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술과 사회: 한나 폴락의 다큐멘터리에 묘사된포스트소비에트 러시아의 부랑아 문제를 중심으로 = Art and Society: On the Problem of Homeless Children in the Post-Soviet Russia Reflected in the Documentary Films of Hanna Polak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traces the harsh realities of homeless children who has grown rapidly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by analyzing the documentary films The Children of Leningradsky (2004) and Something Better to Come (2014), produced by Hanna Polak, a Polish film director and producer. In addition, this article traces the social missions of artists, by investigating Polak who is constantly and deeply involved in the issue of homeless children.
      Polak, who graduated from the Cinematography division of the Gerasimov Institute of Cinematography (VGIK), began her career as a cinematographer for the documentary film about the Russian homeless children Railway Station Ballad (2003), directed by Andrzej Celinski. In her first film The Children of Leningradsky (2004), co-directed with Celinski, Polak has continued to pay much attention to the problem of homeless children. The primary goal of this film, following the daily lives of homeless children living in the Leningradsky railway station in Moscow in the 1990s, is to show the audience the cruel lives of homeless children. As a result, the director-artist Polak has played a role as an observer and listener, not participating directly in the film.
      A full-length documentary film Something Better to Come (2014), completed by Polak for 14 years from 2000 to 2014, explores the miserable life of a 10-year-old girl Yula living on the territory of Svalka near Moscow, the largest garbage dump in Europe. Polak has become more actively engaged in the film in order to express her ideas more effectively. The director has fulfilled the role of an interlocutor and furthermore, an activist in the film. Moreover, Polak, who is conscious of the social missions of artists, believes that the power of the film art can be extended beyond the screen. Even in despair, showing and talking about hope is the way how art can stand against the harsh realities.
      번역하기

      This article traces the harsh realities of homeless children who has grown rapidly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by analyzing the documentary films The Children of Leningradsky (2004) and Something Better to Come (2014), produced by Hanna Po...

      This article traces the harsh realities of homeless children who has grown rapidly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by analyzing the documentary films The Children of Leningradsky (2004) and Something Better to Come (2014), produced by Hanna Polak, a Polish film director and producer. In addition, this article traces the social missions of artists, by investigating Polak who is constantly and deeply involved in the issue of homeless children.
      Polak, who graduated from the Cinematography division of the Gerasimov Institute of Cinematography (VGIK), began her career as a cinematographer for the documentary film about the Russian homeless children Railway Station Ballad (2003), directed by Andrzej Celinski. In her first film The Children of Leningradsky (2004), co-directed with Celinski, Polak has continued to pay much attention to the problem of homeless children. The primary goal of this film, following the daily lives of homeless children living in the Leningradsky railway station in Moscow in the 1990s, is to show the audience the cruel lives of homeless children. As a result, the director-artist Polak has played a role as an observer and listener, not participating directly in the film.
      A full-length documentary film Something Better to Come (2014), completed by Polak for 14 years from 2000 to 2014, explores the miserable life of a 10-year-old girl Yula living on the territory of Svalka near Moscow, the largest garbage dump in Europe. Polak has become more actively engaged in the film in order to express her ideas more effectively. The director has fulfilled the role of an interlocutor and furthermore, an activist in the film. Moreover, Polak, who is conscious of the social missions of artists, believes that the power of the film art can be extended beyond the screen. Even in despair, showing and talking about hope is the way how art can stand against the harsh rea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표는 소비에트 체제 붕괴 이후 급증한 부랑아들의 실상을 폴란드 감독 한나 폴락(Hanna Polak)의 다큐멘터리 「레닌그라드스키의 아이들(The Children of Leningradsky)」(2004)과 「그러나 삶은 지속된다(Something Better to Come)」(2014)를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아울러, 부랑아 문제에 지속적이고도 깊이 있게 천착하고 있는 폴락 감독을 통해 예술가의 사회적 임무에 대해 살펴보는 것 역시 이 글의 목표가 된다.
      전러시아국립영화연구소(ВГИК) 촬영학과를 졸업한 폴락은 러시아의 부랑아 문제를 다룬 안드제이 첼린스키 감독의 「기차역 발라드(Railway Station Ballad)」(2003) 촬영기사로 자신의 커리어를 시작하였고 첼린스키와 공동 연출한 감독 데뷔작 「레닌그라드스키의 아이들」에서 다시금 부랑아 문제를 진지하게 주시하게 되었다. 1990년대 모스크바 레닌그라드역에 거주하는 부랑아들의 일상을 추적한 이 다큐의 일차적 목표는 관객에게 부랑아들의 참상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로 인해 감독-예술가는 영화에 직접 개입하는 것을 자제한 채 관찰자이자 청자로서의 역할에 집중하게 된다.
      「그러나 삶은 지속된다」는 모스크바 근교에 위치한 “유럽 최대의 쓰레기 매립지” ‘스발카‘에 살고 있는 10세 소녀 율랴의 삶을, 2000년부터 2014년까지 14년간 지켜보며 완성한 장편 다큐멘터리이다. 이 영화에서 감독은 자신의 메시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전작에 비해 더욱 적극적으로 영화에 개입한다. 즉 이 다큐에서 감독은 대화자, 더 나아가 참여자,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예술가의 사회적 임무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었던 폴락은 영화의 힘이 스크린 안에 갇혀 있는 것이 아니라 스크린 밖으로 확장되어 영화 속 인물뿐 아니라 관객까지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고 있었다. 폴락이 자신의 다큐멘터리로 보여준바, 절망 속에서도 희망에 대해 말하는 것, 바로 이것이 광포하고도 참혹한 현실에 대항하는 예술의 응전 방식이었던 것이다.
      번역하기

