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식품 및 의료제품의 위기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공무원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위기대응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식품 및 의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56640
2015
-
53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7-3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식품 및 의료제품의 위기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공무원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위기대응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식품 및 의료...
본 연구의 목적은 식품 및 의료제품의 위기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공무원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위기대응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식품 및 의료제품 위기발생시 필요한 대응활동과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식의약 관련 위기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고, Emergency, Crisis 등과 관련된 역량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 및 자료를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위기 시 대응역량을 ‘위기 시 조치사항을 신속하게 수행하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식약처 위기매뉴얼을 분석하여 조치사항을 도출하였다. 조치사항을 명확히 도 출하는 것은 교육훈련 및 연습과 평가 환류의 기준이 되어 직접적이면서도 실질적인 역량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apacity of public officials that can respond quickly and effectively in the event of food and medical products crisis. In order to improve the emergency response capacity, it must be preceded to identify w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apacity of public officials that can respond quickly and effectively in the event of food and medical products crisis. In order to improve the emergency response capacity, it must be preceded to identify what kinds of response activities and capacities are needed in case of food and medical product crisi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definition of food and drug related crisis, and investigated and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ading researches and data about the capacity related to emergency, crisis or disaster.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crisis response capacity was defined as ‘the ability to quickly perform response tasks at the time of crisis’, and the response tasks were identified by analysing the crisis response manuals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ince identifying the response tasks clearly can be a basis for training, exercise, and evaluation,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nhance the crisis response capabilities directly and effectively.
목차 (Table of Contents)
지역사회 재난 탄력적 대응 위한 통합 재난안전 관리체계 개선방향에 관한 소고
소형 인공강우 장치에 의한 표준사 모형사면의 붕괴 예측
재난관리 리더십과 재난대응 협업 (Disaster Management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for Disaster Response)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ernational Cooperation Team재난관리 리더십과 재난대응 협업 (Disaster Management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for Disaster Response)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ernational Cooperation Team글로컬재난위기관리론
부산가톨릭대학교 정용준재난관리 이해
숭실대학교 정종수위기관리론
대구가톨릭대학교 서상희