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수는 어떻게 한국에서 민족과 반공의 아이콘이 되었는가? = 한국 교회의 민족/반공담론에 나타난 예수像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416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격동의 현대사 속에서 형성된 한국인의 예수담론들이 어떻게 신약성서의 예수 이야기를 재배치하고 재구성하여 한국교회와 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을 상징적으로 해소시켰는지를 분석한다. 따라서 이 글은 1905년부터 1950년대까지 한국 개신교의 형성과 성장기에 생산된 한국인들의 예수 담론들 속에 내장된 정치적 무의식을 살펴보았다. 그 동안 한국교회를 지배해 온 교리중심의 예수이해를 넘어 한국인의 종교, 문화적 심성과 정치사회적 맥락 속에서 형성되고, 유통된 한국적 예수이해(Korean Jesus)의 한 단면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 개신교회가 신약성서에 등장하는 예수의 서사와 이미지를 민족과 반공 이데올로기를 합법화하기 위해 어떻게 동원하고 전유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일제 강점기에 한국교회는 예수를 통해 민족을 발견한다. 복음서에 등장하는 역사적 예수의 유대성(Jewishness)에 주목하며, 기독교 민족주의자들은 민족의 고난속에 현존하는 그리스도를 증언하고자 했다. 고난 받는 예수상은 대중적인 파급력을 지니며 일제의 가혹한 식민지배에 시달리는 조선민중들을 위무할 수 있는 신앙적 파토스를 제공할 수 있었다.
      한편 일제 말기 신사참배에 굴복한 한국의 주류 개신교회는 자신들의 수치심을 반공주의로 전이시킨다. 복음서에 등장하는 예수의 갈등 이야기와 계시록의 적그리스도의 이미지를 전유하여 반공의 기표로 사용한다. 가령 이명직, 한경직, 황은균 등과 같은 개신교 지도자들은 계 12:3에 등장하는 붉은 용을 공산주의와 동일시한다. 또한 이들은 복음서에 등장하는 예수의 갈등 이야기를 반공담론의 기독교적 전거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처럼 한국 개신교회는 성서의 묵시문학에 등장하는 극단적인 이원론과 선민사상을 무비판적으로 전용하여 반공의 종교적 기표로 사용하였다. 또한 복음서에 등장하는 예수의 갈등 이야기(마 4:1-11; 눅 22:26)를 복음서 저자의 신학적 의도와는 무관하게 반공 이데올로기를 강화하는데 이용한다. 이처럼 일제의 강점기와 한국전쟁을 통해 예수는 민족과 반공의 아이콘이 되어 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예수의 이야기를 이데올로기적으로 전유하는 것은 한국교회가 직면한 현실적인 문제들을 종교적 로망스로 전이시키고, 퇴거시킨다는 문제점을 드러낸다. 따라서 이 글은 지난 시기 한국교회가 생산한 예수담론들이 지닌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규명하는 함으로써 한국교회가 예수를 통해 무엇을 욕망했는가를 살피고자 했다.이는 예수를 한시적인 이념으로 우상화 했던 우리의 과거를 반성하는 일이도 하다.
      번역하기

      이 글은 격동의 현대사 속에서 형성된 한국인의 예수담론들이 어떻게 신약성서의 예수 이야기를 재배치하고 재구성하여 한국교회와 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을 상징적으로 해소시켰는지를 분...

      이 글은 격동의 현대사 속에서 형성된 한국인의 예수담론들이 어떻게 신약성서의 예수 이야기를 재배치하고 재구성하여 한국교회와 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을 상징적으로 해소시켰는지를 분석한다. 따라서 이 글은 1905년부터 1950년대까지 한국 개신교의 형성과 성장기에 생산된 한국인들의 예수 담론들 속에 내장된 정치적 무의식을 살펴보았다. 그 동안 한국교회를 지배해 온 교리중심의 예수이해를 넘어 한국인의 종교, 문화적 심성과 정치사회적 맥락 속에서 형성되고, 유통된 한국적 예수이해(Korean Jesus)의 한 단면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 개신교회가 신약성서에 등장하는 예수의 서사와 이미지를 민족과 반공 이데올로기를 합법화하기 위해 어떻게 동원하고 전유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일제 강점기에 한국교회는 예수를 통해 민족을 발견한다. 복음서에 등장하는 역사적 예수의 유대성(Jewishness)에 주목하며, 기독교 민족주의자들은 민족의 고난속에 현존하는 그리스도를 증언하고자 했다. 고난 받는 예수상은 대중적인 파급력을 지니며 일제의 가혹한 식민지배에 시달리는 조선민중들을 위무할 수 있는 신앙적 파토스를 제공할 수 있었다.
      한편 일제 말기 신사참배에 굴복한 한국의 주류 개신교회는 자신들의 수치심을 반공주의로 전이시킨다. 복음서에 등장하는 예수의 갈등 이야기와 계시록의 적그리스도의 이미지를 전유하여 반공의 기표로 사용한다. 가령 이명직, 한경직, 황은균 등과 같은 개신교 지도자들은 계 12:3에 등장하는 붉은 용을 공산주의와 동일시한다. 또한 이들은 복음서에 등장하는 예수의 갈등 이야기를 반공담론의 기독교적 전거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처럼 한국 개신교회는 성서의 묵시문학에 등장하는 극단적인 이원론과 선민사상을 무비판적으로 전용하여 반공의 종교적 기표로 사용하였다. 또한 복음서에 등장하는 예수의 갈등 이야기(마 4:1-11; 눅 22:26)를 복음서 저자의 신학적 의도와는 무관하게 반공 이데올로기를 강화하는데 이용한다. 이처럼 일제의 강점기와 한국전쟁을 통해 예수는 민족과 반공의 아이콘이 되어 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예수의 이야기를 이데올로기적으로 전유하는 것은 한국교회가 직면한 현실적인 문제들을 종교적 로망스로 전이시키고, 퇴거시킨다는 문제점을 드러낸다. 따라서 이 글은 지난 시기 한국교회가 생산한 예수담론들이 지닌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규명하는 함으로써 한국교회가 예수를 통해 무엇을 욕망했는가를 살피고자 했다.이는 예수를 한시적인 이념으로 우상화 했던 우리의 과거를 반성하는 일이도 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예수와 민족담론의 형성
      • III. 적그리스도와 반공담론의 형성
      • IV. 나오는 말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예수와 민족담론의 형성
      • III. 적그리스도와 반공담론의 형성
      • IV. 나오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흥수, "해방후 북한교회사" 다산글방 1992

