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민연금이 저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미시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450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최근 가계저축률의 변화를 살펴보고 공적저축 가입의 가계 사적저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고 경제에 주는 시사점을 구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다소 미흡하였던 불확실성의 효과를 감안한 공적연금 가입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두 가지 경로로 구분하여 직접적인 효과와 간접적인 효과로 식별하였다. 공적연금 가입의 직접적인 저축률에 미치는 효과와 공적연금 가입의 예비적 저축동기 상쇄효과의 합이 공적연금 가입에 따른 저축률 효과라 할 수 있다. 결국 이와 같은 공적저축의 사적저축 대체(구축)효과는 가계가 직면하는 불확실성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실증분석에서는 가계가 직면하는 소비불확실성이 클수록 공적저축의 사적저축 대체(구축)효과는 나타날 가능성이 높지만, 소비 불확실성이 작으면 오히려 공적저축의 존재는 은퇴유발효과를 가져와 사적저축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실증분석 결과에서 보듯이 공적연금 가입의 예비적 저축동기 상쇄효과는 일관되게 음(-)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공적저축의 사회안전망 기능이 현재로서는 제대로 작동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로 판단된다. 따라서 최근 저축률 상승에 있어 예비적 저축동기가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며, 공적연금제도의 불확실성의 확대도 이와 같은 저축동기를 배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본 연구결과는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최근 가계저축률의 변화를 살펴보고 공적저축 가입의 가계 사적저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고 경제에 주는 시사점을 구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다소...

      본 논문에서는 최근 가계저축률의 변화를 살펴보고 공적저축 가입의 가계 사적저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고 경제에 주는 시사점을 구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다소 미흡하였던 불확실성의 효과를 감안한 공적연금 가입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두 가지 경로로 구분하여 직접적인 효과와 간접적인 효과로 식별하였다. 공적연금 가입의 직접적인 저축률에 미치는 효과와 공적연금 가입의 예비적 저축동기 상쇄효과의 합이 공적연금 가입에 따른 저축률 효과라 할 수 있다. 결국 이와 같은 공적저축의 사적저축 대체(구축)효과는 가계가 직면하는 불확실성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실증분석에서는 가계가 직면하는 소비불확실성이 클수록 공적저축의 사적저축 대체(구축)효과는 나타날 가능성이 높지만, 소비 불확실성이 작으면 오히려 공적저축의 존재는 은퇴유발효과를 가져와 사적저축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실증분석 결과에서 보듯이 공적연금 가입의 예비적 저축동기 상쇄효과는 일관되게 음(-)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공적저축의 사회안전망 기능이 현재로서는 제대로 작동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로 판단된다. 따라서 최근 저축률 상승에 있어 예비적 저축동기가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며, 공적연금제도의 불확실성의 확대도 이와 같은 저축동기를 배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본 연구결과는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study patterns of Korean households’ financial strategie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public saving on private saving. In particular, we focus on a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that households face and their saving behaviors. There exist substitution effects between private saving and public saving and the effects can be divided into two separate effects: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The direct effects represent changes in private saving due to enforced public saving such as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whereas the indirect effects represent changes in household precautionary saving due to reduced uncertainty through the enforced public saving. Our empirical evidence shows that the amount of a household’s private saving can be a function of uncertainty. With higher(lower) degree of uncertainty, households are more likely to reduce(increase) private saving with public pensions. We suggest that statistically signifiant negative signs for the substitution effects imply that the enforced public saving plays a role of a social safety net.
      번역하기

      We study patterns of Korean households’ financial strategie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public saving on private saving. In particular, we focus on a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that households face and their saving behaviors. There exist subs...

      We study patterns of Korean households’ financial strategie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public saving on private saving. In particular, we focus on a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that households face and their saving behaviors. There exist substitution effects between private saving and public saving and the effects can be divided into two separate effects: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The direct effects represent changes in private saving due to enforced public saving such as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whereas the indirect effects represent changes in household precautionary saving due to reduced uncertainty through the enforced public saving. Our empirical evidence shows that the amount of a household’s private saving can be a function of uncertainty. With higher(lower) degree of uncertainty, households are more likely to reduce(increase) private saving with public pensions. We suggest that statistically signifiant negative signs for the substitution effects imply that the enforced public saving plays a role of a social safety ne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기존 연구의 개관
      • Ⅲ. 가계저축과 공적저축 추이
      • Ⅳ. 가계저축에 관한 미시적 분석
      • Ⅴ. 결론 및 시사점
      • Ⅰ. 서론
      • Ⅱ. 기존 연구의 개관
      • Ⅲ. 가계저축과 공적저축 추이
      • Ⅳ. 가계저축에 관한 미시적 분석
      • Ⅴ.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경묵,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과제(Ⅰ)" 한국개발연구원 2003

