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일한 환자에서 조혈모세포이식 전후의 호중구감소 기간 중 감염양상에 대한 비교연구  :  중심정맥관 관련 패혈증을 중심으로 Based on Central Venous Catheter Related Septicemia = Infectious Complications during Neutropenic Period before and afte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0177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동일한 환자를 대상으로 조혈모세포이식 전 일반 병실에서의 관해유도 항암제치료 및 강화요법으로 인한 호중구감소 기간의 감염양상과 고용량 항암제치료 후 무균실에서의 조...

      연구배경: 동일한 환자를 대상으로 조혈모세포이식 전 일반 병실에서의 관해유도 항암제치료 및 강화요법으로 인한 호중구감소 기간의 감염양상과 고용량 항암제치료 후 무균실에서의 조혈모세포이식 시 호중구감소 기간의 감염양상을 중심정맥관 관련 패혈증을 중심으로 비교 연구함으로써 효율적인 감염관리지침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1년 7월까지 2년 7개월간 동아대학교병원 일반병실에서 악성혈액질환으로 항암제 치료를 받다가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았던 22명을 대상으로 중심정맥관 관련 패혈증의 형태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들의 일반병실과 무균실에서의 입원기간은 각각 32±13일, 33±19일, 호중구 감소기간은 15±12일, 17±18일, 호중구 감소기간의 발열 횟수는 14회, 14회로서 입원병실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환자들의 중심정맥관 사용일수는 일반병실에서 29일(7~545일), 무균실에서 100.5일(25~606일)이었으며, 총 사용일수는 각각 1,515일, 3,250일로서 무균실에서의 중심정맥관 사용일수가 의미 있게 길었다(P=0.001). 중심정맥관 사용 일수에 대한 감염률은 각각 5.28/1,000일, 3.08/1,000일로서 일반병실에서 그 빈도가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P=0.141).
      결론: 중심정맥관 삽입 후 일반병실에서 항암제 치료를 받던 환자가 조혈모세포이식을 위하여 무균실에 입원하는 경우, 중심정맥관을 교체하는 것이 감염관리를 위하여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We compared the incidence of central venous catheter (CVC) related septicemia during neutropenic period in the same patient, which developed following chemotherapy for remission induction and consolidation, o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

      Background: We compared the incidence of central venous catheter (CVC) related septicemia during neutropenic period in the same patient, which developed following chemotherapy for remission induction and consolidation, o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laboratory data of 22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ies who received anticancer chemotherapy followed by HSCT at Dong-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99 and July, 2001. We investigated the duration of hospitalization, duration of neutropenic period, duration of catheterization, microbiologically documented organisms and incidence of CVC related septicemia.
      Results: The data in general ward (before HSCT) and laminar air flow room (after HSCT) were as follows: duration of hospitalization was 32±13 days and 33±19 days, duration of neutropenic period was 15±12 days and 17±18 days, median duration of catheterization was 29 days (7~545 days) and 100.5 days (25~606 days) (P=0.001), and incidence of CVC related septicemia was 5.28/1000 days and 3.08/1000 days, respectively. In the CVC related septicemia, the most common etiologic organism was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e exchange of CVC before admission to laminar air flow room could decrease the incidence of CVC related septicemia in HSCT recipien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