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종소, "현대 러시아인의 삶에 대한 보고서. 『우리 짜르의 사람들』 해설" 을유문화사 2014
2 이항재, "현대 러시아 여성소설의 ‘чернуха’- L. 뻬뜨루셰프스까야의 중?단편을 중심으로" 한국러시아문학회 (14) : 171-191, 2003
3 Frankel, V. E., "프랭클 실존분석과 로고테라피" 한글 2011
4 김정현, "프랑클의 실존분석과 로고테라피, 그 이론적 기초" 철학연구회 (87) : 57-83, 2009
5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006
6 정인석, "트랜스퍼스널 심리학" 대왕사 2009
7 Frankel, V. E., "태초에 의미가 있었다" 분도출판사 2006
8 Frankel, V. E., "죽음의 수용소에서" 청아출판사 2012
9 김숙희, "정신분석과 문학치료의 상호 텍스트성"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15 (15): 37-57, 2013
10 Nay, R., "자아를 잃어버린 현대인" 문예출판사 1994
1 박종소, "현대 러시아인의 삶에 대한 보고서. 『우리 짜르의 사람들』 해설" 을유문화사 2014
2 이항재, "현대 러시아 여성소설의 ‘чернуха’- L. 뻬뜨루셰프스까야의 중?단편을 중심으로" 한국러시아문학회 (14) : 171-191, 2003
3 Frankel, V. E., "프랭클 실존분석과 로고테라피" 한글 2011
4 김정현, "프랑클의 실존분석과 로고테라피, 그 이론적 기초" 철학연구회 (87) : 57-83, 2009
5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006
6 정인석, "트랜스퍼스널 심리학" 대왕사 2009
7 Frankel, V. E., "태초에 의미가 있었다" 분도출판사 2006
8 Frankel, V. E., "죽음의 수용소에서" 청아출판사 2012
9 김숙희, "정신분석과 문학치료의 상호 텍스트성"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15 (15): 37-57, 2013
10 Nay, R., "자아를 잃어버린 현대인" 문예출판사 1994
11 Frankel, V. E., "의미를 향한 소리 없는 절규" 청아출판사 2005
12 정인석, "의미 없는 인생은 없다" 학지사 2013
13 양영란, "울리쯔까야의『우리 왕의 사람들』에 나타난 주요 모티프와 테마 연구"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4 (24): 79-98, 2009
14 Frankel, V. E., "심리의 발견" 청아출판사 2008
15 Frankel, V. E., "심리요법과 현대인" 분도출판사 2000
16 빅토르 프랑클, "삶의 의미를 찾아서 - 죽음의 수용소 체험과 간추린 로고테라피" 아이서브 2015
17 Frankel, V. E., "삶의 의미를 찾아서 - 죽음의 수용소 체험과 간추린 로고테라피" 아이서브 2015
18 Frankel, V. E., "삶의 의미를 찾아서" 청아출판사 2012
19 조셉 골드, "비블리오테라피" 북키앙 2003
20 성정희, "문학치료 임상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국문학치료학회 10 : 169-202, 2009
21 김정현, "로고테라피와 실존분석의 임상방법 및철학상담에서의 함의" 대한철학회 120 : 31-56, 2011
22 채연숙, "로고테라피와 독서치료의 접점 탐색" 7 (7): 2015
23 문석우, "러시아 문학에 나타난 ‘聖바보’에 대한 연구" 한국러시아문학회 (16) : 87-111, 2004
24 와시다 키요카즈, "듣기의 철학. 고뇌하는 인간, 호모 파티엔스를 만나다" 아카넷 1999
25 르 코르뷔지에, "도시계획" 동녘 2007
26 김인석, "고통의 의미 -빅터 에밀 프랑클의 로고테라피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22) : 5-30, 2012
27 윤영순, "거대서사 대(對) 유토피아의 작은 목소리 : 러시아 여성작가들의 글쓰기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러시아문학회 (60) : 103-133, 2018
28 Улицкая Л. Е., "Люди нашего царя"
29 Frankel, V. E., "Plato, not Proozac, Harper Collins"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