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실’과 치유의 미학: 로고테라피 관점에서 울리츠카야 작품 읽기 = The Aesthetics of Loss and Healing : Reading L. Ulitskaya's The People of Our Tsar based on the Logotherapy Perspec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971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begins by examining the motif of 'loss' in L. Ulitskaya's short stories. Then, it focuses how the pain of loss is healed from the Viewpoint of logotherapy.
      Viktor Frankl’s logotherapy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human person is motivated by a “will to meaning,” an inner pull to find a meaning in life. Life has meaning under all circumstances, even the most miserable ones. Our main motivation for living is our will to find meaning in life. We have freedom to find meaning in what we do, and what we experience, or at least in the stand we take when faced with a situation of unchangeable suffering.
      In particular, this paper analyzes the mechanism that heals the characters' pain of loss by the concepts and techniques of logotherapy - existential frustration, super-meaning, homo patience, paradoxical intention, adjustment of position, and Socratic dialogue.
      In this study, the conclusion has been derived that Russian literature can be utilized for logotherapy in practice. This will ensure a positive trend in applying a logotherapy perspective on Russian literature.
      번역하기

      The study begins by examining the motif of 'loss' in L. Ulitskaya's short stories. Then, it focuses how the pain of loss is healed from the Viewpoint of logotherapy. Viktor Frankl’s logotherapy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human person is motiva...

      The study begins by examining the motif of 'loss' in L. Ulitskaya's short stories. Then, it focuses how the pain of loss is healed from the Viewpoint of logotherapy.
      Viktor Frankl’s logotherapy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human person is motivated by a “will to meaning,” an inner pull to find a meaning in life. Life has meaning under all circumstances, even the most miserable ones. Our main motivation for living is our will to find meaning in life. We have freedom to find meaning in what we do, and what we experience, or at least in the stand we take when faced with a situation of unchangeable suffering.
      In particular, this paper analyzes the mechanism that heals the characters' pain of loss by the concepts and techniques of logotherapy - existential frustration, super-meaning, homo patience, paradoxical intention, adjustment of position, and Socratic dialogue.
      In this study, the conclusion has been derived that Russian literature can be utilized for logotherapy in practice. This will ensure a positive trend in applying a logotherapy perspective on Russian litera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울리츠카야(L. Ulitskaya) 단편에 나타난 ‘상실’의 모티프를 분석해 내고, 상실을 극복하기 위한 치유기제로서 로고테라피(logotherapy) 이론을 적용하여 작가의 작품을 읽어보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울리츠카야의 단편 작품들 속에서 ‘상실’의 모티프가 어떠한 형상으로 구현되고 있는지 분석해 내고, 둘째, ‘상실’을 극복하기 위한 치유 기제로서 로고테라피를 적용해 보며, 셋째, 로고테라피 관점에서의 문학작품 분석의 필요와 그 의의를 진단해 본다.
      ‘의미 치료’를 나타내는 로고테라피는 인간의 실존 분석을 바탕으로 한 심리치료 요법으로 인간 존재의 의미는 물론, 의미를 찾아가는 인간 의지에 초점을 맞춘 이론이다. 본 논문에서는 로고테라피의 개념 및 기법인 ‘실존적 좌절 (existential frustration)’, ‘고통 (suffering)’, ‘초의미 (super-meaning)’, ‘호모 파티엔스 (homo patiens)’, ‘역설의도 (paradoxical intention)’, ‘소크라테스적 대담 (Socratic dialogue)’ 등을 적용해서 작품 속 등장인물들의 ‘상실’의 고통을 치유해 주는 기제를 분석하고 있다.
      로고테라피 관점에서 러시아문학작품이 효과적인 치유 방법으로 활용된다면, 위대한 사상과 철학이 집약되어 있다고 평가받는 러시아 문학은 인간의 삶의 의미를 조명하는 치유 문학이라는 또 하나의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울리츠카야(L. Ulitskaya) 단편에 나타난 ‘상실’의 모티프를 분석해 내고, 상실을 극복하기 위한 치유기제로서 로고테라피(logotherapy) 이론을 적용하여 작가의 작품을 읽어보고...

