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说文解字》重文的省形, 省声考 -以籀文,古文为研究对象-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821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說文에서 말하는 이체자중 古文과 籒文의 자형은 문자학상의 가치가 매우 높다. 그러므로 한자 형체 발전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許愼이 말하는 소위 省의 개념은 주요하게 몇 가지 방면 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이 바로 한자발전상 매우 중요한 현상 省形 省聲현상과 연관된 것이다. 본 논문은 說文의 籒文과 古文중의 省形 省聲현상을 연구하고, 연구대상은 籒文이나 古文에서 形旁이나 聲旁을 생략한 글자로 삼는다. 說文 籒文과 古文의 省形 省聲字를 고찰한 결과, 籒文의 省形字는 6개, 籒文의 省聲字는 14개, 省形이면서 省聲字는 2개, 형체에 의혹이 있는 글자는 1개이다. 古文의 省形字는 5개, 省聲字는 7개, 고문자와 소전과의 관계를 省形과 省聲으로 잘못 오해한 것이 18개로 가장 많았다. 省形과 省聲은 일종의 특수한 현상으로, 이러한 현상이 생기는 원인은, 고대 사람들이 글자를 쓰기에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만들거나 쓸 때 자형의 균형을 위해서 조자 과정중 일부형체를 省略한 것이다. 한자는 簡化와 변화의 모순 속에서 발전하고 있고, 발전과정도 서사나 기억의 簡化를 위해, 공시 적이나 통시적 평면에서 존재하고 발전하고 변천하고 있다. 許愼이 비록 古文字 材料의 한계로 인해, 字形의 분석에 오해를 가져왔지만, 說文解字의 省形 省聲방법은 漢字를 創造하는 방법으로, 후 대사람들이 漢字構造를 硏究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번역하기

      說文에서 말하는 이체자중 古文과 籒文의 자형은 문자학상의 가치가 매우 높다. 그러므로 한자 형체 발전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許愼이 말하는 소위 省의 개념은 주요하게 몇 가...

      說文에서 말하는 이체자중 古文과 籒文의 자형은 문자학상의 가치가 매우 높다. 그러므로 한자 형체 발전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許愼이 말하는 소위 省의 개념은 주요하게 몇 가지 방면 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이 바로 한자발전상 매우 중요한 현상 省形 省聲현상과 연관된 것이다. 본 논문은 說文의 籒文과 古文중의 省形 省聲현상을 연구하고, 연구대상은 籒文이나 古文에서 形旁이나 聲旁을 생략한 글자로 삼는다. 說文 籒文과 古文의 省形 省聲字를 고찰한 결과, 籒文의 省形字는 6개, 籒文의 省聲字는 14개, 省形이면서 省聲字는 2개, 형체에 의혹이 있는 글자는 1개이다. 古文의 省形字는 5개, 省聲字는 7개, 고문자와 소전과의 관계를 省形과 省聲으로 잘못 오해한 것이 18개로 가장 많았다. 省形과 省聲은 일종의 특수한 현상으로, 이러한 현상이 생기는 원인은, 고대 사람들이 글자를 쓰기에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만들거나 쓸 때 자형의 균형을 위해서 조자 과정중 일부형체를 省略한 것이다. 한자는 簡化와 변화의 모순 속에서 발전하고 있고, 발전과정도 서사나 기억의 簡化를 위해, 공시 적이나 통시적 평면에서 존재하고 발전하고 변천하고 있다. 許愼이 비록 古文字 材料의 한계로 인해, 字形의 분석에 오해를 가져왔지만, 說文解字의 省形 省聲방법은 漢字를 創造하는 방법으로, 후 대사람들이 漢字構造를 硏究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说文》重文中,古文,籀文的字形在文字学上的价值很高,是汉字形体发展过程中很重要的资料。 许慎所谓“省”的说法,主要表现在哪些方面? 这就与文字学界所说的省形,省声的现象有关。本文主 要探讨《说文》籀文,古文中的省形,省声现象。研究对象主要限于籀文,古文当中省略形旁或者声旁的 字(偏旁的一部分字)。分析结果对认识籀文,古文的性质及汉字形体,结构变化均有帮助。 论文考察了《说文》籀文,古文的省形,省声字。结果发现,籀文的省形字有6例,籀文的省声字有 14例,省形又省声字有2例,形体可疑的籀文的省形字有1例。古文的省形字有5例,省声字有7例, 把古文字与小篆的关系误解为省形,省声的例子,一共有18例。例如,诗,信,得,朢,畏,雲,霒,宝,裘 ,恕, ,保,懼,封,五, 蠭 ,野,份字。省形,省声是一种特殊现象,它产生的原因就是造字或用字的人为求字 形的整齐匀称,在造字过程中省去了形体的一部分。汉字正是基于简化与繁化的矛盾而存在并发展。 在发展过程中,为方便写记忆而简化,于是在共时历时平面上,汉字繁简两体便平行存在,发展,演变。 许慎所见到的古文字材料有限,所以有些字形被误释了,但他所指出的省形,省声方法是一种创造 汉字的方法,这对后人研究汉字结构很有帮助。
      번역하기