      이 글의 목표는 소비에트 체제 붕괴 이후 급증한 부랑아들의 실상을 폴란드 감독 한나 폴락(Hanna Polak)의 다큐멘터리 「레닌그라드스키의 아이들(The Children of Leningradsky)」(2004)과 「그러나 삶...

      이 글의 목표는 소비에트 체제 붕괴 이후 급증한 부랑아들의 실상을 폴란드 감독 한나 폴락(Hanna Polak)의 다큐멘터리 「레닌그라드스키의 아이들(The Children of Leningradsky)」(2004)과 「그러나 삶은 지속된다(Something Better to Come)」(2014)를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아울러, 부랑아 문제에 지속적이고도 깊이 있게 천착하고 있는 폴락 감독을 통해 예술가의 사회적 임무에 대해 살펴보는 것 역시 이 글의 목표가 된다.
      전러시아국립영화연구소(ВГИК) 촬영학과를 졸업한 폴락은 러시아의 부랑아 문제를 다룬 안드제이 첼린스키 감독의 「기차역 발라드(Railway Station Ballad)」(2003) 촬영기사로 자신의 커리어를 시작하였고 첼린스키와 공동 연출한 감독 데뷔작 「레닌그라드스키의 아이들」에서 다시금 부랑아 문제를 진지하게 주시하게 되었다. 1990년대 모스크바 레닌그라드역에 거주하는 부랑아들의 일상을 추적한 이 다큐의 일차적 목표는 관객에게 부랑아들의 참상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로 인해 감독-예술가는 영화에 직접 개입하는 것을 자제한 채 관찰자이자 청자로서의 역할에 집중하게 된다.
      「그러나 삶은 지속된다」는 모스크바 근교에 위치한 “유럽 최대의 쓰레기 매립지” ‘스발카‘에 살고 있는 10세 소녀 율랴의 삶을, 2000년부터 2014년까지 14년간 지켜보며 완성한 장편 다큐멘터리이다. 이 영화에서 감독은 자신의 메시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전작에 비해 더욱 적극적으로 영화에 개입한다. 즉 이 다큐에서 감독은 대화자, 더 나아가 참여자,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예술가의 사회적 임무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었던 폴락은 영화의 힘이 스크린 안에 갇혀 있는 것이 아니라 스크린 밖으로 확장되어 영화 속 인물뿐 아니라 관객까지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고 있었다. 폴락이 자신의 다큐멘터리로 보여준바, 절망 속에서도 희망에 대해 말하는 것, 바로 이것이 광포하고도 참혹한 현실에 대항하는 예술의 응전 방식이었던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엘새서, 토마스, "영화 이론: 영화는 육체와 어떤 관계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2 브레송, 로베르, "시네마토그래프에 대한 단상" 동문선 2003

