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독도 화산체 정상부해역의 정밀해저지형 및 지구물리학적 특성 연구 = A Study on Detailed Bathymetry and Geo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mmit of the Dokdo Volcan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695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까지 수행된 독도 화산체 정상부 해역의 정밀수심 및 지구물리 조사 자료를 종합하고 분석하여 정상부 해역의 정밀해저지형 및 지구물리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독도 연안...

      본 연구는 현재까지 수행된 독도 화산체 정상부 해역의 정밀수심 및 지구물리 조사 자료를 종합하고 분석하여 정상부 해역의 정밀해저지형 및 지구물리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독도 연안역 동도와 서도 사이 연결 수로는 약 10 m 이내의 얕은 수심을 이루고 있다. 독도 화산체 정상부해역의 전체적인 수심은 동도와 서도의 육지부부터 수면 아래 약 30 m 까지는 불규칙하며 급한 경사면을 가지고, 그 후 수심 약 30 m부터 수심 약 80 m 까지는 경사가 점차 낮아지다가 수심 약 80 m 이하로 완만한 경사를 보이면서 외해역으로 깊어진다. 독도 육지부와 그 북동쪽 및 북서쪽으로 연장되는 암반들은 독도를 생성시킨 화구륜의 잔해로 판단되며 동도와 서도는 화구륜의 남쪽 한부분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정상부 해역의 해저지형에서는 소규모의 움푹 패인 지형들이 나타나는데 이는 독도 형성 후 나중에 생성된 소규모 분화구의 흔적들로 추정된다. 독도 정상부 해역은 주로 암반이 많이 분포하지만 곳곳에서는 모래 퇴적층들도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독도 화산체 정상부에는 계단형의 경사면들이 나타나는데 이는 제4 기에 나타난 해침, 해퇴 등 해수면변화에 의해 만들어진 해저단구로 유추되며, 지역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주로 약 30 m, 60 m, 80 m 및 약 100 m의 수심대를 위주로 하여 몇 개의 주요 해저단구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자기이상도 및 아날니틱신호도를 살펴보면 수면 위 독도에서 연장되는 북동 및 북서쪽의 이상대들은 화구륜의 잔해로 예상되는 암반들의 위치와 유사하게 나타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studied the detailed bathymetry and the geo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mmit of the Dokdo volcano using mutibeam echosounding and geophysical survey data. The bathymetry around the main east and west islets of the Dokdo volcano shows very shal...

      We studied the detailed bathymetry and the geo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mmit of the Dokdo volcano using mutibeam echosounding and geophysical survey data. The bathymetry around the main east and west islets of the Dokdo volcano shows very shallow within about 10 m water depth. From near islets to about 30 m b.s.l., the shallow water area has very steep slope and many irregular sunken rocks. The area from about 30 m to about 80 m b.s.l. shows gentle rises and falls, and less steep slope. The area from 80 m b.s.l. has gradually flat undulation and smooth slope seabaed and is extended to offshore. The main islets of the Dokdo volcano and the rocky sea bottom elongated from the islets might be the residual part of the eroded and collapsed main crater of the Dokdo volcano. The bathymetry and the seafloor image(from backscattering) data show small craters, assumed to be formed by the eruption of later volcanism. The seafloor images propose that, except some areas with shallow sand sedimentary deposits, there are typical rocky bottom such as rocky protrusions and lack of sediments in the main morphology of the survey area. The stepped slopes of the seabed are deduced to be submarine terraces. The several prominent submarine terraces are found at the summit of the Dokdo volcano, suggesting repetition of sea level changes(transgressions and regressions) in the Quaternary. The results of the magnetic anomaly and the analytic signal have a good coherence with other geophysical consequences regarding to the location of the residual crat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환, "중력자료를 이용한 울릉분지 북동부의 독도해산들에 관한 연구" 대한지질학회 41 (41): 523-531, 2005

      2 송용선, "울릉도와 독도 화산암의 생성연대 및 진화사" 한국암석학회 15 (15): 72-80, 2006

      3 김창렬, "물리탐사기법의 독도 지반조사 적용"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11 (11): 335-342, 2008

