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자 드라마의 장에서 ‘역사’라는 질료는 유독 문제적이다. 드라마가 인간과 세계의 길항을 언제나 ‘지금/여기’의 시공간 위에 형상화한다는 점에서 역사의 극화는 과거의 현재화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28298
박노현 (동덕여자대학교)
2012
Korean
역사 ; 미디어 ; 드라마 ; (역)사극/역사드라마 ; 역사-드라마 ; 연루 ; 진지함 ; 역사철학 ; 역사적 상상력 ; 아나크로니즘적 상호텍스트성 ; 흘러내림 ; 서술시/수용시 ; history ; media ; drama ; chronicle(historical) play/historical drama ; history-drama ; implication ; truthfulness ; historical philosophy ; historical imagination ; anachronic intertextuality ; overflow ; discourse time/reception time
810.000
KCI등재
학술저널
125-157(33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대문자 드라마의 장에서 ‘역사’라는 질료는 유독 문제적이다. 드라마가 인간과 세계의 길항을 언제나 ‘지금/여기’의 시공간 위에 형상화한다는 점에서 역사의 극화는 과거의 현재화에 ...
대문자 드라마의 장에서 ‘역사’라는 질료는 유독 문제적이다. 드라마가 인간과 세계의 길항을 언제나 ‘지금/여기’의 시공간 위에 형상화한다는 점에서 역사의 극화는 과거의 현재화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과거를 현재로 소환하는 일은 결코 간단하지가 않다. 여기에는 소환할만한 과거 혹은 의미 있는 역사란 무엇인가에 대한 가치 평가가 개입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역사관이 투사되어 있는 것이다. 그동안 대문자 드라마의 장에서 통용되어온 역사극과 사극, 정통과 퓨전, 사실과 허구를 절충한 팩션 등과 같은 수식어의 난립은 역사 소재 드라마를 둘러싼 역사관과 예술관의 복잡다단한 얽히고설킴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이 글은 이러한 난맥을 돌파하기 위한 하나의 모색으로서 ‘역사-드라마’라는 개념을 제안하는 시론적 성격을 지닌다.
역사-드라마는 미디어의 중재를 통한 역사의 극화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역사와 드라마를 연결하는 하이픈은 상징적이다. 이는 역사와 드라마의 접속을 환기하는 ‘이음’이고, 역사적인 것 가운데 드라마적인 것을 ‘추출’하는 수식이며, 역사와 미디어와 드라마의 연쇄를 지시하는 ‘기호’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역사적인 것이 무대와 스크린과 텔레비전을 통해 드라마적인 것으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역사-드라마는 두 가지 덕목을 동시에 요구받는다. 그것은 ‘역사에 대한 진지함’과 ‘드라마에 대한 진지함’이다. 이는 역사가 드라마로 형상화되는 연쇄속의 다양한 상황과 맥락을 ‘진지하게’ 다루는 것을 의미한다.
역사적 진지함이란 역사의 사실 혹은 진실의 진위여부 보다 역사적 상상력과 그로 인한 역사 이상과 이외의 살핌을 텍스트 본연의 역할로 간주하는 것이다. 한편 드라마적 진지함은 이러한 역사의 재구과정에서 드라마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미학 원리에 충실하게 텍스트를 직조하는 것을 일컫는다. 이러한 두 가지 진지함의 접점에 존재하는 것이 바로 아나크로니즘적 상호텍스트성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자면 텔레비전 역사-드라마는 텔레비전이라는 일종의 타임머신을 통해 역사와 드라마가 상상의 시공간 속에서 조우함으로써 과거와 현재가 나누는 진지한 대화인 셈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field of History, history is especially problematic material. Historical dramatization is a kind of visualization of the past, in that drama forms conflicts between human and world in the ‘here/now space’ time. However, it is not easy to re...
In the field of History, history is especially problematic material. Historical dramatization is a kind of visualization of the past, in that drama forms conflicts between human and world in the ‘here/now space’ time. However, it is not easy to recall the past into the present. It is because this work is deeply involved with what the recallable or meaningful history is, or the view of history. Rhetorical flourishesfaction, legitimacy, fusion and historical drama-about drama with historical materials shows the complicated relation between view of history and view of art. This study suggests the concept of ‘historydrama’ to break this impasse.