      《说文》重文中,古文,籀文的字形在文字学上的价值很高,是汉字形体发展过程中很重要的资料。 许慎所谓“省”的说法,主要表现在哪些方面? 这就与文字学界所说的省形,省声的现象有关...

      《说文》重文中,古文,籀文的字形在文字学上的价值很高,是汉字形体发展过程中很重要的资料。 许慎所谓“省”的说法,主要表现在哪些方面? 这就与文字学界所说的省形,省声的现象有关。本文主 要探讨《说文》籀文,古文中的省形,省声现象。研究对象主要限于籀文,古文当中省略形旁或者声旁的 字(偏旁的一部分字)。分析结果对认识籀文,古文的性质及汉字形体,结构变化均有帮助。 论文考察了《说文》籀文,古文的省形,省声字。结果发现,籀文的省形字有6例,籀文的省声字有 14例,省形又省声字有2例,形体可疑的籀文的省形字有1例。古文的省形字有5例,省声字有7例, 把古文字与小篆的关系误解为省形,省声的例子,一共有18例。例如,诗,信,得,朢,畏,雲,霒,宝,裘 ,恕, ,保,懼,封,五, 蠭 ,野,份字。省形,省声是一种特殊现象,它产生的原因就是造字或用字的人为求字 形的整齐匀称,在造字过程中省去了形体的一部分。汉字正是基于简化与繁化的矛盾而存在并发展。 在发展过程中,为方便写记忆而简化,于是在共时历时平面上,汉字繁简两体便平行存在,发展,演变。 许慎所见到的古文字材料有限,所以有些字形被误释了,但他所指出的省形,省声方法是一种创造 汉字的方法,这对后人研究汉字结构很有帮助。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绪论
      • Ⅱ.本论
      • 1.省形, 省声的界定
      • 2.籀文, 古文的省形, 声省字
      • 1) 籀文的省形, 声省字
      • Ⅰ.绪论
      • Ⅱ.本论
      • 1.省形, 省声的界定
      • 2.籀文, 古文的省形, 声省字
      • 1) 籀文的省形, 声省字
      • 2) 古文的省形, 省声字
      • Ⅲ.结论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韩琳, "说文解字省形现象初探" (6) : 95-99, 2004

      2 王俊英, "说文解字省形字研究" 陕西师范大学硕士论文 2003

      3 严才仁措, "论说文解字的省形省声字" (20) : 110-111, 2012

      4 王宁, "论汉字简化的必然趋势及其优化的原则" (2) : 26-31, 1991

      5 丁福保, "說文解字詁林" 中華書局 1988

      6 湯可敬, "說文解字今釋" 嶽麓書社 2002

      7 梁东汉, "汉字的结构及其流变" 上海敎育出版社 1959

      8 丘进春, "汉字的形声组合概论" 江西师范大学硕士论文 2003

      9 李思维, "汉字形音学" 华中师范大学出版社 2000

      10 裘锡圭, "文字学概要" 商务印书馆 1988

      1 韩琳, "说文解字省形现象初探" (6) : 95-99, 2004

      2 王俊英, "说文解字省形字研究" 陕西师范大学硕士论文 2003

      3 严才仁措, "论说文解字的省形省声字" (20) : 110-111, 2012

      4 王宁, "论汉字简化的必然趋势及其优化的原则" (2) : 26-31, 1991

      5 丁福保, "說文解字詁林" 中華書局 1988

      6 湯可敬, "說文解字今釋" 嶽麓書社 2002

      7 梁东汉, "汉字的结构及其流变" 上海敎育出版社 1959

      8 丘进春, "汉字的形声组合概论" 江西师范大学硕士论文 2003

      9 李思维, "汉字形音学" 华中师范大学出版社 2000

      10 裘锡圭, "文字学概要" 商务印书馆 1988

      11 古敬恒, "小篆对古籀文的省改与秦人的思维趋向" (1) : 54-56, 1994

      12 王宁, "再论汉字简化的优化原则" (1) : 5-10, 1992

      13 唐兰, "中国文字学" 齐鲁书社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8-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 The Korea Association For Han-character and classical writte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 0.53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