      2 김상호, "연금자산과 가계저축: 한국노동패널을 이용한 실증분석" 한국경제학회 55 (55): 119-142, 2007

      3 박무환, "연금기금의 자산축적이 국민저축에 미치는 영향" 경제연구소 16 (16): 123-174, 2009

      4 김대철, "국민연금제도의 가계저축 구축효과 분석" 한국은행 14 (14): 1-37, 2008

      5 성명기, "국민연금이 소비와 저축에 미치는 영향" 국민연금연구원 2016

      6 윤석명, "국민연금의 사회보장자산(SSW) 추정 및 민간부문 저축에 대한 효과 분석"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13 (13): 113-170, 2007

      7 국민연금연구원, "국민연금과 국민경제" 2017

      8 임병인, "국민 ∙ 퇴직 ∙ 개인연금의 소득계층별 노후소득보장 효과" 보험연구원 16 (16): 89-121, 2005

      9 남광희, "공적연금이 민간저축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연구학회 22 : 29-51, 2008

      10 강성호, "공적연금의 민간저축 구축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가구특성별 접근" 한국은행 11 (11): 135-164, 2005

      1 임경묵,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과제(Ⅰ)" 한국개발연구원 2003

      2 김상호, "연금자산과 가계저축: 한국노동패널을 이용한 실증분석" 한국경제학회 55 (55): 119-142, 2007

      3 박무환, "연금기금의 자산축적이 국민저축에 미치는 영향" 경제연구소 16 (16): 123-174, 2009

      4 김대철, "국민연금제도의 가계저축 구축효과 분석" 한국은행 14 (14): 1-37, 2008

      5 성명기, "국민연금이 소비와 저축에 미치는 영향" 국민연금연구원 2016

      6 윤석명, "국민연금의 사회보장자산(SSW) 추정 및 민간부문 저축에 대한 효과 분석"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13 (13): 113-170, 2007

      7 국민연금연구원, "국민연금과 국민경제" 2017

      8 임병인, "국민 ∙ 퇴직 ∙ 개인연금의 소득계층별 노후소득보장 효과" 보험연구원 16 (16): 89-121, 2005

      9 남광희, "공적연금이 민간저축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연구학회 22 : 29-51, 2008

      10 강성호, "공적연금의 민간저축 구축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가구특성별 접근" 한국은행 11 (11): 135-164, 2005

      11 강성호, "고령화 및 공적연금이 사적저축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 2009

      12 송승주, "개인저축률과 거시경제변수간 관계분석"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2009

      13 Keynes, J. M,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 Harcourt 1936

      14 Cagan, P, "The Effect of Pension Plans on Aggregate Savings" 1965

      15 Phillips, P. C. B, "Statistical Inference in Instrumental Variables Regression with I(1) Processes" 57 : 99-125, 1990

      16 Feldstein, M, "Social Security, Induced Retirement, and Aggregate Capital Accumulation" 82 (82): 905-926, 1974

      17 Feldstein, M, "Social Security and Saving: the Extended Life Cycle Theory" 66 (66): 77-86, 1976

      18 Bernheim, B. Douglas, "Social Security and Personal Saving: An Analysis of Expectations" 79 (79): 97-102, 1989

      19 Attanasio, O. P, "Social Security and Households’ Saving" 1075-1119, 2003

      20 Ferguson Jr., R, "Questions and Reflections on the Personal Saving Rate" 2004

      21 Giles, J, "Precautionary Behavior, Migrant Networks and Household Consumption Decisions: An Empirical Analysis Using Household Panel Data from Rural China" 89 (89): 2007

      22 Blau, D. M, "Pensions, Household Saving, and Welfare: A Dynamic Analysis of Crowd Out" 7 (7): 193-224, 2016

      23 You, S. D, "Housing Finance Mechanisms in the Republic of Korea" UN-Habitat 2009

      24 Friedman, M, "A Theory of the Consumption Function" Princeton Univ. Press 195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81 1.2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