      본 논문에서는 울리츠카야(L. Ulitskaya) 단편에 나타난 ‘상실’의 모티프를 분석해 내고, 상실을 극복하기 위한 치유기제로서 로고테라피(logotherapy) 이론을 적용하여 작가의 작품을 읽어보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울리츠카야의 단편 작품들 속에서 ‘상실’의 모티프가 어떠한 형상으로 구현되고 있는지 분석해 내고, 둘째, ‘상실’을 극복하기 위한 치유 기제로서 로고테라피를 적용해 보며, 셋째, 로고테라피 관점에서의 문학작품 분석의 필요와 그 의의를 진단해 본다.
      ‘의미 치료’를 나타내는 로고테라피는 인간의 실존 분석을 바탕으로 한 심리치료 요법으로 인간 존재의 의미는 물론, 의미를 찾아가는 인간 의지에 초점을 맞춘 이론이다. 본 논문에서는 로고테라피의 개념 및 기법인 ‘실존적 좌절 (existential frustration)’, ‘고통 (suffering)’, ‘초의미 (super-meaning)’, ‘호모 파티엔스 (homo patiens)’, ‘역설의도 (paradoxical intention)’, ‘소크라테스적 대담 (Socratic dialogue)’ 등을 적용해서 작품 속 등장인물들의 ‘상실’의 고통을 치유해 주는 기제를 분석하고 있다.
      로고테라피 관점에서 러시아문학작품이 효과적인 치유 방법으로 활용된다면, 위대한 사상과 철학이 집약되어 있다고 평가받는 러시아 문학은 인간의 삶의 의미를 조명하는 치유 문학이라는 또 하나의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소, "현대 러시아인의 삶에 대한 보고서. 『우리 짜르의 사람들』 해설" 을유문화사 2014

      2 이항재, "현대 러시아 여성소설의 ‘чернуха’- L. 뻬뜨루셰프스까야의 중?단편을 중심으로" 한국러시아문학회 (14) : 171-191, 2003

      3 Frankel, V. E., "프랭클 실존분석과 로고테라피" 한글 2011

      4 김정현, "프랑클의 실존분석과 로고테라피, 그 이론적 기초" 철학연구회 (87) : 57-83, 2009

      5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006

      6 정인석, "트랜스퍼스널 심리학" 대왕사 2009

      7 Frankel, V. E., "태초에 의미가 있었다" 분도출판사 2006

      8 Frankel, V. E., "죽음의 수용소에서" 청아출판사 2012

      9 김숙희, "정신분석과 문학치료의 상호 텍스트성"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15 (15): 37-57, 2013

      10 Nay, R., "자아를 잃어버린 현대인" 문예출판사 1994

      1 박종소, "현대 러시아인의 삶에 대한 보고서. 『우리 짜르의 사람들』 해설" 을유문화사 2014

      2 이항재, "현대 러시아 여성소설의 ‘чернуха’- L. 뻬뜨루셰프스까야의 중?단편을 중심으로" 한국러시아문학회 (14) : 171-191, 2003

      3 Frankel, V. E., "프랭클 실존분석과 로고테라피" 한글 2011

      4 김정현, "프랑클의 실존분석과 로고테라피, 그 이론적 기초" 철학연구회 (87) : 57-83, 2009

      5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006

      6 정인석, "트랜스퍼스널 심리학" 대왕사 2009

      7 Frankel, V. E., "태초에 의미가 있었다" 분도출판사 2006

      8 Frankel, V. E., "죽음의 수용소에서" 청아출판사 2012

      9 김숙희, "정신분석과 문학치료의 상호 텍스트성"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15 (15): 37-57, 2013

      10 Nay, R., "자아를 잃어버린 현대인" 문예출판사 1994

      11 Frankel, V. E., "의미를 향한 소리 없는 절규" 청아출판사 2005

      12 정인석, "의미 없는 인생은 없다" 학지사 2013

      13 양영란, "울리쯔까야의『우리 왕의 사람들』에 나타난 주요 모티프와 테마 연구"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4 (24): 79-98, 2009

      14 Frankel, V. E., "심리의 발견" 청아출판사 2008

      15 Frankel, V. E., "심리요법과 현대인" 분도출판사 2000

      16 빅토르 프랑클, "삶의 의미를 찾아서 - 죽음의 수용소 체험과 간추린 로고테라피" 아이서브 2015

      17 Frankel, V. E., "삶의 의미를 찾아서 - 죽음의 수용소 체험과 간추린 로고테라피" 아이서브 2015

      18 Frankel, V. E., "삶의 의미를 찾아서" 청아출판사 2012

      19 조셉 골드, "비블리오테라피" 북키앙 2003

      20 성정희, "문학치료 임상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국문학치료학회 10 : 169-202, 2009

      21 김정현, "로고테라피와 실존분석의 임상방법 및철학상담에서의 함의" 대한철학회 120 : 31-56, 2011

      22 채연숙, "로고테라피와 독서치료의 접점 탐색" 7 (7): 2015

      23 문석우, "러시아 문학에 나타난 ‘聖바보’에 대한 연구" 한국러시아문학회 (16) : 87-111, 2004

      24 와시다 키요카즈, "듣기의 철학. 고뇌하는 인간, 호모 파티엔스를 만나다" 아카넷 1999

      25 르 코르뷔지에, "도시계획" 동녘 2007

      26 김인석, "고통의 의미 -빅터 에밀 프랑클의 로고테라피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22) : 5-30, 2012

      27 윤영순, "거대서사 대(對) 유토피아의 작은 목소리 : 러시아 여성작가들의 글쓰기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러시아문학회 (60) : 103-133, 2018

      28 Улицкая Л. Е., "Люди нашего царя"

      29 Frankel, V. E., "Plato, not Proozac, Harper Collins"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6 0.16 0.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 0.19 0.3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