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 핵·장거리탄도미사일 능력 고도화에 따른 군사적 대응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Military Response against the build up of North Korea’s nuclear and long range ballistic missile cap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968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threat of North Korea's nuclear use is increasing with build up of North Korea's nuclear and long range ballistic missile capabilities, the United States declared that it can curb North Korea's nuclear use by showing their ability and will to p...

      As the threat of North Korea's nuclear use is increasing with build up of North Korea's nuclear and long range ballistic missile capabilities, the United States declared that it can curb North Korea's nuclear use by showing their ability and will to project nuclear proliferation deterrence forces.
      However, if the deterrence fails and North Korea conducts a nuclear attack on South Korea, it may not be politically easy decision for the United States to take immediate retaliation. It is because the United States may get nuclear attack on its mainland from NK.
      Futhermore, the ROK military is now developing the korean-three axis system as a mean to deter North Korea's nuclear use. But it will take more than three years to complete at the earliest and needs a huge budget. And even if it is completed, I doubt that it will be possible to offset North Korea's nuclear capability by using the korean-three axis system with conventional weapon.
      The United States may also consider preventive attacks on North Korea as a extreme way. However, to do this, the United States and China need to cooperate in advance. Moreover, G2 have a risk that a war may break out. So, given the current situation, the ROK need a strategic game changer that will make North Korea give up its nuclear program.
      Even though our government is currently trying to solve the North Korea's nuclear issue under the direction of dialogue and pressure,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military option like tactical nuclear deployment or nuclear power against worst scenario.
      By doing so, the ROK can minimize the interference and influence from the surrounding superpowers, realize the self defense they desire, and become a truly strong nation which can decide their own destiny on this Korea peninsul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북한 핵·장거리 미사일 능력 고도화에 따라 북한의 핵사용 위협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은 핵확장억제 전력을 투사할 능력과 의지를 보여줌으로써 북한의 핵사용을 억제할 수 ...

      북한 핵·장거리 미사일 능력 고도화에 따라 북한의 핵사용 위협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은 핵확장억제 전력을 투사할 능력과 의지를 보여줌으로써 북한의 핵사용을 억제할 수 있다고 선언하고 있다.
      그러나 만약 억제가 실패하여 북한이 남한에 대한 핵공격을 자행했을 경우, 북한의 미본토에 대한 핵공격을 감수하고 미국이 즉각적인 보복에 나서기란 정치적으로 쉽지 않을 것이다.
      더욱이 한국군이 북한 핵사용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한국형 3축체계를 발전시켜나가고 있는데 이것은 빨라야 3년 이상의 시간이 걸릴 뿐 만 아니라 막대한 예산이 소요된다. 나아가 이것이 완성되었다하더라도 과연 재래식 무기위주의 전력으로 북한의 핵능력과 의지를 상쇄시킬 수 있을지 의문이다.
      또한 미국이 극단적인 방법으로 선제적인 예방공격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하지만 이것은 미중이 사전공조가 필요하고 뜻하지 않은 전쟁을 감수해야 하는 리스크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지금의 이러한 상황을 냉정하게 평가해 볼 때, 우리가 전략적으로 북한의 핵을 포기하게 하거나 핵사용을 억제할 수 있는 게임체인저가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현재 정부가 대화와 압박의 기조로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하더라도 다른 트랙에서는 최악의 상황에 대비하여 군사적으로 전술핵 재배치를 미국과 협상테이블에 놓고 설득해나가야 하며 차선책으로 비공개적인 핵무장을 준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주변강대국으로부터 간섭과 영향력을 최소화하여 우리가 원하는 자주국방을 실현시키고 이 한반도에서 우리가 우리의 운명을 우리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실질적인 자강을 이루어낼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성택, "핵무장을 넘보는 일본의 핵능력" 통일연구원 2012

      2 합동군사대학교, "합동군사전략, 전략이론 교재" 2017

      3 강인선, "중국, 북문제 안나서면 핵무장한 한국 보게될 것"

      4 이수형, "전술핵 재배치 찬성논리의 문제점 분석과 정책제언" 국가전략안보연구원 2017

      5 부승찬, "이스라엘의 핵개발 결정과 핵전략(포위심성의 적용), 국가전략" 2017

      6 김경민, "북핵·일본핵을 말하다" 가나북스 2013

      7 박창권, "북한의 핵운용전략과 한국의 대북 핵억제전략" 한국국방연구원 30 (30): 155-196, 2014

      8 김보미, "북한의 핵선제불사용(No First Use) 선언의 배경과 의미"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3 (23): 39-66, 2016

      9 이춘근, "북한의 대륙간 탄도미사일과 핵무기 보유의 군사전략적 의미" 시대정신 2017

      10 한윤기, "북한의 급변사태의 전략적 대응방안" 2017

      1 신성택, "핵무장을 넘보는 일본의 핵능력" 통일연구원 2012

      2 합동군사대학교, "합동군사전략, 전략이론 교재" 2017

      3 강인선, "중국, 북문제 안나서면 핵무장한 한국 보게될 것"

      4 이수형, "전술핵 재배치 찬성논리의 문제점 분석과 정책제언" 국가전략안보연구원 2017

      5 부승찬, "이스라엘의 핵개발 결정과 핵전략(포위심성의 적용), 국가전략" 2017

      6 김경민, "북핵·일본핵을 말하다" 가나북스 2013

      7 박창권, "북한의 핵운용전략과 한국의 대북 핵억제전략" 한국국방연구원 30 (30): 155-196, 2014

      8 김보미, "북한의 핵선제불사용(No First Use) 선언의 배경과 의미"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3 (23): 39-66, 2016

      9 이춘근, "북한의 대륙간 탄도미사일과 핵무기 보유의 군사전략적 의미" 시대정신 2017

      10 한윤기, "북한의 급변사태의 전략적 대응방안" 2017

      11 황지환, "북한의 국가 핵전략 사례연구"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13

      12 김재중, "북한 핵무기연구소 성명 전문"

      13 양낙규, "북미사일 핵탄두 개발시사"

      14 양 욱, "북 ICBM, 미본토 위협해 한미동맹 분열속셈"

      15 최아진, "미국의 국가 핵전략 사례연구"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13

      16 권영근, "대한민국의 안보와 자율성에 관한 미국의 인식과 행태 연구: 작전통제권을 중심으로"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3 (23): 91-125, 2016

      17 조갑제, "김정은이 핵카드를 꺼낼 때 대책은 있는가?"

      18 장 용, "군사전략 이론 및 적용" 합동군사대학 2005

      19 합동군사대학교, "국방정책, 정책이론 교재" 2017

      20 Foreign Policy, "Threats to the North Korea Neuclear Crisis" 2017

      21 Wang Jisi, "China’s Search for a Grand Strategy" 2017

      22 전재성, "5차 핵실험 이후의 북한 핵문제와 우리의 대응전략 방향"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육군본부 -> 육군군사연구소
      영문명 : Army Headqarters -> ROK Army of Military History Institute
      KCI등재
      2015-03-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ROK Army of Military History Institute -> ROK Army Military History Institut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50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