      4 정진현, "동해 독도 사면 퇴적물의 높은 재광물화와 탈질소화" 한국해양학회 14 (14): 80-89, 2009

      5 강지현, "독도해산의 사면침식으로 인한 지형변화" 대한지리학회 43 (43): 791-807, 2008

      6 우경식, "독도주변 탄산염퇴적물의 분포와 성인: 예비조사 결과" 한국해양학회 14 (14): 171-180, 2009

      7 전영권, "독도의 지형지(地形誌)" 한국지역지리학회 11 (11): 19-28, 2005

      8 황상구, "독도 화산의 분출윤회와 화산형태"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36 (36): 527-536, 2003

      9 현상민, "독도 주변해역에 대한 표층퇴적물 분포특성과 해저지형" 대한지질학회 46 (46): 647-660, 2010

      10 허식, "독도 주변 해역의 지구조와 퇴적환경" 대한지구물리학회 8 (8): 131-135, 2005

      1 김창환, "중력자료를 이용한 울릉분지 북동부의 독도해산들에 관한 연구" 대한지질학회 41 (41): 523-531, 2005

      2 송용선, "울릉도와 독도 화산암의 생성연대 및 진화사" 한국암석학회 15 (15): 72-80, 2006

      3 김창렬, "물리탐사기법의 독도 지반조사 적용"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11 (11): 335-342, 2008

      4 정진현, "동해 독도 사면 퇴적물의 높은 재광물화와 탈질소화" 한국해양학회 14 (14): 80-89, 2009

      5 강지현, "독도해산의 사면침식으로 인한 지형변화" 대한지리학회 43 (43): 791-807, 2008

      6 우경식, "독도주변 탄산염퇴적물의 분포와 성인: 예비조사 결과" 한국해양학회 14 (14): 171-180, 2009

      7 전영권, "독도의 지형지(地形誌)" 한국지역지리학회 11 (11): 19-28, 2005

      8 황상구, "독도 화산의 분출윤회와 화산형태"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36 (36): 527-536, 2003

      9 현상민, "독도 주변해역에 대한 표층퇴적물 분포특성과 해저지형" 대한지질학회 46 (46): 647-660, 2010

      10 허식, "독도 주변 해역의 지구조와 퇴적환경" 대한지구물리학회 8 (8): 131-135, 2005

      11 박찬, "독도 암석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암반공학회 18 (18): 69-79, 2008

      12 송영석, "독도 동도지역의 토질특성 및 산사태가능성 조사" 대한지질공학회 17 (17): 665-671, 2007

      13 황상일, "독도 동도 서쪽 해안의 타포니 지형 발달" 한국지역지리학회 13 (13): 422-437, 2007

      14 심성호, "독도 괴상 응회질 각력암층에서 나타나는 화산암편의 암석학적 특성과 기원" 한국암석학회 19 (19): 141-156, 2010

      15 강무회, "東海 獨島周邊 海山의 地球物理學的 特性" 한국해양학회 7 (7): 6-285, 2002

      16 Song, W.O, "The study of on land and marine environments and ecosystems of Dokdo"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385-600, 2000

      17 Kim, K.H, "K-Ar ages and Nd-Sr isotopes of Dokdo alkali volcanic rocks in the East Sea, South Korea" 36 : 313-324, 2000

      18 Kwon, I.K, "I. Sequence stratigraphy of the Taebaek Group (Cambrian-Ordovician), mideast Korea. II. Seismic stratigraphy of the western South Korea Plateau, East Sea"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5

      19 Sohn, Y.K, "Geology and evolution of Tok Island, Korea" 30 : 242-261, 1994

      20 Kim, Y.K, "Fractional Crystallization of the Volcanic Rocks From Dog Island, Korea" 23 : 67-82, 1987

      21 Kim, C.H, "Flexural isostasy and loading sequence of the Dokdo seamounts on the Ulleung Basin in the East Sea (Sea of Japan)" 35 : 459-468, 2009

      22 Kim, C.H, "Evolution of the Dok Do seamounts, Ulleung Basin, East Sea: constraints based on the reconstruction of virtual geomagnetic poles using paleomagnetic data" 29 : 161-169, 2009

      23 Zintzen, V, "Biodiversity of shipwrecks from the Southern Bight of the North Sea" UniversitCatholique 2007

      24 Jolivet, L, "Arc deformation and marginal basin opening: Japan Sea as a case study" 96 : 4367-4384, 1991

      25 Kang, M. H., "3D gravity modelling for Anyongbok Seamount in the East Sea" 28 : 257-269,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7 0.62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