      3 "사회복지용어대백과사전"

      4 이윤영, "사유 속의 영화 – 영화 이론 선집" 문학과지성사 2011

      5 이용철, "문화인류학의 거대한 실험장, <업 시리즈>" 씨네21

      6 "Тексты песенок.ru"

      7 Iванцiв, А., "Режиссер Ханна Полак: Мы теряем человеческий облик, когда перестаем помогать" Життя

      8 Радио Польша, "Польский режиссер сняла фильм о жителях подмосковных свалок" Радио Польша

      9 Стивенсон, С. А, "Положение бездомных в социальной структуре современного российского общества (на примере Москвы и Санкт-Петербурга)" Институт социологии РАН 1996

      10 Стивенсон, С. А., "О феномене бездомности" (8) : 26-33, 1996

      1 엘새서, 토마스, "영화 이론: 영화는 육체와 어떤 관계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2 브레송, 로베르, "시네마토그래프에 대한 단상" 동문선 2003

      3 "사회복지용어대백과사전"

      4 이윤영, "사유 속의 영화 – 영화 이론 선집" 문학과지성사 2011

      5 이용철, "문화인류학의 거대한 실험장, <업 시리즈>" 씨네21

      6 "Тексты песенок.ru"

      7 Iванцiв, А., "Режиссер Ханна Полак: Мы теряем человеческий облик, когда перестаем помогать" Життя

      8 Радио Польша, "Польский режиссер сняла фильм о жителях подмосковных свалок" Радио Польша

      9 Стивенсон, С. А, "Положение бездомных в социальной структуре современного российского общества (на примере Москвы и Санкт-Петербурга)" Институт социологии РАН 1996

      10 Стивенсон, С. А., "О феномене бездомности" (8) : 26-33, 1996

      11 Кривоносов А. Н., "Исторический опыт борьбы с беспризорностью" (7) : 92-98, 2003

      12 Славко, А. А.,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регулирование процесса ликвидации детской беспризорности в России в годы Великой Отечественной войны и в послевоенный период" Сама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2011

      13 "Газета.ru"

      14 Плахов, А., "Всюду жизнь. ”Человек живет для лучшего“, режиссер Ханна Полак" Искусство кино

      15 Емелин, С. М., "Борьба с детской беспризорностью и безнадзорностью в годы Великой Отечественной войны (1941–1945 гг.)" (2) : 10-15, 2010

      16 Арефьев, А. Л., "Беспризорные дети России" (9) : 61-72, 2003

      17 Арефьев, А. Л., "Беспризорники в постсоветской России" 5 (5): 21-29, 2003

      18 Осинский И. И. и др., "Бездомные - социальное дно общества" (1) : 53-58, 2003

      19 Алексеева, Л. С., "Бездомные как объект социальной дискредитации" (9) : 52-61, 2003

      20 Polak, Hanna, "The Children of Leningradsky"

      21 "The Children of Leningradsky" Official website

      22 Polak, Hanna, "Something Better to Come"

      23 "Something Better to Come" Official website

      24 Hanna Polak, "Official website"

      25 "Newsru.com"

      26 "IMDb"

      27 "Filmpoiski.pl"

      28 "Culture.pl"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6 0.16 0.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 0.19 0.3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