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교육 중급 문법,표현 항목 선정에 대한 일고찰 = A Study on the selection of grammatical items and expression items in intermediate Korean educ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표준 한국어 교육과정 수립을 위한 보고서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모형 개발 2단계(2011)의 중급 문법?표현 항목을 대상으로 중급 항목을 재정련하고 필요 시 항목을 재조정하는 데에 있다. 문법?표현 항목의 선정 및 등급화는 ``문법 기술의 체계성``, ``형태?의미?기능의 균형적 고려``, ``한국어 화자 말뭉치에서의 빈도``, ``교수?학습 현장에서의 실제성`` 등 네 가지 기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행하였는데, 교사 및 학습자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한국어 평가 시험인 <한국어능력시험>의 초급, 중급 문법?표현 항목과 비교?검토하는 작업을 하였다.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중급 문법?표현 항목의 내용 기술을 위한 항목 선정과 정련이기 때문에 등급 조정뿐 아니라 대표형 설정, 범주 조정 등에 대해서도 한국어학적, 한국어 교육학적인 논의를 하였다. 앞으로 중급 문법?표현 항목과 관련한 이론적 논의를 발전시켜 중급 문법?표현 항목의 내용 기술에 기여하는 것이 남은 과제이다.
      번역하기

      본고의 목적은 표준 한국어 교육과정 수립을 위한 보고서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모형 개발 2단계(2011)의 중급 문법?표현 항목을 대상으로 중급 항목을 재정련하고 필요 시 항목을 재조...

      본고의 목적은 표준 한국어 교육과정 수립을 위한 보고서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모형 개발 2단계(2011)의 중급 문법?표현 항목을 대상으로 중급 항목을 재정련하고 필요 시 항목을 재조정하는 데에 있다. 문법?표현 항목의 선정 및 등급화는 ``문법 기술의 체계성``, ``형태?의미?기능의 균형적 고려``, ``한국어 화자 말뭉치에서의 빈도``, ``교수?학습 현장에서의 실제성`` 등 네 가지 기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행하였는데, 교사 및 학습자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한국어 평가 시험인 <한국어능력시험>의 초급, 중급 문법?표현 항목과 비교?검토하는 작업을 하였다.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중급 문법?표현 항목의 내용 기술을 위한 항목 선정과 정련이기 때문에 등급 조정뿐 아니라 대표형 설정, 범주 조정 등에 대해서도 한국어학적, 한국어 교육학적인 논의를 하였다. 앞으로 중급 문법?표현 항목과 관련한 이론적 논의를 발전시켜 중급 문법?표현 항목의 내용 기술에 기여하는 것이 남은 과제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refining the intermediate items of the intermediate grammatical items and expression items in the internationally used Korean education standard model that is for the standard Korean curriculum and to modify items, if necessary. The selection and gradation of grammatical items and expression items are based on (1) the systemicity of the grammatical descriptions, (2) the balance of form, meaning and function, (3) the frequency of the each item in real Korean corpora, (4) the authencity in teaching and learning of Korean language. In addition, we take the items in the elementary and intermediate level of TOPIK(test of proficiency of Korean) into conside ration. Because this study is ultimately the selection and refinement for the description of the intermediate grammatical items and expression items, we discussed the establishing a basic/representative form and the modifying category of certain items besides the adjustment of their grade. In future, we intend to develop the theoretical argument and contribute to the description of the intermediate grammatical items and expression items.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at refining the intermediate items of the intermediate grammatical items and expression items in the internationally used Korean education standard model that is for the standard Korean curriculum and to modify items, if necessary. The...

      This paper aims at refining the intermediate items of the intermediate grammatical items and expression items in the internationally used Korean education standard model that is for the standard Korean curriculum and to modify items, if necessary. The selection and gradation of grammatical items and expression items are based on (1) the systemicity of the grammatical descriptions, (2) the balance of form, meaning and function, (3) the frequency of the each item in real Korean corpora, (4) the authencity in teaching and learning of Korean language. In addition, we take the items in the elementary and intermediate level of TOPIK(test of proficiency of Korean) into conside ration. Because this study is ultimately the selection and refinement for the description of the intermediate grammatical items and expression items, we discussed the establishing a basic/representative form and the modifying category of certain items besides the adjustment of their grade. In future, we intend to develop the theoretical argument and contribute to the description of the intermediate grammatical items and expression ite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호정, "한국어교육 문법·표현 내용 개발 연구(1단계)" 국립국어원 2012

      2 석주연, "한국어교육 문법 항목의 제시 형식과교육 내용에 대한 일고찰—‘표현’을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34) : 51-73, 2013

      3 양명희, "한국어 문장 구조 교육을 위한 문법 항목 선정과 등급화" 중앙어문학회 (52) : 61-84, 2012

      4 이선웅,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 월인 2012

      5 방성원, "한국어 문법론과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6 (6): 157-181, 2010

      6 이미혜, "한국어 문법 항목 교육 연구" 박이정 2005

      7 우형식, "한국어 문법 교육의 전망" 부산외대 교육대학원 6 : 5-27, 2005

      8 방성원, "한국어 교육용 문법 용어의 표준화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 (13): 5-126, 2002

      9 양명희,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휘 범주와 문법 범주의 경계" 한국어의미학회 32 : 123-140, 2010

      10 김제열, "한국어 교육에서 기초 문법 항목의 선정과 배열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2 (12): 93-121, 2001

      1 김호정, "한국어교육 문법·표현 내용 개발 연구(1단계)" 국립국어원 2012

      2 석주연, "한국어교육 문법 항목의 제시 형식과교육 내용에 대한 일고찰—‘표현’을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34) : 51-73, 2013

      3 양명희, "한국어 문장 구조 교육을 위한 문법 항목 선정과 등급화" 중앙어문학회 (52) : 61-84, 2012

      4 이선웅,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 월인 2012

      5 방성원, "한국어 문법론과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6 (6): 157-181, 2010

      6 이미혜, "한국어 문법 항목 교육 연구" 박이정 2005

      7 우형식, "한국어 문법 교육의 전망" 부산외대 교육대학원 6 : 5-27, 2005

      8 방성원, "한국어 교육용 문법 용어의 표준화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 (13): 5-126, 2002

      9 양명희,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휘 범주와 문법 범주의 경계" 한국어의미학회 32 : 123-140, 2010

      10 김제열, "한국어 교육에서 기초 문법 항목의 선정과 배열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2 (12): 93-121, 2001

      11 우형식, "한국어 교육 문법의 체계와 내용 범주" 우리말학회 (26) : 235-266, 2010

      12 김정은,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표준 문법" 이중언어학회 (19) : 187-208, 2001

      13 국립국어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2"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4 김유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문법 항목 선정과 단계화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9 (9): 19-36, 1998

      15 김정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 한말연구학회 11 : 73-97, 2002

      16 우형식, "규칙으로서의 문법과 사용으로서의 문법"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4 : 227-256, 2009

      17 국립국어원,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모형 개발(2단계)" 2011

      18 방성원, "고급 교재의 문법 내용 구성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6-168, 2003

      19 방성원, "形式과 機能의 상관성에 기초한 韓國語 敎育 文法 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9 (39): 343-367, 2011

      20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제3판)" 탑출판사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2 1.76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