" Fortress Press 1986
32 Grassi, J. A., "Emmaus Revisited (Luke 24,13-35 and Acts 8:26-40)" 26 : 463-467, 1964
33 Dunn, J. Unity, "Diversity in the New Testament" SCM Press 2006
34 Jeong, C. K., "Die Auferstehung in der Apostelgeschichte" Cuvillier Verlag Goettingen 2005
35 Eckey, W., "Die Apostelgeschichte. 2 Bde, In Der Weg des Evangeliums von Jerusalem nach Rom" Neukirchener 2000
36 Weiser, A., "Die Apostelgeschichte, In ÖTK V/1-2" Verlaghaus Gerd Mohn 1985
37 Kliesch, K., "Die Apostelgeschichte, In SKK NT 5" Katholisches Bibelwerk 1986
38 Stählin, G., "Die Apostelgeschichte, In NTD 5" V&R 1966
39 Roloff, J., "Die Apostelgeschichte, In NTD 5" V&R 1988
40 Mussner, F., "Die Apostelgeschichte, In NEB NT 5" Echter Verlag 1984
41 Jervell, J., "Die Apostelgeschichte, In KEK 3" V&R 1998
42 Schneider, G., "Die Apostelgeschichte, In HThK V/1-2" Verlag Herder 1982
43 Conzelmann, H., "Die Apostelgeschichte, In HNT 7" Paul Siebeck 1972
44 Pesch, R., "Die Apostelgeschichte, In EKK 5-2 Bde" Benziger Verlag 1986
45 Schille, G., "Die Apostelgeschichte des Lukas, In ThHK 5" Evangelisches Verlagsanstalt Berlin 1983
46 Zmijewski, J., "Die Apostelgeschichte" Pustet 1994
47 Von Dobbeler, A., "Der Evangelist Philippus, In TANZ 30" Verlag Francke 1999
48 Van Unnik, W. C., "Der Befehl an Philippus" 47 : 181-191, 1956
49 Lu¨demann, G., "Das fru¨he Christentum nach den Traditionen der Apostelgeschichte, In Ein Kommentar" V&R 1987
50 Philips, Th. E., "Contemporary Studies in Acts" Mercer University Press 2009
51 Josephus, F., "Antiquitates Judaicae"
52 Bock, Darrell L., "Acts" Baker Academic 2007
53 Martin, C. J., "A Chamberlain’s Journey and the Challenge of Interpretation for Liberation" 47 : 105-135, 1989
예수는 어떻게 한국에서 민족과 반공의 아이콘이 되었는가?
잃은 양 비유(마 18:12-14)에 대한 해석학적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3 | 0.23 | 0.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3 | 0.23 | 0.586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