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현대문학 지형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실용화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651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팀은 3년에 걸쳐 국내의 전 지역을 대상으로 문학작품 생산의 원천이 되는 공간을 탐색하였으며, 문학 작품 속의 배경을 현장화 시키고자 하였다.각 년차마다 그 대상으로 한 문학작품 생산의 원천이 되는 공간을 탐색하여 문학 작품 속의 배경을 현장화시켜, 해당 지역 작가들의 작품에 내재된 창작 근원을 찾아보고, 작품에 대한 분석과 문학 현장과의 상관관계를 공고히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각종 개발로 사라져 가는 문학공간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영구히 보존하려는 목적도 있다. 따라서 문학공간에 대한 다양한 이미지 자료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홈페이지에 간략게시 및 출판물과 CD-ROM으로 제작하여, 독자에게 문학을 보다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연결통로를 제시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문학과 문학공간의 상관성을 증명할 수 있었으며, 작가 글쓰기의 근원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서 구축된 한국 현대문학의 데이터베이스는 연구자들의 연구보조 자료, 대학생과 중고등학교의 문학교육, 일반인들의 사회교육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국문학이 가지고 있는 '문학의 연구'분야와 문예창작학이 가지고 있는 '문학의 창작'이 연계되는 최초 학제간 연구가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존 문학답사 같은 국문학 분야의 행사는 작가나 작품의 현장을 확인하는 것에 그친 반면에, 본 한국 현대문학 작품의 지형 연구는 창작자에게 새로운 문학 작품 생산의 모티프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움을 지닌다. 또한 연구자에게 작품 생산의 현장을 확인하고 각종 다양한 자료를 수집,정리할 기회를 제공하여 문학 연구의 실증성을 이뤄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현장 확인을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문학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문학 작품을 현장에 대입하는 연구 태도와 자료의 중요성을 재삼 인식할 수 있었다. 그럼으로써 해석과 이론에 의한 한국 현대문학사에서 실증성에 의한 문학사로 전환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고, 이러한 연계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더 다양하고 심도깊은 실증적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팀은 3년에 걸쳐 국내의 전 지역을 대상으로 문학작품 생산의 원천이 되는 공간을 탐색하였으며, 문학 작품 속의 배경을 현장화 시키고자 하였다.각 년차마다 그 대상으로 한 문학작...

      본 연구팀은 3년에 걸쳐 국내의 전 지역을 대상으로 문학작품 생산의 원천이 되는 공간을 탐색하였으며, 문학 작품 속의 배경을 현장화 시키고자 하였다.각 년차마다 그 대상으로 한 문학작품 생산의 원천이 되는 공간을 탐색하여 문학 작품 속의 배경을 현장화시켜, 해당 지역 작가들의 작품에 내재된 창작 근원을 찾아보고, 작품에 대한 분석과 문학 현장과의 상관관계를 공고히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각종 개발로 사라져 가는 문학공간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영구히 보존하려는 목적도 있다. 따라서 문학공간에 대한 다양한 이미지 자료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홈페이지에 간략게시 및 출판물과 CD-ROM으로 제작하여, 독자에게 문학을 보다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연결통로를 제시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문학과 문학공간의 상관성을 증명할 수 있었으며, 작가 글쓰기의 근원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서 구축된 한국 현대문학의 데이터베이스는 연구자들의 연구보조 자료, 대학생과 중고등학교의 문학교육, 일반인들의 사회교육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국문학이 가지고 있는 '문학의 연구'분야와 문예창작학이 가지고 있는 '문학의 창작'이 연계되는 최초 학제간 연구가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존 문학답사 같은 국문학 분야의 행사는 작가나 작품의 현장을 확인하는 것에 그친 반면에, 본 한국 현대문학 작품의 지형 연구는 창작자에게 새로운 문학 작품 생산의 모티프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움을 지닌다. 또한 연구자에게 작품 생산의 현장을 확인하고 각종 다양한 자료를 수집,정리할 기회를 제공하여 문학 연구의 실증성을 이뤄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현장 확인을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문학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문학 작품을 현장에 대입하는 연구 태도와 자료의 중요성을 재삼 인식할 수 있었다. 그럼으로써 해석과 이론에 의한 한국 현대문학사에서 실증성에 의한 문학사로 전환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고, 이러한 연계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더 다양하고 심도깊은 실증적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live in cultural industry era after a fast change in society. Adjusting this changes, We need to provide digital environment and spiritual environment for our culture consumers to better taste, consume, use, admit, and judge the cultural objects.
      Thus, this study explains how to deliver the method to analyze and describe the literary space analysis to literature consumers. To do this, I have systemized how to collect and describe the writer, the literature, the background in the literature and the live space etc.
      If this study is systematically excercised, it could be utilized widely as basic data for literature studies, school educational materials, substitute maerial for literature writing classes, database for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and PR material to globalization of Korean culture. And if the end outcome is transformed into various channels and distributed like print, internet homepage, CD rome, etc., it would greatly imfluence the new generation as new cultural sensibility who has grown their imaginateve power through images and computers rather than writings.
      What is important here is that the heart of literature education is exercised toward visual education materials too much, the heart of literature could get lost. because there exists a danger that people may tend to enjoy the visuals provided by fancy channels instead of reading. Thus, study on how to mix literary beauty and visual beauty in harmony is necessary before industralization of literary space. And wide and deep discussion on this matter is needed.
      A Study aims to find a way of turning the virtual space, where the korean literature works are produced, as realistic as our real life, among various ways of using the Korean literature for cultural contents. The field research of cultural contents is prerequisite to that. The goal of the field research of cultural contents by visiting sites of korean literature and conducting investigative research. the field research of cultural contents should not aim to build and store the database. Rather, a real cultural contents can be realized only when we set the direction regarding how to use them to create the new value.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putting forth the measures to create the virtual reality by establishing the cultural space on the website.
      번역하기

      We live in cultural industry era after a fast change in society. Adjusting this changes, We need to provide digital environment and spiritual environment for our culture consumers to better taste, consume, use, admit, and judge the cultural objects. ...

      We live in cultural industry era after a fast change in society. Adjusting this changes, We need to provide digital environment and spiritual environment for our culture consumers to better taste, consume, use, admit, and judge the cultural objects.
      Thus, this study explains how to deliver the method to analyze and describe the literary space analysis to literature consumers. To do this, I have systemized how to collect and describe the writer, the literature, the background in the literature and the live space etc.
      If this study is systematically excercised, it could be utilized widely as basic data for literature studies, school educational materials, substitute maerial for literature writing classes, database for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and PR material to globalization of Korean culture. And if the end outcome is transformed into various channels and distributed like print, internet homepage, CD rome, etc., it would greatly imfluence the new generation as new cultural sensibility who has grown their imaginateve power through images and computers rather than writings.
      What is important here is that the heart of literature education is exercised toward visual education materials too much, the heart of literature could get lost. because there exists a danger that people may tend to enjoy the visuals provided by fancy channels instead of reading. Thus, study on how to mix literary beauty and visual beauty in harmony is necessary before industralization of literary space. And wide and deep discussion on this matter is needed.
      A Study aims to find a way of turning the virtual space, where the korean literature works are produced, as realistic as our real life, among various ways of using the Korean literature for cultural contents. The field research of cultural contents is prerequisite to that. The goal of the field research of cultural contents by visiting sites of korean literature and conducting investigative research. the field research of cultural contents should not aim to build and store the database. Rather, a real cultural contents can be realized only when we set the direction regarding how to use them to create the new value.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putting forth the measures to create the virtual reality by establishing the cultural space on the websit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