"History-drama’ refers to the dramatization of history through the arbitration of media. In this term, a hyphen between history and drama is symbolic: the connection between history and drama, the extraction of dramatic thing from history, and the sign implying the linkage among history, media, and drama. ‘History-drama’ is required to have two virtues, or the seriousness of drama and history, at the same time through dramatization of historical things in the stage, screen and television.
The seriousness of history implies historical imaginary is considered the original role of text than historical reality or fact. The seriousness of drama means the text of drama is faithfully reconstituted based on the aesthetic principles. There is anachronic intertextuality on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seriousness of history and drama. In this context, television history-drama is an earnest conversation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by television, a kind of time machine, in which history and time could encounter in the imaginary spa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Gérard Genette, "현대 서술 이론의 흐름" 솔 1997
2 Peter Brooks, "플롯 찾아 읽기" 강 2011
3 박노현, "텔레비전 드라마와 영상 언어 - 미니시리즈 <추노(推奴)>의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연구소 (39) : 347-383, 2010
4 박노현, "텔레비전 드라마와 아나크로니즘의 기획 -미니시리즈 <추노(推奴)>의 형성소를 중심으로-" 대중서사학회 (23) : 183-215, 2010
5 박노현, "텔레비전 드라마와 스토리텔링 -미니시리즈 <다모>와 <추노>의 서사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소 (41) : 309-343, 2011
6 박노현, "텔레비전 드라마와 상호텍스트성 - ‘텍스트 소환 기법’의 개념과 유형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연구소 (40) : 363-397, 2011
7 주창윤, "텔레비전 드라마" 문경 2005
8 Raymond Williams, "키워드" 민음사 2010
9 Seymour Chatman, "이야기와 담론" 푸른사상 2003
10 Tessa Morris-Suzuki, "우리 안의 과거" 휴머니스트 2006
1 Gérard Genette, "현대 서술 이론의 흐름" 솔 1997
2 Peter Brooks, "플롯 찾아 읽기" 강 2011
3 박노현, "텔레비전 드라마와 영상 언어 - 미니시리즈 <추노(推奴)>의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연구소 (39) : 347-383, 2010
4 박노현, "텔레비전 드라마와 아나크로니즘의 기획 -미니시리즈 <추노(推奴)>의 형성소를 중심으로-" 대중서사학회 (23) : 183-215, 2010
5 박노현, "텔레비전 드라마와 스토리텔링 -미니시리즈 <다모>와 <추노>의 서사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소 (41) : 309-343, 2011
6 박노현, "텔레비전 드라마와 상호텍스트성 - ‘텍스트 소환 기법’의 개념과 유형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연구소 (40) : 363-397, 2011
7 주창윤, "텔레비전 드라마" 문경 2005
8 Raymond Williams, "키워드" 민음사 2010
9 Seymour Chatman, "이야기와 담론" 푸른사상 2003
10 Tessa Morris-Suzuki, "우리 안의 과거" 휴머니스트 2006
11 Pierre Bourdieu, "예술의 규칙―문학 장의 기원과 구조" 동문선 1999
12 Georg Lukács, "역사소설론" 거름 1997
13 Paul Veyne, "역사를 어떻게 쓰는가" 새물결 2004
14 E. H. Carr, "역사란 무엇인가" 까치 1997
15 김기봉, "역사극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신역사주의적 해석 —1970~80년대 ‘한국적’ 역사극의 탄생과 연관하여—" 한국드라마학회 (34) : 5-33, 2011
16 Jean Baudrillard, "시뮬라시옹" 민음사 2001
17 우찬제, "서사학 강의" 문학과지성사 2010
18 김환표, "드라마, 한국을 말하다" 인물과사상사 2012
19 박노현, "드라마, 시학을 만나다" 휴머니스트 2009
20 Amanda D.Lotz, "TV혁명" 본북스 2012
21 양근애, "TV 드라마 <대장금>에 나타난 ‘가능성으로서의 역사’ 구현 방식" 한국극예술학회 (28) : 309-343, 200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7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9 | 0.84 | 1.467 |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