      2 서동수, "한국전쟁기 문학담론과 반공프로젝트" 소명출판 2012

      3 김흥수, "한국전쟁과 기복신앙확산 연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9

      4 강인철, "한국의 개신교와 반공주의" 중심 2007

      5 강인철, "한국기독교회와 국가, In 시민사회 1945-1960"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3

      6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7 김양선, "한국기독교 해방 10년사"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종교교육부 1956

      8 임영천, "한국 현대문학과 기독교" 태학사 1995

      9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 기독교의 역사 I" 기독교문사 1989

      10 보그, 마커스 J., "첫 번째 바울의 복음" 한국기독교연구소 2010

      1 김흥수, "해방후 북한교회사" 다산글방 1992

      2 서동수, "한국전쟁기 문학담론과 반공프로젝트" 소명출판 2012

      3 김흥수, "한국전쟁과 기복신앙확산 연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9

      4 강인철, "한국의 개신교와 반공주의" 중심 2007

      5 강인철, "한국기독교회와 국가, In 시민사회 1945-1960"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3

      6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7 김양선, "한국기독교 해방 10년사"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종교교육부 1956

      8 임영천, "한국 현대문학과 기독교" 태학사 1995

      9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 기독교의 역사 I" 기독교문사 1989

      10 보그, 마커스 J., "첫 번째 바울의 복음" 한국기독교연구소 2010

      11 윤치호, "찬미가" 광학서포 1908

      12 박종현, "일제하 한국교회 신앙구조" 한들출판사 2004

      13 서정민, "이동휘와 기독교-한국기독교와 사회주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14 본회퍼, 디이트리히, "옥중서간" 대한기독교서회 1983

      15 정승우, "예수 역사인가 신화인가" 책세상 2005

      16 김진호, "시민 K, 교회를 나가다" 현암사 2012

      17 황석영, "손님" 창작과 비평사 2002

      18 앤더슨, 베네딕트, "상상의 공동체" 나남 2003

      19 페이절스, 일레인, "사탄의 탄생" 루비박스 2006

      20 서중석, "복음서의 예수와 공동체의 형태" 이레서원 2007

      21 정승우, "로마서의 예수와 바울" 이레서원 2008

      22 함석헌, "뜻으로 본 한국역사" 한길사 2003

      23 김인서, "김인서 저작 전집, 제2권" 신망애사 1976

      24 허호익, "길선주 목사의 목회와 신학사상" 대한기독교서회 2009

      25 김창준, "기독교 민족사회주의자 김창준 유고"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 박물관 2011

      26 민경배, "교회와 민족" 대한기독교출판사 1981

      27 한경직, "건국과 기독교" 보린원 1949

      28 길선주, "강대보감" 동명서관 1926

      29 Gowler, David B., "What Are They Saying About the Historical Jesus?" Paulist Press 2007

      30 Schweitzer, Albert, "The Quest of the Historical Jesus" Macmillan Publishing Co 1968

      31 권연경, "The Politics of Jesus" IVP 2007

      32 Jameson, Fredric, "The Political Unconscious: Narrative as a Socially Symbolic Act" Cornell University Press 1981

      33 Pagels, Elaine, "The Origin of Satan" Penguin Books 1995

      34 Sanders, E. P., "The Historical Figure of Jesus" Penguin 1993

      35 Bockmuehl, Markus, "The Epistle to the Philippians, In Black’s New Testament Commentaries" A &C Black 1997

      36 Vermes, Geza, "Jesus the Jew" SCM Press 1973

      37 Nicholis, Stephen J., "Jesus made in America" IVP Academic 2008

      38 Fox, Richard W., "Jesus in America: Personal Savior, Cultural Hero, National Obsession" Harper San Francisco 2005

      39 Sanders, E. P., "Jesus and Judaism" Fortress Press 1985

      40 Benjamin, Walter, "Illuminations: Essays and Reflections" Schocken Books 196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586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